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DL이앤씨, 하락하는 주가 속에서도 중장기 성장 가능성 여전 – 투자 전망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5년 08월 04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DL이앤씨는 최근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업종 내 긍정적인 시사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건설업계의 경기 둔화 우려와 외부 경제 환경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과 정부 정책의 지원을 감안할 때, 투자자에게 여전히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2. 핵심 인사이트

주가 하락
  • DL이앤씨의 주가는 최근 6.47% 하락하며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경기 둔화 우려와 주요 건설사 실적 저조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적 증가
  • 2025년 2분기 DL이앤씨의 영업이익은 1,06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27.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원가율 개선에 기인한 것입니다.

도시정비 사업
  • 정부의 도시정비 사업 확대 정책에 따라 DL이앤씨는 재개발 및 재건축 프로젝트 수주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매출 성장 기회를 제공합니다.

안전 관리 강화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DL이앤씨는 최신 기술을 활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법적 규제를 준수하며 현장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 및 이유

  • 2025년 8월 3일 기준 DL이앤씨(375500)의 최근 주가는 44,100원으로, 지난 주와 비교하여 6.47% 하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가는 2025년 8월 1일 47,150원에서 8월 2일 44,100원으로 급락하면서, 거래량도 250,281 주로 증가했습니다.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건설업 전반의 경기 둔화와 관련된 우려로 분석되며, 특히 대출규제와 금리 상승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주요 건설사들의 실적 발표 결과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면서 주가가 약세를 보였습니다.

날짜종가(원)변동(원)변동률(%)
2025-07-2946,600--
2025-07-3046,700+100+0.22
2025-07-3147,150+450+0.96
2025-08-0144,100-3,050-6.43
  • null

  • 3-2. 코스피/코스닥 영향

  • DL이앤씨가 포함된 코스피 지수는 최근 몇 주간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DL이앤씨의 주가는 코스피 지수의 전반적인 하락 압력과 동일하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건설업체들의 실적 발표가 부진하게 나왔고, 경기 둔화 우려로 인해 종합적인 투자 심리가 위축되었습니다. 코스피 내 DL이앤씨의 비중은 시장 전반의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다른 건설사들과 함께 업종 지수도 부진한 실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3-3. 업종 동향 및 전망

  • 국내 건설업계는 상반기 실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매출 감소세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대형 건설사들인 DL이앤씨와 GS건설은 상반기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증가하며 긍정적인 성과를 내었으나, 신규 수주 목표에 대한 달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DL이앤씨는 공사비 상승과 원가율 개선 덕분에 영업 이익률이 상승했으나, 후속 수주와 관련하여 불확실성이 계속되며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도전받고 있습니다.

  • 3-4. 정책적 지원과 미래 실적

  • 정부의 공공분양 사업 확장과 정책적 지원이 건설업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높은 금리에 따른 건설사들의 재정 부담과 대출 규제의 여파로 사업 진행이 더딘 상황입니다. 하반기에는 신규 주택 공급이 대규모로 이루어질 것이므로, DL이앤씨와 같은 주요 건설사들의 실적이 이러한 변화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정부의 결정과 시장 분위기에 따라 DL이앤씨의 미래 실적은 크게 변동될 가능성이 큽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시공능력평가 결과와 DL이앤씨의 위상

  •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DL이앤씨는 4위를 기록하여 지난해에 비해 한 단계 상승하였습니다. 이번 평가에서는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이 각각 1, 2, 3위를 차지했으며, DL이앤씨는 11조 2,183억 원의 평가액으로 GS건설과의 격차를 줄임과 동시에 기술력 및 신뢰도를 표출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성장은 DL이앤씨의 재무 안정성과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잘 보여주는 지표로, 향후 신규 수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4-2. 도시정비 사업 확대와 DL이앤씨의 대응

  • 현재 국내 건설업계는 정부의 도시정비 사업 확대 정책으로 인해 매우 긍정적인 시장환경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DL이앤씨는 특히 주택 재개발 및 재건축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다양한 신규 프로젝트 수주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지원으로 인해 사업 기회가 확대되고 있으며, DL이앤씨는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수주 경쟁에 나설 것입니다.

  • 4-3. DL이앤씨의 2분기 실적 발표와 향후 전략

  • 2025년 2분기 DL이앤씨는 연결 기준 1조 9,914억 원의 매출과 1,262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각각 3.8%와 287.5%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신규 수주가 부진하여 향후 실적 향상이 하반기 수주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실적 향상은 효율적인 원가 관리와 선별 수주 전략에 기인하며 향후에도 이 같은 방침을 유지할 예정입니다.

  • 4-4. 중대재해처벌법과 건설업계의 안전 혁신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업계는 현장 안전 관리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고 있으며, DL이앤씨를 포함한 건설사들은 보디캠, 드론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안전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DL이앤씨는 모든 공사 현장에서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고, 실시간으로 위험 요소를 감지하여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법적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안전 관리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4-5. 스마트 건설과 드론 플랫폼 도입 현황

  • DL이앤씨는 업계 최초로 모든 주택 현장에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도입하여 건설 현장의 상황을 3D로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사 진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정확한 원가 관리 지원을 가능하게 하여 건설 현장 관리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은 DL이앤씨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6. 친환경 에너지 사업으로의 진출

  • DL이앤씨는 최근 친환경 에너지 기술에 대한 투자를 통해 차세대 소형모듈원전(SMR) 및 CCUS(탄소 포집 활용 저장) 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블루 암모니아 시장을 겨냥하고 있으며, 이는 DL이앤씨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투자와 기술 개발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전략이 될 것입니다.

  • 4-7. 공공분양 확대와 건설사의 경쟁

  • 정부의 공공분양 확대 정책에 따라 DL이앤씨는 민간 참여 공공분양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실수요자를 겨냥한 새로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각종 신규 주택 공급도 이어지고 있어 DL이앤씨는 향후 수익 기반을 더욱 확장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 4-8. 주택 시장의 전세가율과 신규 공급 반응

  • 최근 주택 시장에서 전세 가율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군산 지역에서는 전세 물건이 부족하여 신규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습니다. DL이앤씨의 신규 아파트는 상대적으로 낮은 분양가 덕분에 실수요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실수요를 청약시장으로 유도하는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내일부터 갈거임

  • 게시글 작성자들은 DL이앤씨의 주가 반등 가능성을 기대하며 내일부터 상승할 것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일부는 실제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으로, 이에 대한 기대감이 큽니다.

  • 5-2. 외국인놈들 간만에 매수들어왔노

  • 외국인 매수세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다는 의견이 많이 보였습니다. 이는 DL이앤씨에 대한 시장의 긍정적인 시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 5-3. 더 떨어지면 골치아파지네요

  •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할 경우 투자자들이 심각한 고통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적절한 매도 시점을 고려해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할 것입니다.

  • 5-4. 野 상법개정 찬성, 7월3일 통과 확실시

  • 상법 개정안이 통과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소식이 투자자들에게 전해지면서, 시장에서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 5-5. 3년반동안 존버하다가 탈출했었는데

  • 오랜 기간 동안 주식을 보유해 온 투자자들이 최근 주가에 대해 주목하고 있으며, 다른 투자자들에게 매도 시점을 알리는 의견도 많이 보입니다.

  • 5-6. 댓글에 속지말고

  • 온라인 댓글에 대한 경계를 강조하는 의견이 많이 있었습니다. 투자자들은 자사주 매입 소식 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 5-7. 자사주 매입 공시 왜 안하죠?

  • 투자자들은 자사주 매입에 대한 적극적인 공시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회사 측의 대응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 5-8. 미국 X~에너지 상장 예정

  • DL이앤씨와 관련된 X에너지의 상장 소식이 여러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대감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 5-9. 와 신용 공여율 경이롭다

  • 신용 공여율에 대한 우려와 불만의 목소리가 있으며, 투자자들은 시장에서의 경쟁 과열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 5-10. 목표가도 좋고 움직임도 좋습니다.

  • 종목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며 목표가에 대한 소문이 돌고 있는 중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이 될 것입니다.

  • 5-11. 신용들

  • 투자자들은 신용거래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고 있으며, 일부는 이를 기반으로 매도를 검토하는 동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5-12. 줬다 뺐는거 진짜 잘하지…

  • 투자자들은 자주 실시되는 손절매와 관련하여 반감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하루 중 여러 차례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5-13. 머 이;런

  • 한국 주식 시장의 불확실한 동향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불만과 실망감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5-14. 심하네

  • 주가의 하락과 관련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는 주식토론방에서 많은 언급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5-15. dl건설은

  • DL건설에 대한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특히 주가 하락과 관련된 사고가 발생했다는 기사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5-16. 많이 물어붙네

  • 외국인 투자자들에 대한 질문이 많이 늘어났으며, 이는 요즘 시장의 큰 관심사 중 하나로 보입니다.

  • 5-17. 진짜

  • 상장 기업들의 주가에 대한 불만이 보이며, 이에 대한 주식토론방 내에서의 반응이 뜨겁습니다.

  • 5-18. 니가 그럼 그렇지..ㅋㅋ

  • 거시경제적 요인이나 특정 업종의 주가 움직임에 대해 반조직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부 투자자들은 이를 지켜보며 경계하고 있습니다.

  • 5-19. 현대건설

  • 현대건설과 DL이앤씨 간의 경쟁 관계가 주식토론방 내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5-20. 아 오늘~~ 상승이 제한된 이유!!!

  • 최근 주가 상승의 제약 요인에 대한 의견이 주식토론방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 5-21. 끝났다

  • 주가의 하락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이어지고 있으며, 많은 투자자들이 이에 대한 애착을 잃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5-22. 뉴스에 팔아라 재료 소멸 세력이탈

  • 최근 뉴스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면서 투자자들이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 5-23. 원래 알던 국장처럼 돌아오네 ㅋ

  • 하락장세와 함께 투자자들의 심리적 불안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5-24. 세력들 오늘다털었네

  • DL이앤씨 주식에 대한 세력의 출현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는 주식시장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 5-25. 두빌 떨어진다고 ..

  • 두빌 관련하여 DL이앤씨와의 비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 5-26. 영원한 쓰레기다..ㅎㅎㅎㅎ

  • 투자자들이 주식에 대해 극단적인 불만을 나타내며, 이는 주식의 하락세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5-27. 신용 종자들 살 찌워서 잡아먹으려고

  • 신용 거래로 인해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 5-28. 증권사 투자의견 상승 나오는 날은 퍽락하는 날 공매 승 프매 승

  • 증권사에서의 긍정적인 투자의견이 나오는 날에도 주가의 하락이 계속되는 상황에 많은 투자자들이 실망을 표출하고 있습니다.

  • 5-29. 하..........진짜

  • 주식시장에 대한 불만과 실망감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 간의 대화에서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 5-30. 탈출기회 줄 때 탈출 안하고 뭐했노 ㅋㅋㅋㅋ

  • 주가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이 탈출 타이밍을 놓친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5-31. 장난치나?

  • 주식시장 상황을 비유적으로 언급하며, 투자자들은 불만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 5-32. 시세끝

  • 시장 상황에 대한 비관적인 견해가 다수 양산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에 대해 더욱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 5-33. 주포형 이건 너무한거 아니냐고~

  • 투자자들은 시장 조작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이는 그들의 불만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5-34. 한 번 쓰레기는 영원한...

  • 장기적으로 하락세에 있는 주식에 대한 불만과 불신이 투자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 5-35. 개미물량 다 털며 물량 잠구는중

  • 개미 투자자들이 불안함을 느끼며 물량 정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시장의 유동성이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뚜렷한 원가율 개선

  • DL이앤씨는 2025년 2분기 영업이익이 1,066억원(+227.4%, YoY)으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택 원가율이 개선됨에 따라 영업이익률도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저마진 현장의 준공 효과와 긍정적인 기저 효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 6-2. 전반적인 실적 기대감

  • 2Q25의 DL이앤씨 실적은 전년 대비 매출이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플랜트 및 토목 부문에서의 매출 증가가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인 주택 마진 개선과 함께 하반기에도 지속적인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 6-3. 도급증액 효과

  • 하반기에는 약 1,000억원 규모의 도급증액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DL이앤씨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도급증액 효과가 영업이익에 반영되면 고객 신뢰도가 더욱 높아져 시행 중인 프로젝트들의 안정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6-4. 정체된 실적 추정치

  • 다수의 전문가들은 2026년 이후 DL이앤씨의 이익 추정치가 정체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택 사업부의 수익성 개선에도 불구하고, 과거 저마진 현장과 플랜트 부문에서의 수익 기여가 감소함에 따라 실적 성장에 대한 우려가 존재합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유동자산 분석

  •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DL이앤씨의 유동자산은 5,989,692,340,094원이며, 이는 2023년 12월 31일의 5,782,745,971,638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유동자산의 증가는 기업의 단기부채 상환 능력 개선을 나타내어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기간유동자산 (KRW)
2024.06.305,989,692,340,094
2023.12.315,782,745,971,638
  • null

  • 7-2. 비유동자산 분석

  • 2024년 6월 30일 기준 비유동자산은 3,681,203,613,534원으로, 2023년 12월 31일의 3,561,312,786,542원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비유동자산의 증가는 기업의 장기적 투자능력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기간비유동자산 (KRW)
2024.06.303,681,203,613,534
2023.12.313,561,312,786,542
  • null

  • 7-3. 자산총계 분석

  • 2024년 6월 30일 자산총계는 9,670,895,953,628원으로, 이전 연도 기말인 9,344,058,758,180원 대비 증대하였습니다. 자산총계의 증가는 전반적인 재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기간자산총계 (KRW)
2024.06.309,670,895,953,628
2023.12.319,344,058,758,180
  • null

  • 7-4. 유동부채 분석

  • 2024년 6월 30일 기준 유동부채는 4,066,671,194,819원으로, 2023년 12월 31일의 3,748,597,999,373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유동부채의 증가는 단기 채무 부담이 증가했음을 나타내며, 유동자산의 증가와 조화를 이루어 안정적인 부채 관리가 중요합니다.

기간유동부채 (KRW)
2024.06.304,066,671,194,819
2023.12.313,748,597,999,373
  • null

  • 7-5. 비유동부채 분석

  • 비유동부채는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847,802,075,254원이며, 2023년 12월 31일의 826,679,543,508원에서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비유동부채의 관리가 잘 이루어질 경우, 장기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간비유동부채 (KRW)
2024.06.30847,802,075,254
2023.12.31826,679,543,508
  • null

  • 7-6. 부채총계 분석

  • 부채총계는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4,914,473,270,073원입니다. 이는 2023년 12월 31일의 4,575,277,542,881원 대비 증가한 수치입니다. 부채의 증가는 잠재적으로 재무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자산 증가와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간부채총계 (KRW)
2024.06.304,914,473,270,073
2023.12.314,575,277,542,881
  • null

  • 7-7. 자본금 및 자본총계 분석

  • 자본금은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229,292,680,000원이며, 자본총계는 4,756,422,683,555원으로, 이는 지난해 4,768,781,215,299원에서 소폭 감소한 수치입니다. 자본적정성이 향상되어 가고 있는 상황은 긍정적인 지표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기간자본금 (KRW)자본총계 (KRW)
2024.06.30229,292,680,0004,756,422,683,555
2023.12.31214,597,295,0004,768,781,215,299
  • null

  • 7-8. 매출액 분석

  • 2024년 6월 30일까지의 매출액은 2,070,221,320,14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970,578,742,239원보다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매출 성장세를 나타내며, 기업의 영업 증가를 기대하게 합니다.

기간매출액 (KRW)
2024.06.302,070,221,320,140
2023.06.301,970,578,742,239
  • null

  • 7-9. 영업이익 분석

  • 영업이익은 2024년 6월 30일 기준 32,569,939,240원으로, 2023년 6월 30일의 71,875,487,628원에서 감소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의 감소는 효율성이 저하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개선이 필요합니다.

기간영업이익 (KRW)
2024.06.3032,569,939,240
2023.06.3071,875,487,628
  • null

  • 7-10. 당기순이익 분석

  • 당기순이익은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40,644,556,452원이고, 이는 2023년 같은 기간의 35,532,525,069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재무성과를 반영하며 지속 가능한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기간당기순이익 (KRW)
2024.06.3040,644,556,452
2023.06.3035,532,525,069
  • null

8. 결론

  • DL이앤씨의 주가는 단기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특히, 정부의 지원과 도시정비 사업 확장, 스마트 건설 도입, 친환경 에너지 사업 진출은 회사의 미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하락 국면을 기회로 삼아 시장 진입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만, 투자 시점의 신중함이 요구되며,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9. 용어집

  • 9-1. DL이앤씨 [회사명]

  • DL이앤씨는 국내 건설업체로, 2025년 현재 주택, 플랜트, 토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하고 있으나, 경기 둔화와 대출 규제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해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DL이앤씨의 사업 전략 및 정책적 지원 여부는 향후 시장에서의 경쟁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2. 코스피 [전문용어]

  • 코스피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시가총액을 기반으로 한 주가 지수로, 전체 주식시장 트렌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DL이앤씨의 주가는 코스피 지수와 상관관계를 보이며, 시장의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코스피의 변동은 DL이앤씨의 투자자 신뢰도와 실적 전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9-3. 원가율 [전문용어]

  • 원가율은 특정 기간 동안의 매출액에서 발생한 원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건설업에서의 프로젝트 수익성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L이앤씨의 원가율 개선은 영업이익률 상승과 직결되며, 이는 기업의 재무 안정성 및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9-4. 중대재해처벌법 [법률]

  • 중대재해처벌법은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관리를 법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법률로, 건설업계에서의 법적 책임과 안전 기준을 높이고 있습니다. DL이앤씨는 이를 준수하기 위해 안전 관리 체계와 기술을 도입하여 변화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신뢰도와 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9-5. 스마트 건설 [기술명]

  • 스마트 건설은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건설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개념으로, DL이앤씨는 이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 플랫폼 등을 도입하여 건설 관리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사의 질과 효율성을 높여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6. 친환경 에너지 [전문용어]

  • 친환경 에너지는 환경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DL이앤씨는 차세대 소형모듈원전(SMR) 및 CCUS(탄소 포집 활용 저장) 사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발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전략으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기여할 것입니다.

  • 9-7. 도급증액 [전문용어]

  • 도급증액은 계약에 따른 대금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프로젝트의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DL이앤씨는 하반기 도급증액 효과를 통해 안정적인 프로젝트 진행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입니다.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