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SK오션플랜트: 매각 우려와 해상풍력 사업 확대의 상반된 시각 속에서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5년 03월 24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SK오션플랜트는 최근 자회사 매각과 해상풍력 사업 확장 등의 이슈가 겹치며 주가 변동성을 겪고 있습니다. 기관의 대량 매도가 주가 하락을 부채질하는 가운데, 법안 통과로 인한 해상풍력 사업의 성장 가능성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불확실성과 기회를 함께 고려해야 할 시점입니다.

2. 핵심 인사이트

매각 우려
  • SK오션플랜트의 매각과 관련하여 여러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매각 불발 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상풍력 수혜
  • 해상풍력 관련 긍정적인 법안인 '에너지3법' 통과로 SK오션플랜트가 주요 수혜기업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수익 증가가 예상됩니다.

영업이익 감소
  • 현재 영업이익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효율성 문제를 나타내며 향후 실적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주가 변동성
  • 최근 주가는 기관 매도의 영향으로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아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

  • 2025년 3월 18일부터 3월 24일까지 SK오션플랜트의 주가는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3월 18일 시가총액은 8, 600억 원, 주가는 14, 610원이었으나, 3월 21일에는 14, 240원으로 하락해 -2.27%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이후 3월 22일에는 다시 14, 620원으로 유지되었으나, 3월 24일에는 14, 610원으로 최종 정리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외국인 매매량은 증가하였으나 기관의 매도 영향으로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날짜종가(원)변동률거래량(주)
2025-03-1814, 610-2.27%133, 482
2025-03-1914, 620+0.07%68, 379
2025-03-2014, 6200.00%59, 824
2025-03-2114, 240-2.60%259, 368
2025-03-2214, 6100.00%
  • null

  • 3-2. 시장 영향 요인

  • 주가 하락의 주요 요인은 기관의 대량 매도와 관련이 깊습니다. 특히, SK오션플랜트의 자회사 매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매도 압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경쟁이 제한된 입찰을 통해 자회사를 매각하고자 하는 전략이 SK에코플랜트에 의해 실행되면서 시장에서의 반응 또한 다소 부정적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해상풍력 관련 긍정적인 법안인 '에너지 3법' 통과는 전반적인 시장 분위기를 호전시키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3-3. 업계 동향

  • 최근 SK오션플랜트는 자회사 매각,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한 법인 설립 등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매각을 고려한 점은 SK 브랜드 사용을 피하고, 법인 설립을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해상풍력 사업 확장을 위해 중국과 베트남에 법인을 설립하며, 이러한 조치가 매각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또한, 두산에너빌리티와 같은 경쟁 업체들이 이 법안의 통과에 따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SK오션플랜트 역시 이에 포함되며 수익 기대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 3-4. 주식 시장 분위기

  • 전체적으로 SK오션플랜트의 주가는 업계와 시장의 다양한 요인 속에서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전반적인 주식 시장 분위기는 긍정적인 법안의 통과와 동일하게 성장 가능성을 감안하고 있으며, SK오션플랜트 포함 해상풍력 기업들이 이 법률에서 수익을 얻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다만, 내부적인 매각 작업과 관련된 불확실성은 단기적으로 부담이 될 수도 있음을 알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보다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릴 필요성이 있습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떠들석한 입찰 의미없다

  •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인 SK오션플랜트의 매각은 경쟁 후보가 제한된 상황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수 제안의 속도를 높이고 정보 유출을 방지하려는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SK에코플랜트는 해양 사업 부문에 대한 매각을 진행 중이며, 주요 후보자는 KKR과 칼라일 등 소수의 글로벌 사모펀드입니다. 또한, SK오션플랜트는 해상풍력 발전 구조물과 특수선을 제조하는 업체로, 매각 금액이 약 5000억원으로 예상되고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한화 그룹 및 HD현대 그룹을 초청하여 관련 입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기업의 매각 참여 열기가 낮아 흥행 여부는 불투명합니다. 이로 인해 SK그룹 차원에서도 공개 매각보다 소수 업체와의 수의계약 방식이 선호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4-2. SK오션플랜트가 자회사 사명서 'SK' 지운 이유

  • SK오션플랜트가 신규 자회사에 SK라는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한 배경이 매각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브랜드 사용료 절감과 법인 설립 과정의 간소화가 주된 목적입니다. 새로 설립된 법인들은 SK 대신 '고성'을 사용하여 브랜드 가치가 높은 SK를 지운 것으로, 이는 매각을 고려한 사전 준비 작업으로 해석됩니다. 실질적으로 SK가 자회사인 SK오션플랜트를 매각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모건스탠리와 협력해 여러 사모펀드와 접촉 중입니다. 이로 인해 매각 과정에서의 로열티 부담이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4-3. 이사회 진용 가다듬는 재계…핵심은 '기술과 돈 굴리기'

  • 최근 재계에서 이사회 구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각 기업들은 주력사업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들을 선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SK오션플랜트는 자회사에 글로벌 자산운용 고문인 문석록을 사외이사로 초빙하여 금융 전문가를 이사회에 포함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전반적으로 자산 운용과 경영 전략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의도가 개입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불황의 여파로 더욱 중요해진 자산 관리의 필요성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SK그룹은 자산 리밸런싱을 통해 이사회 내 금융 전문가 시너지를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 4-4. '에너지3법' 국회 통과…'원전·해상풍력·전력기기' 기업 함박웃음

  • 최근 '에너지3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해상풍력과 관련된 여러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법안은 풍력 사업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SK오션플랜트 역시 해상풍력 구조물 사업으로 주요 수혜기업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과 더불어 해상풍력 단지가 활성화됨에 따라 SK오션플랜트의 일감 수주량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법은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산업 육성을 동시에 도모하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전망입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매각 우려

  • 현재 SK오션플랜트의 매각에 대한 우려가 상당히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 게시글에서는 매각이 실제로 이루어질 경우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의견과 함께, 매각 불발 시 우려되는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매각 과정에서 정해진 가격이 높아질지 여부와 관련하여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각으로 인한 인수 기업의 시너지를 기대하는 목소리와 더불어, 매각이 가격 및 시장에서 기업의 위치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회의적인 의견도 적지 않습니다.

  • 5-2. 조선 방산 성장 가능성

  • SK오션플랜트는 조선 및 방산 분야에서 성장 가능성을 내비치는 상황입니다. 최근 미국 해군의 MRO 사업 요청이 한국 조선업체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전해지며, SK오션플랜트의 선박 블록 제작 능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화오션과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 기대감이 존재하며,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국가 정책과 수주 소식이 뒤따를 경우 기업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5-3. 경영진 비판

  • 최근 SK오션플랜트의 경영진에 대한 비판이 높은 상황입니다. 투자자들은 무능력한 경영진과 기업 전략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가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승철 대표의 관리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는 가운데, 경영진 교체와 혁신적인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경영진의 결정이 기업의 미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러한 비판이 지배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 5-4. 주가 전망

  • 많은 투자자들이 SK오션플랜트의 주가 전망에 대해 회의적 의견을 내고 있습니다. 일부는 주가가 추가적인 상승 없이 횡보하리라 예상하며, 이는 매각이나 중요한 수주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낮은 거래량과 변동성을 보인 주식에 대한 불안감은 여전히 존재하며, 주가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일부 투자자는 현재의 가격대 사에서 매수 입장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 5-5. 인수 가능성

  • 인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화와 HD 현대 그룹이 인수 후보라고 알려지며, 이들이 SK오션플랜트를 목표로 삼고 있다는 소식도 심조증간에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SK측과의 접촉을 통해 인수 의지를 보여주고 있지만, 실제 거래가 이루어질지는 미지수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인수 추측은 일종의 시장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있으며, 과거의 매각 사례를 토대로 향후 진행될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4분기 실적 전망

  • 4분기 실적은 매출 이연과 일회성 비용으로 인해 예상치를 하회할 것으로 보입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4분기 영업이익은 463억원으로, 기존 예상치 665억원과 컨센서스 725억원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주로 미국 타워 법인 매출 약 1, 000억원이 25년 1분기로 이연되고, 덴마크 하부 구조물 법인의 감가상각비 200억원이 추가로 반영되었기 때문입니다.

  • 6-2. 25년 실적 개선 전망

  • 2025년에는 하부 구조물 부문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타워 부문의 실적 개선이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매출액은 약 3.1조원(+1% YoY), 영업이익은 3, 024억원(+10% YoY)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포르투갈과 베트남 공장이 해상풍력 수요 증가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6-3. 해상풍력 프로젝트 및 기업 수혜

  • 전남 안마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총 사업비 4조원 규모로, SK오션플랜트가 하부구조물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2026년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진행은 SK오션플랜트에게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수익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 6-4. 목표 주가 및 투자 의견

  • 키움증권은 목표주가를 64, 000원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풍력 시장의 변화와 실적 개선 기대감이 반영된 것입니다. 다만, 25년 전반부에는 타워 부문의 실적이 좌우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단기적인 투자에 있어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유동자산 분석

  • 2024년 3분기말 유동자산은 586, 285, 499, 425원으로, 2023년 12월 31일 기준 유동자산 754, 790, 512, 544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의 단기 유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간유동자산 (KRW)
2024.09.30586, 285, 499, 425
2023.12.31754, 790, 512, 544
  • null

  • 7-2. 비유동자산 분석

  • 비유동자산은 790, 620, 400, 459원으로, 이전의 677, 116, 154, 336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의 장기 자산 비율이 증가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간비유동자산 (KRW)
2024.09.30790, 620, 400, 459
2023.12.31677, 116, 154, 336
  • null

  • 7-3. 자산총계 분석

  • 전체 자산 총계는 1, 376, 905, 899, 884원으로, 이전의 1, 431, 906, 666, 880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이 감소는 유동자산의 감소에 기인하며, 장기적으로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기간자산총계 (KRW)
2024.09.301, 376, 905, 899, 884
2023.12.311, 431, 906, 666, 880
  • null

  • 7-4. 유동부채 분석

  • 유동부채는 609, 470, 994, 059원으로, 2023년 12월 31일 유동부채 687, 194, 081, 824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의 단기 채무 부담이 완화되었음을 나타냅니다.

기간유동부채 (KRW)
2024.09.30609, 470, 994, 059
2023.12.31687, 194, 081, 824
  • null

  • 7-5. 비유동부채 분석

  • 비유동부채는 51, 756, 944, 291원으로, 이전의 45, 870, 623, 464원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채무 비율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간비유동부채 (KRW)
2024.09.3051, 756, 944, 291
2023.12.3145, 870, 623, 464
  • null

  • 7-6. 부채총계 분석

  • 부채총계는 661, 227, 938, 350원으로, 733, 064, 705, 288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부채 감소로 재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기간부채총계 (KRW)
2024.09.30661, 227, 938, 350
2023.12.31733, 064, 705, 288
  • null

  • 7-7. 자본금 분석

  • 자본금은 29, 597, 784, 000원으로, 변동이 없으며 기업의 자본 구조가 안정적임을 나타냅니다.

기간자본금 (KRW)
2024.09.3029, 597, 784, 000
2023.12.3129, 597, 784, 000
  • null

  • 7-8. 이익잉여금 분석

  • 이익잉여금은 93, 443, 814, 605원으로, 77, 430, 438, 743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의 순이익이 증가하여 재투자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보여줍니다.

기간이익잉여금 (KRW)
2024.09.3093, 443, 814, 605
2023.12.3177, 430, 438, 743
  • null

  • 7-9. 자본총계 분석

  • 자본총계는 715, 677, 961, 534원으로, 이전의 698, 841, 961, 592원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자본의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기간자본총계 (KRW)
2024.09.30715, 677, 961, 534
2023.12.31698, 841, 961, 592
  • null

  • 7-10. 매출액 분석

  •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199, 182, 923, 937원으로, 이전의 236, 996, 967, 057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매출정체의 신호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

기간매출액 (KRW)
2024.09.30199, 182, 923, 937
2023.09.30236, 996, 967, 057
  • null

  • 7-11. 영업이익 분석

  • 영업이익은 15, 196, 143, 905원으로, 이전의 16, 380, 171, 432원에 비해 감소하여 영업활동의 효율성이 떨어졌음을 나타냅니다.

기간영업이익 (KRW)
2024.09.3015, 196, 143, 905
2023.09.3016, 380, 171, 432
  • null

  • 7-12. 법인세차감전 순이익 분석

  • 법인세차감전 순이익은 9, 503, 842, 869원으로, 10, 207, 422, 179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이 하락하였음을 의미합니다.

기간법인세차감전 순이익 (KRW)
2024.09.309, 503, 842, 869
2023.09.3010, 207, 422, 179
  • null

  • 7-13. 당기순이익 분석

  • 당기순이익은 9, 386, 085, 128원으로, 5, 735, 378, 090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수익 개선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기간당기순이익 (KRW)
2024.09.309, 386, 085, 128
2023.09.305, 735, 378, 090
  • null

  • 7-14. 총포괄손익 분석

  • 총포괄손익은 9, 386, 085, 128원으로, 이전의 5, 735, 378, 090원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기간총포괄손익 (KRW)
2024.09.309, 386, 085, 128
2023.09.305, 735, 378, 090
  • null

8. 결론

  • SK오션플랜트의 현재 상황은 매각 우려로 인한 불안감과 해상풍력 사업 성장 가능성의 긍정적 전망이 충돌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증가와 법안의 긍정적인 변화가 실적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매각 관련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신중한 투자가 요구됩니다. 현재의 주가에 매수 기회를 이전할 수도 있으나, 모든 결정에는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투자의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에게 있습니다.

9. 용어집

  • 9-1. SK오션플랜트 [회사명]

  • SK오션플랜트는 해상풍력 발전 구조물과 특수선을 제조하는 업체로, 자회사 매각과 해외 사업 확장을 통해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최근 해상풍력 관련 법안인 '에너지 3법'의 통과로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이는 SK오션플랜트가 주요 수혜기업으로 분류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 9-2. 에너지 3법 [법안]

  • '에너지 3법'은 해상풍력 사업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SK오션플랜트의 해상풍력 구조물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법안의 통과는 SK오션플랜트의 일감 수주량 증가 및 수익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 9-3. 해상풍력 [기술명]

  • 해상풍력은 바다 위에 설치한 풍력 터빈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입니다. SK오션플랜트는 해상풍력 발전 구조물의 공급자로서 이 분야의 성장 가능성이 높고, '에너지 3법'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9-4. 타워 부문 [전문용어]

  • 타워 부문은 해상풍력 발전소의 주요 구조물인 타워를 생산하는 분야로, SK오션플랜트는 이 부문의 실적 개선이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 부문의 성장세는 매출액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 9-5. MRO 사업 [전문용어]

  • MRO(정비, 수리, 운영) 사업은 항공기 및 해양 구조물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로, SK오션플랜트는 최근 미국 해군의 MRO 사업 요청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성장은 SK오션플랜트의 미래 성장 잠재력에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 9-6. 자회사 매각 [전문용어]

  • 자회사 매각은 SK오션플랜트가 경쟁 후보가 제한된 상황에서 자회사를 매각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이는 SK오션플랜트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브랜드 사용료 절감 등을 통해 재무 구조 개선을 도모하는 과정으로 이해됩니다.

  • 9-7. 이승철 [인물]

  • 이승철은 SK오션플랜트의 대표이사로, 최근 경영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그의 관리 능력에 의구심을 표명하며, 경영진 교체와 기업 전략의 혁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 9-8. 문석록 [인물]

  • 문석록은 SK오션플랜트의 이사회에 포함된 글로벌 자산운용 고문으로, 경영 전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초빙되었습니다. 그의 역할은 자산 관리와 경영 효율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9-9. KKR [회사명]

  • KKR은 글로벌 사모펀드로, SK오션플랜트의 자회사 매각 과정에서 주요 인수 후보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이들은 SK오션플랜트의 해양 사업 부문 매각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인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9-10. 한화 [회사명]

  • 한화는 SK오션플랜트의 자회사 매각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경쟁업체로, 인수 후보로서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인수 과정에서 SK오션플랜트의 전략적 가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9-11. HD 현대 [회사명]

  • HD 현대는 SK오션플랜트의 매각 과정에서 인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이들은 SK오션플랜트와의 접촉을 통해 인수 의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매각 결정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