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LG유플러스, SK텔레콤의 해킹 사고 이후 고객 쟁탈전의 중심에 서다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5년 06월 23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LG유플러스는 최근 SK텔레콤의 해킹 사건으로 인한 고객 이탈을 기회로 삼아 경쟁 강화와 재무 건전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 새로운 보안 정책,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을 통해 기업 가치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는 향후 주가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2. 핵심 인사이트

AI 데이터센터
  • LG유플러스는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통해 향후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2027년 완공 예정입니다.

보조금 경쟁
  • 단통법 폐지 이후 통신사 간의 보조금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며, LG유플러스는 이를 통해 고객 유치에 나설 계획입니다.

자사주 매입
  • 주가 부양을 위해 LG유플러스는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해 주주 가치를 높이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영업 실적
  • 2025년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며 고객 기반 확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 또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과 요인

  • 2025년 6월 20일 LG유플러스의 현재 주가는 13, 260원이며, 최근 일주일 동안의 주가는 13, 040원에서 13, 270원으로 변동하며 기대감과 우려가 혼재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따른 주가의 주요 변동 요인은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고로 인한 가입자 이탈과 각각의 통신사들이 제공하는 보조금 경쟁의 격화입니다. SK텔레콤은 약 56만명의 가입자가 경쟁사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LG유플러스를 포함한 통신사들에게 새로운 고객 유치 기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LG유플러스의 시가총액은 5조 7, 720억원으로 코스피에서 8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통해 주가를 부양하려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사주 소각은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공하며 앞으로라도 추가 매입 계획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 3-2. 코스피/코스닥의 영향

  • 현재 코스피 지수가 2, 977로, 적정 수준에서 소폭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의 외국인 매수세로 코스피가 반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LG유플러스와 같은 기업의 주가에 긍정적인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최근 통신주들 중에서도 LG유플러스가 코스피에서 상대적인 성과를 보여주면서 안정적인 실적 발표로 주가를 유지할 수 있는 대외적 요건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입니다.

  • 이와 함께 코스닥 지수는 782에 머무르며, 주요 기업들의 실적 지표에 따라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통신사가 관련된 B2B 시장에서의 AI 전환 노력과 같은 요소들이 서비스 성장의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3-3. 업계 동향

  • 현재 이동통신 시장은 SK텔레콤의 해킹 당한 유심 정보 유출 사건 이후 치열한 고객 쟁탈전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100만 원에서 120만 원까지의 보조금을 제공하며 전열을 가다듬고 있으며, 이는 사실상 '공짜폰'에 가까운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 또한, 단통법이 이달 22일에 폐지될 예정이어서 이를 앞두고 통신사들 간의 보조금 경쟁이 더욱 가열될 전망입니다. LG유플러스는 자사주 소각과 보조금 공격으로 시장 상황에 대비하고 있으며, KT 역시 AI 기반의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 3-4. 주식 시장 분위기

  • 현재 시장 분위기는 SK텔레콤의 해킹 사건 후 긴장감이 감돌고 있으며, 보조금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통신사 간의 보조금 경쟁이 단기적으로 소비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지만, 이는 곧바로 수익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 한편, 최근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 증가로 인해 기업 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도 존재하지만, 주의 깊은 시장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해석이 지배적입니다. 이번 달 말 단통법 폐지 이후의 시장 상황이 이번 여름에 걸쳐 어떻게 변화할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AI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 심화

  • 최근 AI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SK그룹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하여 울산에 7조원 규모의 AI 데이터센터를 세우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LG유플러스도 파주에 6156억원 규모의 AI 특화형 데이터센터 설계하고 있으며, 완공 예정은 2027년입니다. 이러한 경쟁 속에서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이 2030년까지 약 634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국내 기업들의 AI 데이터센터 수급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AI 데이터센터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공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전 세계 데이터센터 수요는 평균 22%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시장 상황에서 경쟁사들이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서면서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4-2. SK텔레콤 영업 재개와 보조금 대전

  • SK텔레콤이 유심 해킹 사건 이후 40일 간의 영업 중단을 마치고 eSIM을 통한 신규 가입 영업을 재개했습니다. 이후 SK텔레콤은 가입자 탈출 방지와 점유율 40% 유지에 집중할 것으로 보이며, KT 및 LG유플러스는 이러한 기회를 활용하여 천문학적 보조금을 제공, '보조금 대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 이달 22일에는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즉 단통법이 폐지될 예정으로, 판매 점 유통망에서의 보조금 경쟁이 더욱 격화될 것입니다. 이동통신업계에서는 SK텔레콤이 보조금 지급을 통해 이탈한 가입자를 다시 유치하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4-3. LG유플러스 보안 전문 매장 운영

  • LG유플러스는 고객 보안 강화를 위해 전국 1800개 매장을 ‘U+보안 전문 매장’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매장들은 피싱, 스미싱 등 디지털 범죄로부터 고객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교육받은 상담사들을 배치하여 피해 진단, 악성 앱 삭제 및 결제 차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와 더불어 LG유플러스는 ‘안티 딥보이스’와 같은 AI 기능을 통해 고객의 보이스피싱 예방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고객의 통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객 보호 정책은 해킹 사건 발생 이후 고객 신뢰 회복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 4-4. 토스모바일 CU 요금제 출시

  • 토스모바일은 LG유플러스 망을 이용하는 새로운 CU 요금제를 출시하며 데이터와 통화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 요금제는 고객이 각종 혜택을 통해 가계 통신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CU 편의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20% 할인과 5% 포인트 적립 혜택을 결합하였습니다.

  • 이 요금제는 유연한 요금 계획을 제공하므로 고객은 사용 패턴에 맞는 구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토스모바일은 이런 방식으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고객에게 다양한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4-5. LG유플러스, 부산대와 AI 교육지원 협력

  • LG유플러스는 부산대학교와 협력하여 AI 기반 맞춤형 교육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협약은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성장 및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양측은 LLM 학습용 데이터 구축, AI 에듀테크 사업 협력을 포함한 다양한 공동 연구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AI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 4-6. 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 활용 증가

  • LG유플러스는 AI 통화 에이전트 서비스인 '익시오'의 성과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의 통화 편의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통화 중 실시간으로 보이스피싱을 탐지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고객의 안전한 통화 환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또한 LG유플러스는 익시오에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하며 서비스 고도화에 나서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AI 통화 시스템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1차매도

  • 최근 토론방에서는 LG유플러스의 실적 예측에 대한 의견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자사주 매입 필요성을 지적하는 의견이 다수 있습니다. 특히 실적 예상치에 도달하여 상승 요인이 부족하다는 우려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보면, 투자자들은 향후 주가 상승 전망에 대해 다소 비관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 5-2. 2022년 6월 15일 SKT 첫 해킹

  • 최근 SKT의 해킹 사건과 관련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LG유플러스 또한 관련된 논란에 휘말리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기업의 대응 방식에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전체 통신 업계에 큰 파장이 예상됩니다.

  • 5-3. 개인정보위는 SKT 계약서 위조 자백 받아내라

  • 토론방에서는 SKT의 고객 정보 유출 사건과 관련한 법적 대처에 대한 의견이 많습니다. 특히 LG유플러스와 KT도 여기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우려가 표명되며, 정보 보호에 대한 법적 조치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들의 대응이 얼마나 투명하고 신뢰성 있게 진행되는지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습니다.

  • 5-4. 자사주 소각 언제할래?

  • 투자자들은 자사주 소각에 관한 기업의 약속 이행을 조속히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기를 바랍니다. 현재 시점에서 기업이 약속한 일정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 점에 대한 불만도 다수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는 주주들에게 큰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 5-5. 10만 주가는 반영되어야!!!

  • 주가가 낮게 형성되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해 투자자들은 자사주 매입과 배당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주가가 안정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향후 주가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 5-6. 통신사업자 중 꼴찌인 이유>>주가도 꼴찌??

  • LG유플러스의 주가가 다른 통신사에 비해 저조한 이유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 징후 및 이전의 경영 방침이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업계 시황이 허를 찌르는 상황에서도 기업 회복이 가능할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5-7. 맨날!!

  • 하루하루 반복되는 시세 움직임에 대한 불만이 표출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보다 뚜렷한 가격 변동을 원하고 있습니다. 시장의 분위기가 파악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으며, 앞으로의 변동성을 주의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 5-8. 하루

  • 소액 투자자 관계자들은 현재 주가는 비현실적이라고 여기며, 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투자 심리에 비해 현재 주가의 가치가 불안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당 의견들은 향후 주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5-9. 이제 가즈아 제발

  • LG유플러스의 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는 게시글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많은 투자자들의 감정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상반기에 대한 좋은 성적을 기대하며, 그 가능성에 대한 여러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서비스는 국내, 장비는 미국 정책 수혜주

  • 신정권 출범 후 KOSPI의 급등과 함께 통신서비스 업종이 실질적 정책 수혜주로 다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배당 촉진을 통한 국민의 주식 투자 장려를 발표하였고, 이소영 의원이 발의한 배당 소득세법 개정안도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현재 통신 3사의 평균 배당 성향이 50%를 넘고 있으며, 향후 통신주에 대한 수급도 기대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 6-2. 아직 시작도 안했습니다.

  • 대신증권은 LG유플러스의 올해 YTD 주가 상승률이 +26%로 업종 내 첫 번째로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배당 성향 증가와 안정적인 이익 성장 측면에서 주목해야 할 기업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 카랑의 인수로 인해 성장 잠재력이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하며, 목표주가는 17, 000원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 6-3. 이재명 정부의 '첨단산업 국민펀드'

  • 이재명 정부는 AI 등 첨단전략 산업에 10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글로벌 기업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은 특정 산업의 선별과 대표 종목 편입을 통해 추진될 것으로 전망되며, LG유플러스처럼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기업에게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 6-4. 2025년 하반기 유망 이슈/테마

  • 2025년 하반기에는 사이버보안, 체외진단, 미디어랩사, 패션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사이버보안은 SKT 해킹 사건 이후 법적 및 정책적 변화가 유도될 것으로 기대되며, LG유플러스와 관련한 보안 분야의 투자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6-5. 기술력 높은 SDV 솔루션 및 서비스 전문기업

  • 오비고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 중입니다. 자율주행 차량( SDV) 관련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시장의 확대 가능성에 따라 많은 기회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LG유플러스와의 협력은 오비고의 사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재무상태표 분석

  •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LG유플러스의 유동자산은 5, 531, 364, 000, 000원으로, 전 분기(2024년 4분기)의 5, 263, 896, 000, 000원 대비 267, 468, 000, 000원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유동성 확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단기적인 재무건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비유동자산은 14, 119, 648, 000, 000원으로, 이전 분기 14, 443, 834, 000, 000원에서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자산 구조 조정을 통해 비유동자산 비율을 낮추고 유동자산을 증가시킨 것을 반영합니다. 전체 자산 총계는 19, 651, 012, 000, 000원으로, 전 분기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안정적인 자산 규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부채총계는 10, 897, 327, 000, 000원으로, 이전 분기 10, 939, 351, 000, 000원 대비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부채 비율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더욱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가 될 것입니다.

  • 자본총계는 8, 753, 685, 000, 000원으로, 여전히 강력한 자본 기반을 유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항목2025년 1분기 (원)2024년 4분기 (원)변동액
유동자산5, 531, 364, 000, 0005, 263, 896, 000, 000267, 468, 000, 000
비유동자산14, 119, 648, 000, 00014, 443, 834, 000, 000-324, 186, 000, 000
자산총계19, 651, 012, 000, 00019, 707, 730, 000, 000-56, 718, 000, 000
유동부채5, 170, 785, 000, 0005, 116, 288, 000, 00054, 497, 000, 000
비유동부채5, 726, 542, 000, 0005, 823, 063, 000, 000-96, 521, 000, 000
부채총계10, 897, 327, 000, 00010, 939, 351, 000, 000-42, 024, 000, 000
자본총계8, 753, 685, 000, 0008, 768, 379, 000, 000-14, 694, 000, 000
  • null

  • 7-2. 손익계산서 분석

  • 2025년 1분기 LG유플러스의 매출액은 3, 748, 090, 000, 000원으로, 작년 동기인 2024년 1분기 3, 576, 966, 000, 000원 대비 171, 124, 000, 000원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나타내며 고객 기반이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영업이익은 255, 427, 000, 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20, 931, 000, 000원에 비해 상승하였으며, 영업비용이 더딘 증가율을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비용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 법인세차감전 순이익은 200, 536, 000, 000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4, 738, 000, 000원의 증가를 보여주며, 최종적으로 당기순이익은 162, 472, 000, 000원으로, 역시 지난해보다 증가하였습니다.

  • 이는 전반적인 사업 성과와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입니다.

항목2025년 1분기 (원)2024년 1분기 (원)변동액
매출액3, 748, 090, 000, 0003, 576, 966, 000, 000171, 124, 000, 000
영업이익255, 427, 000, 000220, 931, 000, 00034, 496, 000, 000
법인세차감전 순이익200, 536, 000, 000165, 798, 000, 00034, 738, 000, 000
당기순이익162, 472, 000, 000130, 422, 000, 00032, 050, 000, 000
  • null

8. 결론

  • LG유플러스는 통신시장 내에서의 변화와 기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의 해킹 사건을 맞이하여 고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안정적인 재무 구조와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는 미래의 긍정적인 전망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LG유플러스에 대한 투자는 신중하면서도 큰 잠재력이 있는 선택이 될 것입니다. 단, 시장 변동성과 외부 요인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9. 용어집

  • 9-1. LG유플러스 [회사명]

  • LG유플러스는 국내 이동통신사로, 통신 서비스와 초고속 인터넷 등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통신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SK텔레콤의 해킹 사건 이후 고객 쟁탈전이 심화되는 가운데, LG유플러스는 자사주 소각 및 보조금 경쟁을 통해 주가 상승을 꾀하고 있습니다. 또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고객 보안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 혁신적인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9-2. AI 데이터센터 [기술명]

  • AI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 기반의 데이터 처리 및 저장을 위한 시설로, 최근 LG유플러스가 파주에 설계 중인 6, 156억원 규모의 AI 특화형 데이터센터와 SK그룹의 AI 데이터센터 구축 등이 포함됩니다. 이는 통신사들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객에게 더욱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9-3. 보조금 경쟁 [전문용어]

  • 보조금 경쟁은 통신사들이 고객 유치를 위한 요금제와 혜택을 경쟁적으로 도입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현재 LG유플러스, KT 등의 통신사는 고객 쟁탈전을 위해 막대한 보조금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혜택을 줄 수 있지만 기업의 수익성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9-4. SK텔레콤 [회사명]

  • SK텔레콤은 한국의 대형 이동통신사로, 최근 유심 해킹 사건으로 인해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 사건은 통신 업계 전반에 파장을 미치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의 사건이 LG유플러스와 KT와 같은 경쟁사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고객 유치 및 유지 전략에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습니다.

  • 9-5. 단통법 [전문용어]

  • 단통법(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은 한국의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 및 보조금을 규제하는 법으로, 그 폐지 여부는 통신사 간의 보조금 경쟁과 시장 상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LG유플러스가 이 법의 폐지 이전에 보조금 경쟁을 강화하고 있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9-6. 자사주 매입 [전문용어]

  • 자사주 매입은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다시 사들이는 행위로,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주가 부양을 위한 노력으로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는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9-7. 피싱 방지 [전문용어]

  • 피싱 방지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들을 의미합니다. LG유플러스는 ‘안티 딥보이스’를 통해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고 있으며, 이는 고객의 안전한 통화 경험을 보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9-8. AI 통화 에이전트 [기술명]

  • AI 통화 에이전트는 고객 통화 시 실시간으로 정보를 분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기술로, LG유플러스가 서비스하는 '익시오'가 대표적입니다. 이 시스템은 고객의 통화 관련 개인정보 보호와 서비스 편의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9-9. 부산대학교 [회사명]

  • 부산대학교는 LG유플러스와 협력하여 AI 기반 맞춤형 교육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교육기관입니다. 이 협력은 지역사회의 성장 및 인재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LG유플러스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일환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