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KB금융, 승승장구 속 주가 하락의 이유와 투자 전략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5년 02월 10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최근 KB금융의 실적은 국내 금융지주 최초로 연간 당기순이익 5조 원을 초과하는 성과를 기록하였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한 주주환원 계획과 외부 경제 변수로 인한 주가 하락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KB금융의 최근 시황 및 시장 동향, 투자자 의견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투자 전략을 제시합니다.

2. 핵심 인사이트

순이익
  • KB금융은 2025년 2월 5일 연간 당기순이익 5조 782억원을 기록하여 국내 금융지주 최초로 순이익 5조 원 시대를 열었습니다.

주가 변동
  • 최근 KB금융의 주가는 여러 번의 상승과 하락을 겪으며 유동성을 보였으며, 특히 주주환원 계획 발표 후 하락세를 경험했습니다.

이자 이익
  • KB금융의 이자 이익은 12조 8267억 원으로, 이는 주택담보대출과 기업 대출의 증가에 기인하며 금융지주 전체의 실적을 끌어올렸습니다.

주주환원
  • KB금융의 주주환원 계획은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실망감을 자아냈습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

  • 최근 KB금융의 주가는 다소 변동성이 있었습니다. 2025-02-04에 91, 300원이었던 주가는 이후 2025-02-05에 91, 000원으로 소폭 하락했고, 2025-02-06에는 84, 900원으로 큰 폭의 하락을 경험하였습니다. 그러나 2025-02-07에는 86, 000원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현재 시점인 2025-02-10에는 91, 300원으로 이전 두 날의 하락분을 회복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일주일 동안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유동성을 보였습니다.

날짜종가(원)변동상태변동폭(원)변동률(%)
2025-02-0491300상승+2500+2.82%
2025-02-0591000하락-300-0.33%
2025-02-0684900하락-6100-6.70%
2025-02-0786000상승+1100+1.30%
2025-02-0891300회복00%
  • null

  • 3-2. KB금융 실적 발표

  • 2025년 2월 5일, KB금융은 연간 당기순이익 5조 782억 원을 기록해 국내 금융지주 최초로 순이익 5조 원 시대를 열었습니다. 이익의 주요 원인은 지난 한 해 동안 순이자이익이 전년 대비 5.3% 증가한 12조 8267억 원에 달했기 때문입니다. 비은행 부문에서도 당기순이익이 크게 증가하며 그룹 실적을 뒷받침했습니다. 그러나 주주환원 계획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해 주가는 발표 다음 날 6.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3-3. 코스피 및 코스닥 동향

  • 2025년 2월 6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27.48포인트 상승하며 2536.75에 마감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외국인은 3519억원을 순매수했으며, 기관도 1594억원 순매수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개인은 6044억원을 팔아치운 모습이었습니다. 금융주인 KB금융의 주가는 주주환원 계획 발표 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닥도 함께 상승하며 200선 돌파를 알렸습니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입 덕에 비교적 긍정적인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3-4. 주식 시장 분위기

  • 최근 금융시장에서의 KB금융의 실적과 주주환원 관련 발표는 투자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KB금융의 주주환원 계획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주가는 하락세로 전환했고, 이로 인해 시장의 전반적인 투자 심리가 위축되는 상황을 낳았습니다. 다수의 투자자는 은행주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으나, 시장 내 잔존 리스크로 인해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3-5. 향후 전망

  • KB금융은 향후 시장 환경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지속적인 주주환원 정책 시행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금리 인하가 예상되며, 이로 인해 은행들의 수익성 또한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금융주 전반의 긍정적인 전망이 불확실해질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번 실적 발표와 주주환원 정책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더욱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습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4대 금융지주 작년 역대급 실적, 대출 늘면서 이자 수익 '쑥'

  • KB금융을 포함한 4대 금융지주가 지난해 순이익 16조 420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9.3% 성장하였습니다. 이자이익은 42조원에 달해 대출 증가의 효과를 보았습니다. KB금융은 5조원이 넘는 순익을 달성하며 국내 금융지주 최초로 '5조 클럽'에 진입하였습니다. 이자 이익의 주요 원인은 주택담보대출과 기업 대출의 증가에 기인하며, 이는 수도권의 부동산 거래량 확대와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대출 증가에 따릅니다.

  • 4-2. 금융지주 역대급 실적 뒤엔 '이자 이익'…지난해만 41.8조원

  • 연합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가 지난해 이자 이익 총액 41조 8760억원을 기록하며 이자 장사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KB금융의 이자 이익은 12조 8267억원에 달해 이를 이끌어갔습니다. 가계 및 기업 대출 규모의 증가가 큰 역할을 했으며, 시장금리는 하락했지만 대출 금리는 낮춰지지 않으면서 이자 이익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4-3. 영업점 없애는 은행들…KB국민은행 28개 3월 폐쇄

  • KB국민은행은 영업점 통폐합을 진행하며 28개의 영업점을 다음 달에 폐쇄할 예정임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의 이용 편의를 높이겠다는 의도가 있지만,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을 떨어트린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은행권 전체가 오프라인 점포를 줄이는 추세에 있으며, 4대 시중은행의 영업점 수가 지난해 말 대비 줄어들고 있습니다.

  • 4-4. KB·신한·대신 부동산신탁 줄줄이 적자행진

  • KB부동산신탁을 포함한 많은 금융그룹 계열 신탁사가 지난해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대손충당금 적립 이슈로 영업손실을 봤으며, KB부동산신탁은 순이익에서 1133억원의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이 문제는 특히 책임준공형 관리형 토지신탁의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KB부동산신탁은 리스크 관리를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4-5. 뚝 떨어진 예금금리…저축은행·인뱅마저 '연 2%대' 진입

  • 금융시장에서는 저축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의 예금금리가 급격히 하락하며 이제 연 2%대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며 선택지를 새롭게 찾고 있다는 점에서 눈여겨봐야 할 변화입니다. 이는 예금 형태의 자금 이탈을 초래할 수 있으며, 금융권에서는 대체 투자 수요 증가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4-6. 금리 내려도 이자 장사 쏠쏠…금융지주 사상 최대 실적 행렬

  • 금융지주는 최고 실적을 기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의 평가는 어느 정도 미진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최근 KB금융은 사상 최대 순익을 달성했지만, 주가가 기대 이하의 주주환원 규모로 출렁이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업계 전반적으로 이자 장사에 대한 비판이 있는 가운데 일어난 일입니다.

  • 4-7. 최대 이자이익에도 영업점 줄이는 은행권…KB, 28개 무더기 폐쇄

  • KB국민은행이 영업점을 더 줄이는 조치를 취하면서 고객의 접점 축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28개의 신규 폐쇄 예정 점포가 고객 불편을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전환에 따라 오프라인 점포가 더 줄어드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고객의 금융 접근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4-8. 금융사 '당근' 내걸어도 시장 반응 '시큰둥'

  • 금융사들이 주주환원 계획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KB금융이 자사주 매입 및 소각 계획을 발표했으나 주가는 크게 하락하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기대에 못 미친 주주환원 조치에 따른 것으로, 금융업 전반에 걸쳐 고조되고 있는 주주 환원 요구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가 높아진 것을 시사합니다.

  • 4-9. 실적 고공행진에도 주가 하락 무심한 금융주

  • 주요 금융지주들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오히려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장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는 주주환원 정책이 원인으로 지적되며, 투자자들은 주가 상승보다 실적에 대한 만족감이 떨어지는 분위기입니다. 이는 은행 에 대하여 당시 발표된 실적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 4-10. KB금융, 지난해 순이익 5조 돌파…주주환원 아쉬움 평가

  • KB금융이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 5조 782억원을 달성함으로써 금융지주 최초로 '5조 클럽'에 입성하였습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KB금융의 주주환원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이 이어지고 있으며, 주가는 큰 하락폭을 보였습니다. 이는 주주환원 수준에 대한 기대가 지배적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KB금융의 배당 정책에 대한 반응

  • 최근 KB금융의 배당금이 고작 804원으로 결정됨에 따라 투자자들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타 금융지주와 비교했을 때, 배당 수익률이 매우 낮다고 언급하고 있으며, 배당 정책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투자자는 '작년처럼 주당 1500원 이상 배당하면 되었잖아'라며, KB금융 경영진의 무능함을 비난하고 있습니다.

  • 5-2. 자사주 매입 및 소각에 대한 의견

  • 투자자들은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이 KB금융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으나, 여전히 이를 적용하는 방식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합니다. 한 투자자는 '자사주 소각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주가가 올라가나요?'라며, 그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사주 매입이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믿음도 함께 언급되었습니다.

  • 5-3. KB금융의 주가 향후 전망

  • KB금융의 주가는 하방 위험에 처해 있으며, 적정 주가는 73, 000원 정도라는 견해가 있습니다. 특히, 어떤 투자자는 '지금 반등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앞으로 주가는 하방으로 안착할 가능성이 높다'라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이처럼 투자자들은 향후 주식 시장 내 KB금융의 위치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5-4. 기관과 외인의 매도 현상

  • KB금융의 최근 결산배당 발표와 관련하여 기관과 외인들이 집단으로 매도한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한 투자자는 '이 주식은 몇 년 전부터 매수해서 큰 이익을 구가하고 있으나, 현재 KB금융의 배당 정책에 실망하여 매도할 이유가 충분하다'고 걱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KB금융이 향후 주가 회복에 있어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5-5. 시장 및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

  • 현재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는 의견이 투자자들 사이에 퍼지고 있으며, KB금융의 금융주라는 특성상 이러한 경제 상황은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 투자자는 '금융주 투자로 배당을 받으며 버티는 것이 좋은 투자 방법일 것'이라고 언급하며,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냈습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실적 기반 분석 및 전망

  • KB금융의 2024년 4분기 지배주주 순이익은 6, 829억원(+167% YoY)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하며 긍정적인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 이자이익이 전분기 대비 4.4% 증가하였고, 이는 원화대출의 성장에 따른 것으로, 순이자마진(NIM) 또한 소폭 개선되었습니다. 그러나 대손비용의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으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6-2. 주주환원 전략

  • KB금융은 상반기 5, 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도 추가 자사주 매입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시장 기대에 비해 주주환원 규모가 아쉬움이 있다는 의견도 존재하며, CET1 비율이 개선될 경우 추가적인 주주환원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6-3. 경기 전망과 기업의 대응

  • 현재, 미국의 경제 지표가 양호하게 나타나는 가운데 KB금융은 경기 둔화에 대비하기 위해 보수적인 대손충당금 기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경기 회복세가 지속될 경우 추가 성장이 기대되지만,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를 감안할 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6-4. 업종 내 경쟁 및 시장 포지션

  • KB금융은 국내 금융업체들 중에서 안정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올 상반기 우수한 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외환 및 파생상품에서의 수익 손실 등이 있었지만, 뛰어난 수수료 수익으로 이를 보완하고 있습니다. 경쟁사들과 비교하여 PBR이 여전히 매력적인 수준에서 평가되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 가능성이 높습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재무상태표

  • 2024년 3분기 기준 KB금융의 자산총계는 745, 334, 299, 000, 000 KRW으로 이전 분기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회사의 재무적 건강성을 나타내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 부채총계는 685, 424, 283, 000, 000 KRW로, 역시 지난 분기보다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자산 증가폭이 더 크므로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이 개선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자본금은 2, 090, 558, 000, 000 KRW로 변동이 없고, 이익잉여금은 34, 569, 260, 000, 000 KRW로 증가하여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자본총계는 59, 910, 016, 000, 000 KRW으로 전년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의 장기적인 재무안정성을 보여줍니다.

항목2024년 3분기 (KRW)2023년 12월 (KRW)변동금액 (KRW)
자산총계745, 334, 299, 000, 000715, 738, 152, 000, 00029, 596, 147, 000, 000
부채총계685, 424, 283, 000, 000656, 864, 842, 000, 00028, 559, 441, 000, 000
자본금2, 090, 558, 000, 0002, 090, 558, 000, 0000
이익잉여금34, 569, 260, 000, 00032, 029, 199, 000, 0002, 540, 061, 000, 000
자본총계59, 910, 016, 000, 00058, 873, 310, 000, 0001, 036, 706, 000, 000
  • null

  • 7-2. 손익계산서

  • 2024년 3분기 동안 KB금융의 법인세차감전 순이익은 2, 284, 151, 000, 000 KRW으로,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는 회사의 효율적인 운영과 수익성 향상을 반영합니다.

  • 당기순이익은 1, 596, 039, 000, 000 KRW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9.4%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이는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특히, 순이자손익은 3, 164, 967, 000, 000 KRW로 강력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회사의 주요 수익원인 이자 수익의 증가로 인해 추정되는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항목2024년 3분기 (KRW)2023년 3분기 (KRW)변동금액 (KRW)
법인세차감전 순이익2, 284, 151, 000, 0001, 903, 078, 000, 000381, 073, 000, 000
당기순이익1, 596, 039, 000, 0001, 337, 105, 000, 000258, 934, 000, 000
순이자손익3, 164, 967, 000, 0003, 124, 648, 000, 00040, 319, 000, 000
이자수익7, 637, 802, 000, 0007, 413, 308, 000, 000224, 494, 000, 000
이자비용4, 472, 835, 000, 0004, 288, 660, 000, 000184, 175, 000, 000
  • null

8. 결론

  • KB금융의 뛰어난 실적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며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주주환원 정책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한 지속적인 하락이 우려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KB금융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지속하며,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매매 전략을 설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본 리포트는 투자에 관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투자는 각자의 판단에 따라 시행해야 함을 주의해야 합니다.*

9. 용어집

  • 9-1. KB금융 [회사명]

  • KB금융은 한국에서 가장 큰 금융지주회사 중 하나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KB금융은 최근 연간 당기순이익 5조 782억 원을 기록하여 국내 금융지주 최초로 순이익 5조 원 시대를 열었으며, 이는 대출 증가와 순이자이익의 상승에 기인합니다. 회사는 지속적인 성장과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입니다.

  • 9-2. 자사주 매입 [전문용어]

  • 자사주 매입은 회사가 자사의 주식을 사들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KB금융은 향후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 안정화 및 주주환원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계획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주식 시장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 9-3. 순이자이익 [전문용어]

  • 순이자이익은 금융기관의 핵심 수익원으로, 대출에서 발생한 이자 수익에서 이자 비용을 차감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KB금융은 순이자이익이 전년 대비 5.3% 증가하여 약 12조 8267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회사 수익성의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며, 향후 유동성 관리와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9-4. 코스피 [전문용어]

  • 코스피는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상장 주식들의 종합주가지수로, 한국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을 나타냅니다. 현재 KB금융은 코스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해지면서 긍정적인 시장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9-5. 배당금 [전문용어]

  • 배당금은 회사가 주주에게 분배하는 이익의 일부로, 주주 환원 정책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최근 KB금융의 배당금이 804원으로 결정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실망감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신뢰와 향후 투자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