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고려제강: 주가 변동 및 산업 전망 분석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5년 07월 07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주식 토론방 리뷰
  5. 전문가들의 견해
  6. 재무 분석 및 해석
  7. 결론

1. 요약

  • 고려제강은 최근 원자재 가격 안정과 글로벌 제조업 회복에 힘입어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가 하락에 대한 우려와 상장 폐지 가능성 등 다양한 이슈가 존재합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고려제강의 주가 변동 현황, 업계 동향 및 재무 분석을 통해 향후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2. 핵심 인사이트

주가 상승
  • 고려제강의 주가는 최근 7일간 3.2% 상승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고,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거래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원자재 안정성
  • 원자재 가격의 안정세가 고려제강의 주가 상승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조업 회복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재무 악화
  • 고려제강은 2024년 3분기 연결손익계산서에서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경영 성과가 부정적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투자 심리 개선
  • 현재 주식 시장의 긍정적인 분위기와 투자자 심리 개선이 고려제강과 같은 안정적 기업들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있습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

  • 2025년 7월 1일부터 7일 사이에 '고려제강'의 주가는 17860원에서 시작하여 18430원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가는 일주일 동안 총 570원의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이는 +3.2%에 해당합니다. 특히, 7월 3일에는 하루 최대 상승폭인 250원을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고가로는 18490원이, 저가는 17810원이었으며, 주간 거래량도 평균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또한, 외국인 투자자들은 평균적으로 긍정적인 거래를 보였고, 이는 주가 상승에 기여하였습니다.

날짜시가(원)종가(원)변동폭(원)변동률
2025-07-011786018110250+1.40%
2025-07-021811018390250+1.38%
2025-07-03183901843040+0.22%
2025-07-0418430184300+0.00%
  • null

  • 3-2. 주가 변동 이유 및 전망

  • 고려제강의 주가 상승은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우선, 최근 원자재 가격의 안정세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의 제조업 회복세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추가적으로, 기업의 실적 개선 및 배당 소식 등이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여줬으며, 이는 주가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앞으로도 원자재 가격 안정세가 지속된다면, 주가는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단기적인 주가 조정이 나타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입니다.

  • 3-3. 코스피/코스닥 영향

  • 고려제강의 성장은 전반적인 코스피 지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코스피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며, 이는 제조업 중심의 기업들의 실적 호조와 무관치 않습니다. 코스닥 지수 역시 IT 및 바이오 중심의 기업들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반등하고 있습니다. 고려제강의 주가 상승은 코스피 전체 상승 분위기와 일맥상통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이 코스피 400대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이 영향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 3-4. 업계 동향

  • 현재 철강 업계는 전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상황입니다. 원자재 가격의 안정과 수요 증가로 인해 글로벌 철강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수출입 통화 정책 변동에 따라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어 이는 한국 철강 기업에게도 기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고려제강은 이러한 업계 유망 동향 속에서 안정적인 발판을 마련하고 있으며, 품질 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3-5. 주식 시장 분위기

  • 현재 주식 시장 전반은 긍정적인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심리가 개선되면서 시장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 투자자와 기관 투자자의 매수세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려제강과 같은 안정적인 기업들은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호평을 받고 있으며, 이는 주가 상승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식 시장의 분위기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4. 주식 토론방 리뷰

  • 4-1. 주식 하락에 대한 우려

  • 최근 고려제강 주식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러 투자자들이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하며, 12000원대까지 하락할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지속적인 하락을 겪고 있으며, 16000원은 갔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하락 추세 속에서 감정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부는 '욕나온다'는 불만을 하기도 했습니다.

  • 4-2. 고려제강의 미국 공장 보유

  • 고려제강의 미국 내 공장 보유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존재합니다. 과거 1999년부터 시작된 미국 현지 공장 설립 이력이 주목받고 있으며, 아르셀로미탈로부터 인수한 공장을 통해 생산능력을 확장한 점도 긍정적 요소로 보입니다. 미국 시장 진출이 회사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관세 폭탄에서도 좋은 카드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 4-3. 주가 저평가에 대한 논의

  • 주가가 지나치게 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고려제강이 매출 2조에 불구하고 시가총액이 4천억인 점에 대해 기업 자존심을 지키길 바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를 방어하고, 손실을 최소화하길 원하는 않습니다.

  • 4-4. 상장 폐지 우려

  • 상장 폐지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거래량 부족으로 인해 상장폐지 조건이 충족될 가능성에 대해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투자자들은 거래량의 부족이 상장 폐지로 이어질 것이라며 불안감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 4-5. 거래량에 대한 불만

  • 고려제강 주식의 거래량이 저조하다는 점이 여러 번 언급되었습니다. 투자자들은 하루 거래량이 상장 폐지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견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최소한의 거래량이 확보되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10만 주 이상의 거래량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4-6. 연간 배당금 지급

  • 배당금 지급에 대한 문의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올바른 배당 지급 시기를 기대하며 대화를 나누고 있으며, 배당금을 통한 주주 환원 정책이 주가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 4-7. 미국 관세 영향

  • 미국 관세와 반덤핑 규제가 고려제강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이 직면한 긴급한 상황 속에서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유지가 우려스럽다는 의견이 있으며, 관세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4-8. 전망 및 투자 희망

  • 고려제강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일부 보이고 있으며,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투자자들은 고려제강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흑자 경영을 지속하길 바라며 회복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5. 전문가들의 견해

  • 5-1. 투기적 순매수 시그널

  • 최근 증시에서는 일반적인 펀드 자금의 매도 및 매수가 출회되기 어려운 환경에서, 개인 외국인의 과도한 회전율을 기반으로 한 투기적 순매수가 관찰되고 있습니다. 이는 대형주의 잦은 변동성을 초래하고 있으며, 장중 10% 이상의 급등과 하락을 나타내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 5-2. 외국인 및 개인의 거래 회전율

  • 외국인과 개인 투자자의 매매 회전율이 높아지면서, 각종 모멘텀 주식의 움직임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 둘의 매수 및 매도 레벨은 평균 거래 대금의 3배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KOSPI 기준 비차익 프로그램 매매에서 확인된 바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 5-3. 시장의 일중 변동성 증가

  • 전반적으로 대형주의 일중 변동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특정 종목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LG씨엔에스와 같은 종목들이 상장 주식 수의 2%대가 외국인 매수에 의해 크게 움직이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5-4. MSCI 리밸런싱의 영향

  • MSCI 리밸런싱일에 맞춰 비차익 매도 및 매수의 회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KOSPI의 외국인 비차익 프로그램 매매와의 상관관계가 높으며, 이는 특정 시점의 시장 상황을 적절히 반영하는 한편, 전체 시장의 흐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5-5. 신용융자 스캘핑 현상

  • 최근 KOSPI 대형주를 기준으로 한 신용융자 스캘핑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주에 대한 신용융자 체결 금액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과도한 레버리지 투자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파생상품의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이 이러한 거래를 지속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6. 재무 분석 및 해석

  • 6-1. 손익계산서 분석

  • 2024년 1분기부터 3분기까지의 연결손익계산서 분석을 통해 고려제강의 재무 성과를 살펴보겠습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의 매출액은 425, 078, 098, 71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제조업과 산업 전반의 경기 둔화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은 -5, 305, 065, 027원으로 적자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고정비용 상승과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인한 수익성 저하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당기순이익 또한 -21, 486, 747, 952원을 기록하여 경영 성과가 부정적입니다.

  • 이러한 재무적인 상황은 결국 투자자에게 주가 하락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항목2024년 3분기2023년 3분기변화량
매출액 (KRW)425, 078, 098, 710435, 395, 604, 836-10, 317, 506, 126
영업이익 (KRW)-5, 305, 065, 02712, 088, 120, 603-17, 393, 185, 630
당기순이익 (KRW)-21, 486, 747, 95221, 556, 963, 942-43, 043, 711, 894
  • null

  • 6-2. 재무상태표 분석

  • 2024년 3분기 재무상태표를 검토한 결과, 고려제강의 유동자산은 1, 155, 344, 885, 784원으로, 한 해 전의 1, 075, 549, 770, 909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비유동자산도 증가세를 나타내며, 총자산은 2, 564, 378, 912, 830원을 기록하여 내구성 있는 구조를 보여줍니다. 반면,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는 각각 464, 198, 409, 581원, 240, 292, 073, 703원을 기록하여 부채 비율이 다소 증가한 점은 경계해야 할 사항입니다.

  • 자본총계는 1, 859, 888, 429, 546원을 기록하며,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이 안정적이지만 영업적자를 통해 순자산의 증가는 제한적으로 보입니다.

항목2024년 3분기2023년 연말변화량
유동자산 (KRW)1, 155, 344, 885, 7841, 075, 549, 770, 90979, 795, 114, 875
비유동자산 (KRW)1, 409, 034, 027, 0461, 375, 730, 873, 33333, 303, 153, 713
총자산 (KRW)2, 564, 378, 912, 8302, 451, 280, 644, 242113, 098, 268, 588
유동부채 (KRW)464, 198, 409, 581446, 167, 186, 30418, 031, 223, 277
비유동부채 (KRW)240, 292, 073, 703209, 902, 777, 36030, 389, 296, 343
자본총계 (KRW)1, 859, 888, 429, 5461, 795, 210, 680, 57864, 677, 748, 968
  • null

7. 결론

  • 고려제강의 주가는 긍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불확실한 요소들이 존재합니다. 외국인 투자자의 긍정적인 거래 흐름과 업계 전반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고려제강은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그러나 상장 폐지 우려와 재무 부담이 여전히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니 이 회사에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은 반드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결단의 순간'이 다가오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정보 수집과 신속한 판단이 요구됩니다.

8. 용어집

  • 8-1. 고려제강 [회사명]

  • 고려제강은 한국의 대표적인 철강 제조업체로, 국내외 시장에서 다양한 제품군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기업은 최근 원자재 가격 안정세와 제조업 회복세의 혜택을 받고 있어 주가 상승에 기여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내 공장 보유에 힘입어 미국 시장 진출에서도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 8-2. 코스피 [지수명]

  • 코스피는 한국의 주요 주식 시장 지수를 말하며,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고려제강의 성장은 코스피 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체 시장의 상승세와 연결돼 있습니다.

  • 8-3. 주가 [전문용어]

  • 주가는 특정 주식의 시장 가격을 의미하며, 기업의 실적, 글로벌 경제 상황, 시장 심리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고려제강의 주가는 최근 원자재 가격 안정과 기업 실적 개선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8-4. 영업이익 [전문용어]

  • 영업이익은 기업이 본업에 의해 창출한 수익을 보여주는 지표로, 매출에서 영업비용을 차감한 값입니다. 고려제강의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는 고정비용 상승 및 원자재 가격 인상에 기인하고 있습니다.

  • 8-5. 당기순이익 [전문용어]

  • 당기순이익은 기업이 특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총수익에서 총비용을 차감한 결과로, 기업의 경영 성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고려제강은 최근 당기순이익이 적자를 기록하여 투자자들에게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 8-6. 배당금 [전문용어]

  • 배당금은 기업이 주주에게 지급하는 이익의 일정 비율을 의미합니다. 고려제강의 배당금 지급 여부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는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8-7. 관세 [전문용어]

  • 관세는 수출입 시 국가가 부과하는 세금으로, 고려제강의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이러한 관세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9.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