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더본코리아 투자 분석 보고서

투자 보고서 2025년 02월 06일
goover

목차

  1. 도입부
  2. 재무 성과: 수익 및 수익성
  3. 시장 위치: 경쟁자 및 시장 점유율
  4. 성장 가능성: 신사업 및 해외 진출
  5. 위험 분석: 주가 변동성 및 외부 요인
  6. 결론

1. 도입부

  • 이번 보고서는 더본코리아의 재무 성과, 시장 위치, 성장 가능성 및 리스크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것입니다. 백종원 대표의 영향력과 다양한 브랜드 전략을 기반으로 한 더본코리아의 투자 잠재력과 향후 성장 가능성에 대한 주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2. 재무 성과: 수익 및 수익성

  • 2-1. 안정적인 재무 구조

  • 2018년 더본코리아의 자산총계는 897억 원, 부채비율은 59%로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낮은 부채비율은 기업이 장기적으로 금융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항목금액 (억 원)부채비율 (%)
자산총계89759
부채334-
자본562-
  • 자산총계 및 부채비율을 통해 더본코리아의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보여줍니다.

  • 2-2. 영업 및 당기순이익

  • 2016년 더본코리아는 197억 원의 영업이익과 192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며 회사의 성장을 입증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41% 증가한 매출에 힘입은 결과로, 사업의 성과가 담긴 수치라 할 수 있습니다.

년도매출액 (억 원)영업이익 (억 원)당기순이익 (억 원)
20151, 248140134
20161, 748197192
  • 더본코리아의 2015년과 2016년 간의 영업성과를 비교하여 성장을 나타냅니다.

  • 2-3. 역대 최대 실적

  • 2022년 더본코리아는 연결 기준 매출 4107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이는 외식 프랜차이즈 사업의 확대와 다양한 브랜드 전략이 영향을 준 결과입니다.

3. 시장 위치: 경쟁자 및 시장 점유율

  • 3-1. 프랜차이즈 사업 현황

  • 더본코리아는 현재 약 2900개의 점포를 운영하며, 프랜차이즈 사업이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공모주 청약에서 773: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얻은 투자금은 기업의 성장 계획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브랜드가맹점 수 (2021)가맹점 수 (2024)증감율
원조쌈밥집2313-43.5%
본가2617-34.6%
새마을식당11293-17.0%
한신포차135111-17.8%
미정국수04103218-43.8%
홍콩반점111119+7.2%
빽다방100164+64.2%
역전우동6183+35.6%
  • 이 표는 더본코리아 브랜드의 가맹점 수 변화를 나타냅니다.

  • 3-2. 교촌에프앤비와의 비교

  • 더본코리아는 다수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어 시장 내 차별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교촌에프앤비가 단일 품목의 프랜차이즈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 더본코리아는 한식, 양식, 중식, 커피 및 분식 등 다양한 업종의 브랜드를 운영하며 다양한 소비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갖추고 있습니다.

  • 3-3. 유통 비중의 확대

  • 더본코리아는 전체 매출 중 유통사업이 13.7%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매출 구조의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려는 노력이 엿보입니다.

4. 성장 가능성: 신사업 및 해외 진출

  • 4-1. 유통 및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한 계획

  • 더본코리아는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해 마스터프랜차이즈 계약 조율 단계를 거쳐, 내년 유럽에서 '코리안 차이니스' 혹은 '분식 브랜드'를 출시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이는 백종원 대표가 강조한 내용으로, 더본코리아는 향후 브랜드 확장 전략을 통해 내수 가맹 사업을 확대하고 해외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국가가맹점 수브랜드
미국XX빽다방
중국XX홍콩반점
일본XX새마을식당
  • 이 표는 더본코리아의 해외 가맹점을 정리한 것입니다.

  • 4-2. K푸드의 인기와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 기회

  • K푸드의 인기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더본코리아는 이를 활용해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백종원 대표는 한국의 음식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더본코리아의 매장이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하였습니다.

  • 4-3. 신메뉴 개발과 푸드테크 투자 활용 계획

  • 더본코리아는 신메뉴 개발 및 푸드테크 투자 활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백종원 대표는 새로운 메뉴 개발과 함께 자체적인 뉴스 콘텐츠 제작으로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짜 뉴스로 인한 주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이기도 하며,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5. 위험 분석: 주가 변동성 및 외부 요인

  • 5-1. 상장 이후 주가 10% 대 하락 및 외국인 매도세 영향

  • 더본코리아는 상장 후 이틀 동안 강력한 상승세를 보였으나, 이후 주가가 급락하며 10% 대 하락을 경험했습니다. 상장 첫날 공모가 대비 51% 상승했지만, 8일에는 10.64% 하락하며 시가총액이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주가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에 영향을 받았으며, 개인 투자자들은 지속적인 매수를 통해 이와 반대의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일자주가시가총액변동률
6일4만원7435억원+51%
7일4만200원실적 없음+0.58%
8일4만6200원5967억원-10.64%
11일4만1400원실적 없음-10.39%
  • 이 표는 더본코리아의 상장 첫 주 주가 변동성을 요약합니다.

  • 5-2. 프랜차이즈 업종의 불확실성과 경기 침체의 영향

  • 프랜차이즈 업종의 특성상 경기의 영향을 받기 쉬운데, 최근 경제 불황의 여파로 소비가 감소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더본코리아의 매출 성장세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연도매출 성장률경기 상황
2021+12%경기 회복
2022+5%정체
2023-2%침체 예상
  • 이 표는 더본코리아의 매출 성장률과 경기 상황을 비교합니다.

  • 5-3. 백종원 대표 의존도와 평판 리스크

  • 백종원 대표의 브랜드 파워가 더본코리아의 핵심 자산 중 하나이나, 대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관련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앞으로의 운영에 있어 대표의 평판과 결정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 더본코리아는 백종원 대표의 브랜드 파워와 안정적인 재무 성과를 바탕으로 매력적인 투자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사업의 불확실성과 시장 경쟁 심화, 주가 변동성 등 여러 리스크 요소도 존재합니다. 미래 성장성을 고려할 때 유통사업 및 해외 진출 전략의 성공 여부가 핵심이 될 것입니다.

용어집

  • 더본코리아 [회사]: 1994년에 설립된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25개의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약 2900개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근 IPO를 통해 공모주 청약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 백종원 [인물]: 더본코리아의 대표이사로, 다양한 외식 브랜드를 통해 국내외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그의 브랜드 파워가 더본코리아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