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코오롱인더, 차세대 소재 생산시설 신설로 주가 상승 기대감 고조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5년 06월 30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코오롱인더는 차세대 동박적층판 소재인 mPPO 생산시설 신설 소식과 긍정적인 아라미드 시장 전망 등으로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이어지며 전반적인 기업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코오롱인더의 최근 주가 변동 현황과 주요 상승 요인을 분석하였습니다.

2. 핵심 인사이트

주가 상승
  •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 일주일 동안 주가가 5.13% 상승하며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습니다. 39,400원에서 시작해 45,200원에 도달한 주가는 생산시설 신설과 같은 긍정적인 뉴스로 인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mPPO 생산시설
  •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약 340억원을 투자하여 차세대 동박적층판 소재인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PPO) 생산시설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 시설은 2026년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 수요 증가에 따른 경쟁력을 강화할 것입니다.

아라미드 성장
  • 아라미드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코오롱인더스의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방산 및 통신 시장에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며, 나아가 매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속 가능한 패션
  • 코오롱FnC는 재고 의류 리사이클링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 가능한 패션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객의 신뢰를 얻고, 글로벌 패션 시장에서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

  •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주가는 지난 일주일 동안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2025년 6월 24일 주가는 39,400원이었던 반면, 6월 27일에는 45,100원, 6월 28일에는 45,200원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일주일 동안의 주가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가 상승폭은 5.13%로 조정되었으며, 거래량도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날짜종가(원)변동량변동률
2025-06-2439,4005,800+18.14%
2025-06-2539,450250+0.77%
2025-06-2642,5503,500+7.99%
2025-06-2745,1002,150+5.13%
2025-06-2845,2002,150+5.36%
  • null

  • 3-2. 주가 상승 요인 분석

  • 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코오롱인더스트리가 발표한 생산시설 신설과 연관된 여러 긍정적인 뉴스입니다. 특히, 6월 27일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차세대 동박적층판 소재인 mPPO의 생산시설을 새로 짓기로 하여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코오롱의 아라미드 제품이 시장에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으며, 가격 상승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주가 상승세를 견인하였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 3-3. 코스피/코스닥 시장 영향

  •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 매도세 속에서도 개인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매수하며 코오롱인더의 주가 상승에 기여하였습니다. 특히, 외국인의 차익 실현 매도세가 주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하며 코스피 지수는 안정세를 유지했습니다. 최근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가 상승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기술적 과매도 구간으로 진입했다는 분석이 존재합니다.

  • 3-4. 업계 동향 및 전망

  •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냉감 소재와 아라미드 섬유 분야에서 긍정적인 시장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K패션의 성장과 함께 코오롱 브랜드의 인지도 상승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제조업의 기회가 될 새로운 생산시설과 경쟁력을 갖춘 제품들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코오롱인더의 실적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과 함께 최근 발표된 생산시설 신설과 같은 호재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코오롱인더, 차세대 전자소재 공장 구축

  • 코오롱인더스트이는 최근 약 340억원을 투입하여 경북 김천2공장에 차세대 동박적층판(CCL) 핵심 소재인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PPO) 생산시설을 구축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 공장은 2026년 2분기에 완공될 예정이며, mPPO는 초고속 통신 및 인공지능(AI)에 활용될 고성능 전자소재입니다. 기존의 에폭시 수지에 비해 3~5배의 전기 차단 능력을 갖춰, 전 세계적으로 mPPO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세계 mPPO 수요가 올해 4600t에서 2030년까지 9700t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전자 소재 분야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려 합니다.

  • 4-2. 냉감섬유 공략 나선 석화사..잇따라 신제품 출시

  • 국내 석유화학사들은 여름을 맞아 냉감 소재 신제품을 연이어 출시하고 있으며, 특히 코오롱인더스트리와 휴비스가 생산 시설을 확대하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오롱인더는 HDPE 기반의 냉감 원사를 생산하고 있으며, 휴비스 또한 고기능성 냉감 소재를 개발하여 의류 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은 향후 더 나은 냉감 기능을 가진 제품의 출시를 촉발하고 있으며, 글로벌 냉감 섬유 시장이 2026년까지 연평균 17.3%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 4-3. 코오롱스포츠, 양궁 테마 '에임 셋 슛 컬렉션' 출시

  • 코오롱스포츠는 파리올림픽 양궁 화 '아처삭스'의 성공을 기반으로 '에임 셋 슛(Aim, Set, Shoot)' 컬렉션을 출시하였습니다. 이 컬렉션은 티셔츠, 볼캡, 양궁햇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제품은 여름철 활동에 적합한 냉감 원사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특히, 양궁햇은 2024 파리올림픽 양궁 국가대표 선수들의 디자인과 동일하여 높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컬렉션은 경기복의 사운더와 일반 소비자를 위한 스포츠웨어 영역을 확장하는 중요한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4-4. K-패션 중국 시장 공략 강화

  • 코오롱스포츠와 같은 한국 패션 브랜드들이 중국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618 쇼핑 행사'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올해 기간 동안 코오롱은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링동에서 아웃도어 브랜드의 영향력을 강화하였고, 연내 첫 오프라인 매장을 개설 예정이다. 이는 중국 내에서 K-패션의 인지도를 높이는 발전적인 전략으로, 계속해서 이 시장에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입니다.

  • 4-5. 코오롱FnC, '래코드' 통해 재고 의류 리사이클링

  • 코오롱FnC는 지속가능한 패션을 위해 재고 의류를 리사이클링하는 '래코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자사 미판매 재고를 새로운 상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지난해 4분기 동안 수천 개의 재고 의류를 처리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글래벌 패션 시장에서의 지속가능성 트렌드에 부합하며, 고객의 신뢰를 얻기 위한 중요한 방안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4-6. 코오롱스포츠, 여름철 냉감 워크웨어 제품군 확대

  • 코오롱FnC의 워크웨어 브랜드 볼디스트는 여름을 맞아 냉감 기능이 강화된 제품을 대량 출시하였습니다. 기존 작업복에 통기성과 흡습속건 기능을 추가하여 여름철에도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 제품군은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에게 적합하여, 현장 작업자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4-7.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코오롱FnC의 전략

  • 기후 변화로 인해 패션업계가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코오롱FnC는 중장기적인 해외 시장 개척과 경기 효율화 전략을 통해 회복세를 노리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이상 기후가 판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기반한 반응형 기획과 생산 시스템을 강화하여 재고 부담을 줄여나갈 계획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지속 가능한 패션 브랜드의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 4-8. 전고체 배터리 관련 주목받는 코오롱인더

  •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서 급증하는 수요에 발맞추기 위해 관련 소재의 개발과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AI와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전고체 배터리에서의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이 부문에서의 생산 시설 및 기술 투자 확대로 실적 개선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이 확대되면서 가능한 전략입니다.

  • 4-9. 아라미드 시장의 성장세 및 코오롱인더의 대응

  • 아라미드 가격이 최근 상승세를 보이며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5G 통신망 구축에 따라 아라미드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렇게 될 경우 코오롱인더는 해당 시장에서 중요한 수혜를 입을 것입니다. 이 같은 아라미드 시장의 성장은 전체 매출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 4-10. 볼디스트, 여름철 냉감 작업복 라인 출시

  • 코오롱FnC의 볼디스트가 여름철을 맞아 냉감 기능이 강화된 작업복 라인을 새롭게 출시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고온 환경에서 일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통기성과 흡습 속건 기능을 최대로 높여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게 됩니다. 특히 여름철 작업자들의 안전과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습니다.

  • 4-11. 탈탄소 시장에 대응하는 코오롱인더의 움직임

  • 코오롱인더스트리는 탈탄소 시장에 대응하여 재활용 원료를 사용한 타이어코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재활용 기반의 제품을 통해 고객사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친환경 제품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한 원료 비율이 높아지는 환경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PBR 및 상법 개정 기대

  • 투자자들은 코오롱인더의 현재 PBR이 0.3배로 매우 저평가되어 있다고 언급하며, 상법 개정이 이루어질 경우 저평가된 기업들이 주목받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가 저PBR 주식에 대한 정책을 언급한 바 있어, 상법 개정이 코오롱인더의 가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이 있습니다. 일부 의견에서는 주가가 5000원 정도로 상승해야 저PBR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 5-2. 장기 보유와 개인 투자자 심리

  • 장기 보유 투자자들은 주가가 상승하기를 기대하면서 인내를 가지고 기다리고 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물린 주식으로 인해 고민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고평가된 주식과의 비교를 통해 비관적인 전망을 담고 있기도 합니다. 특히 지난 5년 동안 주가가 하락세를 보였던 만큼 올해는 보람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

  • 5-3. 코오롱인더 산업 전망

  • 코오롱인더가 아라미드라는 방산 소재에서 상당한 성장 가능성을 가질 것이라는 전망이 있습니다. 방산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코오롱인더가 이를 수혜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파라아라미드 시장에서의 성장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특히 AI 반도체 소재 분야에서도 코오롱인더의 제품이 기여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분석이 있었습니다.

  • 5-4. 주가 상승 원인

  • 코오롱인더의 주가 상승에는 아라미드 시장의 성장성과 신규 사업 진입, 그리고 외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파라아라미드의 시장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이를 뒷받침하는 생산 능력 또한 확보하였기 때문에 주가 상승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또한, 장기 투자의 긍정적인 시각과 더불어 외인 기관의 매수량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유럽 ECH 수입량 및 수입국 변화

  • 유럽의 ECH(에폭시 수지) 수입량은 상반기 대비 35.6%, 전년 동기 대비 39.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한국산 ECH의 비중이 23년 10% 미만에서 24년 하반기에는 21%, 25년 1~2월에는 평균 28%에 도달하여 수입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필렌 기반 원료에서의 가격 경쟁력 상승과 EU 내 에폭시 제품에 대한 중국, 태국, 대만산의 반덤핑 조치에 따른 혜택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 6-2. 미국 에탄 수출 사전 허가 지시

  • 최근 미국 정부는 에탄 수출업체들에게 중국향 수출을 위해 사전 라이선스를 취득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이는 미-중 간의 관계가 다소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무역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에틸렌 설비의 원가 상승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향후 에틸렌 및 에탄의 가격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중국 시장의 에틸렌 수요 동향을 주의 깊게 주시해야 할 것입니다.

  • 6-3. 증권주 및 배당 매력

  • 최근 증권주, 특히 KODEX 증권 ETF가 역사적인 최고가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의 금리 인하와 함께 배당 매력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주요 증권사들이 배당성향이 4%-5%를 초과하는 만큼,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불어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보기에, 이와 관련된 종목에 대한 투자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가치가 있습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재무상태표 분석

  • 2024년 3분기 기준 코오롱인더의 총 자산은 6,146,160,819,580원으로, 이전 연도 12월 31일 기준 6,002,718,764,682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2023년 12월 31일 대비 143,442,054,898원의 증가로 나타났습니다. 유동자산은 2,488,540,381,658원으로 증가하였으나, 비유동자산에서 일부 감소가 있었습니다. 특히, 비유동자산은 3,657,620,437,922원으로, 이전의 3,714,459,572,429원에서 감소하였습니다.

  • 총 부채는 2,877,560,285,858원으로 이전의 3,073,061,698,076원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유동부채가 2,182,141,798,223원에서 2,444,803,836,407원으로 증가하면서 전체 부채에 대한 비율이 높아질 수 있는 요인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점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리스크 분석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계정2024년 3분기 (원)2023년 12월 31일 (원)변동액 (원)
유동자산2,488,540,381,6582,288,259,192,253200,281,189,405
비유동자산3,657,620,437,9223,714,459,572,429-56,839,134,507
자산총계6,146,160,819,5806,002,718,764,682143,442,054,898
유동부채2,182,141,798,2232,417,412,267,433-235,270,469,210
비유동부채695,418,487,635655,649,430,64339,769,056,992
부채총계2,877,560,285,8583,073,061,698,076-195,501,412,218
자본금151,434,755,000151,434,755,0000
이익잉여금1,491,419,792,2571,502,026,413,480-10,606,621,223
자본총계3,268,600,533,7222,929,657,066,606338,943,467,116
  • null

  • 7-2. 손익계산서 분석

  • 2024년 3분기 동안 코오롱인더는 총 매출액 1,099,510,473,506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36,820,307,618원의 증가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32,868,995,905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당기순이익은 -4,264,285,844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손실이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여전히 부정적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회사가 경영 효율성 향상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필요한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계정2024년 3분기 (원)2023년 3분기 (원)변동액 (원)
매출액1,099,510,473,5061,062,690,165,88836,820,307,618
영업이익32,868,995,90531,260,270,9421,608,724,963
법인세차감전 순이익16,178,454,2369,380,713,9956,797,740,241
당기순이익-4,264,285,844-7,035,129,6832,770,843,839
총포괄손익-34,210,955,82312,337,488,597-46,548,444,420
  • null

8. 결론

  • 코오롱인더는 최신 생산시설 신설과 강력한 아라미드 시장의 성장성 덕분에 중장기적인 투자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PBR이 0.3배로 저평가된 현 상황에서 상법 개정 등에 따른 저PBR 주식의 가치가 부각된다면, 주가 상승의 잠재력은 더욱 뚜렷해질 것입니다. 따라서 코오롱인더의 주가는 매력적인 투자 대상으로 고려할 만하며, 투자자들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다만, 투자에는 항상 리스크가 따르므로 신중한 결정이 필요합니다.

9. 용어집

  • 9-1. 코오롱인더 [회사명]

  •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전자소재, 섬유, 화학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한국의 글로벌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최근 차세대 전자소재인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PPO) 생산시설을 신설함으로써 전자 소재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아라미드 및 냉감 섬유 등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산업 전반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코오롱인더의 사업 전개와 최신 기술 개발은 향후 회사 주가 및 실적에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그런 만큼 투자자들에게도 중요한 관심의 대상입니다.

  • 9-2. mPPO [기술명]

  • 변성 폴리페닐렌 옥사이드(mPPO)는 전자소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성능 소재로, 초고속 통신 및 인공지능(AI) 기술에 활용됩니다. 코오롱인더는 이 mPPO의 생산시설을 신설하여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mPPO의 시장 수요는 2023년에는 4,600톤에서 2030년까지 9,700톤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코오롱인더의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입니다.

  • 9-3. 아라미드 [전문용어]

  • 아라미드는 높은 내열성과 강도를 가지며, 방산 및 통신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고성능 섬유입니다. 코오롱인더는 아라미드 시장의 성장과 함께 해당 소재의 수요 증가의 혜택을 누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는 회사 실적의 중요한 상승 요인이 될 것입니다. 방산 시장의 수요 증가로 인해 이를 기반으로 한 성장은 코오롱인더의 사업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9-4. 냉감 섬유 [제품명]

  • 냉감 섬유는 여름철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섬유로, 코오롱인더는 HDPE 기반의 냉감 원사를 생산함으로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은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들에게 특히 유용하며, 냉감 섬유의 시장 성장성 역시 이 회사의 실적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 9-5. PBR [전문용어]

  •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주식의 자산가치)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가치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투자자들은 코오롱인더의 PBR이 0.3배로 저평가되어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는 상법 개정과 같은 외부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대와 함께 논의되고 있습니다. PBR은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 9-6. K-패션 [브랜드명]

  • K-패션은 한국 패션 산업을 나타내는 용어로, 코오롱스포츠를 포함한 여러 한국 브랜드들이 중국 시장에서 적극적인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K-패션의 글로벌 인지도가 높아지며 코오롱 브랜드의 성장은 매출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