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2025년 제약 및 바이오 산업 전망: 주요 기업과 혁신 동향

투자 보고서 2025년 02월 13일
goover

목차

  1. 도입부
  2. 한국 바이오 시장의 성장 가능성
  3. CDMO 시장 확대 및 경쟁력
  4. 한미약품의 경영 이슈와 성장 전략
  5. 보령의 매출 성장과 신약 개발
  6. 메드팩토의 임상 전략과 기술 이전
  7. 글로벌 제약사의 AI 활용과 시장 전망
  8. 결론

1. 도입부

  • 이 보고서는 2025년 제약 및 바이오 산업의 주요 기업과 제품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합니다. 한국의 바이오 시장의 성장세와 글로벌 제약사들의 혁신적인 전략을 살펴보며, 투자자들에게 유망한 기업과 제품의 투자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2. 한국 바이오 시장의 성장 가능성

  • 2-1. 바이오베터와 바이오시밀러의 차별화

  • 바이오베터는 기존 의약품보다 뛰어난 효능을 가진 개량신약으로, 바이오시밀러와 차별화되는 점이 많습니다. 바이오시밀러는 기존 바이오 신약의 복제약으로, 오리지널 의약품과 완벽하게 동일할 수는 없지만, 대략 50~70%의 가격으로 출시됩니다. 반면 바이오베터는 기존 약물의 성능을 개선하여 치료율을 높이거나 편의성을 강화한 방식으로 개발되며, 이를 통해 경쟁력을 부여받습니다. 이러한 차별화는 시장에서 바이오베터의 높은 기대 수익률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향후 바이오베터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징바이오베터바이오시밀러
성능기존 약물보다 개선된 효능기존 약물 복제
가격오리지널 약보다 비쌈50~70% 수준
특허 기간20년제약사마다 다름
개발 기간약 10년5~8년
  • 이 표는 바이오베터와 바이오시밀러의 주요 차이점을 요약합니다.

  • 2-2. 2034년까지의 성장 전망

  • 글로벌 바이오베터 시장은 팬데믹 이후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2024년 시장 규모가 663억 달러에서 2034년에는 1057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성장은 한국 기업들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KRX 헬스케어 지수의 상승세는 이러한 긍정적인 흐름을 반영합니다. 임상 성공률이 기존 신약보다 높고 기대 마진도 높은 바이오베터의 확산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도시장 규모 (억 달러)연평균 성장률 (%)
2024663.18.6
20341057.58.6
  • 이 표는 바이오베터 시장의 예상 성장 규모와 연평균 성장률을 요약합니다.

3. CDMO 시장 확대 및 경쟁력

  • 3-1.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시장 점유율

  •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 최초로 연매출 4조5000억 원을 돌파하며 CDMO 시장에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롯데바이오로직스 또한 약 4조6000억 원 규모의 바이오 캠퍼스를 송도에 구축하고, ADC 플랫폼인 솔루플렉스 링크(SoluFlex Link)를 공개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성장은 CDMO 시장의 확장과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기업명2023년 연매출(억 원)투자 규모(억 원)주요 전략
삼성바이오로직스45000N/ACDMO 시장 선도
롯데바이오로직스N/A46000바이오 캠퍼스 구축 및 ADC 플랫폼 개발
  • 이 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롯데바이오로직스의 CDMO 시장에서의 성과 및 전략을 요약합니다.

  • 3-2. 전통 제약사의 CDMO 사업 확장

  • 유한양행과 대웅제약은 자회사를 통해 CDMO 사업 확장에 나섰습니다. 유한양행은 자회사 유한화학을 통해 원료의약품 CDMO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웅제약은 대웅바이오를 통해 미생물 기반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통 제약사의 CDMO 진입은 시장의 다양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업명CDMO 사업 진출 방식주요 목표
유한양행유한화학를 통한 원료의약품 CDMO70만 리터 규모의 생산능력 확보
대웅제약대웅바이오를 통한 의약품 생산2028년까지 1조 원 매출 목표
  • 이 표는 전통 제약사들이 CDMO 시장에 진출하는 방식과 목표를 정리한 것입니다.

4. 한미약품의 경영 이슈와 성장 전략

  • 4-1. 경영권 분쟁의 영향

  • 한미약품은 지난해 경영권 분쟁 및 의정 갈등의 영향으로 실적 성장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의 연결기준 매출은 1조4955억원으로 전년 대비 0.3%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2162억원으로 2% 감소하였다.

년도매출 (억원)영업이익 (억원)순이익 (억원)
20221조48712200100
20231조49552162–21
  • 이 표는 한미약품의 연도별 매출, 영업이익 및 순이익을 비교하여 경영 이슈의 영향을 요약합니다.

  • 4-2. 비만치료제 임상 개발 현황

  • 한미약품은 핵심 파이프라인인 비만치료제에 대한 임상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한국인에 특화된 비만치료제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연내 임상3상을 종료하고 내년 4분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른 비만 신약 파이프라인도 여러 가지 진행 중이다.

제품명임상 단계예상 출시일특징
에페글레나타이드임상3상2026년 Q4한국인 맞춤형 비만 치료
HM15275임상1상2025년(ADA 발표)상대적 낮은 부작용
HCP2203임상3상출시 가능성순환기 및 당뇨병 치료제
  • 이 표는 한미약품의 비만치료제에 대한 임상 개발 현황을 정리한 것입니다.

5. 보령의 매출 성장과 신약 개발

  • 5-1. 1조 클럽 진입의 의미

  • 보령이 지난해 연 매출 1조원을 최초로 돌파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이로 인하여 보령은 유한양행, GC녹십자, 종근당, 한미약품 등과 함께 '매출 1조 클럽'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보령의 연결 기준 매출은 1조171억원으로, 전년 대비 18.3%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각각 705억원과 728억원으로 증가하여, 보령의 성장을 입증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5년간 연평균 14%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한 결과입니다.

연도매출액 (억원)영업이익 (억원)당기순이익 (억원)
20195000전략없음전략없음
20208596682403
2021역대 최대 소득전략없음전략없음
20221조171705728
  • 이 표는 보령의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주요 재무 성과를 요약합니다.

  • 5-2. 카나브와 케이캡의 성과

  • 보령은 지난 2019년 매출액 5000억원을 넘은 이후, 꾸준한 성장을 통해 1조원에 도달했습니다. 특히 고혈압 신약 '카나브'의 매출은 지난해 1510억원으로 기록되었으나, HK이노엔과의 공동판매 전환 준비로 초도물량을 일괄 출고한 효과로 감소가 있었습니다. 또한, 공동판매 전략과 신규 제품 출시를 통해 시장 확대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더불어, 케이캡의 공동판매는 매출 성장을 이끌어낸 중요한 요소로 평가됩니다.

제품명2022년 매출액 (억원)전년 대비 변화
카나브151041억원 감소
케이캡측정 불가코프로모션 진행 중
  • 이 표는 보령의 대표 신약인 카나브와 케이캡의 매출 변화 및 성과를 요약합니다.

6. 메드팩토의 임상 전략과 기술 이전

  • 6-1. 백토서팁의 임상 성과

  • 메드팩토는 자사의 대표 파이프라인인 백토서팁의 임상 개발 전략으로 '선택과 집중'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여러 적응증 중에서 시장 경쟁력이 높은 2~3개를 선택하여 임상 역량을 집중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현재 백토서팁의 임상이 미국과 국내에서 진행 중이며, 대장암 2b/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FDA에서 승인받았습니다.

적응증임상 단계협력사비고
대장암2b/3상머크, 아스트라제네카키트루다 및 임핀지 병용투여
기타 적응증전임상해당 없음효능 확인 중
  • 이 표는 백토서팁의 주요 적응증 및 임상 단계에 대한 정보를 요약합니다.

  • 6-2. 신규 파이프라인의 연구 진행 상황

  • 메드팩토는 신규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뼈 질환 치료제 MP2021은 다핵 파골세포 형성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치료제는 암의 뼈 전이 및 뼈 손상, 관절의 염증 등을 이중으로 제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동물 모델을 통해 뛰어난 효과를 입증하였습니다. 또한, MP010이라는 다른 항암제 파이프라인도 췌장암 동물 실험에서 기존 화학요법보다 우수한 효능을 보였습니다.

파이프라인개발 단계효능 확인비고
MP2021임상 1상 준비뼈 손실 및 염증 억제연내 임상시험계획 승인 목표
MP010전임상화학요법 대비 우수한 효능시료 공정 개발 단계
  • 이 표는 메드팩토의 신규 파이프라인의 개발 단계와 효능을 요약합니다.

7. 글로벌 제약사의 AI 활용과 시장 전망

  • 7-1. Pfizer와 Eli Lilly의 AI 활용 사례

  • Pfizer는 AI 모델을 활용하여 주식 예측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고 있으며, 개인화된 의학 분야에서의 R&D 성과가 긍정적인 주가 예측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특히, AI의 활용이 약물 개발의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 기여하면서, 수익 잠재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기업AI 활용 분야주요 성과기대 효과
Pfizer주식 예측 및 약물 개발R&D 성과의 주가 상승투자자 관심 증가
Eli Lilly임상 연구 및 데이터 분석신약 개발 효율성 향상비용 절감 및 빠른 시장 진입
  • 이 표는 Pfizer와 Eli Lilly의 AI 활용 사례를 비교하여 각각의 성과와 기대 효과를 요약합니다.

  • 7-2. AI가 제약 시장에 미치는 영향

  • AI 기술은 전통적인 주식 거래 방식을 혁신하고 있으며, 제약사의 재무 전략에 통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투자자들이 AI 기반 통찰력을 포트폴리오 결정에 반영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AI를 통해 시장 트렌드를 분석하고,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결론

  • 2025년 제약 및 바이오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각 기업의 전략과 시장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향후 개발될 신약과 기술의 발전이 기업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해야 합니다.

용어집

  • 카나브 [제품]: 고혈압 치료제로, 보령의 대표적인 블록버스터 제품 중 하나입니다.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 Mounjaro [제품]: Eli Lilly의 비만 치료제로,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신약입니다. 높은 수요로 인해 매출 증가가 예상됩니다.
  • 백토서팁 [제품]: 메드팩토의 항암제로, 대장암을 대상으로 한 임상 진행 중이며, 긍정적인 임상 결과가 기대됩니다.
  • Pfizer [회사]: AI 기술을 활용하여 신약 개발과 시장 예측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러 제약사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Eli Lilly [회사]: 비만 및 당뇨 치료제를 중심으로 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AI 기술을 활용하여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