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클리오, K-뷰티 수출 호조 속 투자 반등의 기회 포착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5년 01월 06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클리오는 최근 K-뷰티 해외 수출 증가 및 긍정적인 업계 전망에 힘입어 주가 변동성은 있으나 여전히 투자 가치가 존재하는 기업입니다. 2025년에는 영업이익 개선의 기대가 커지고 있으며, 화장품 시장의 회복 가능성과 더불어 안정적인 재무 상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2. 핵심 인사이트

K-뷰티
  • 클리오는 K-뷰티 브랜드로서 해외 수출 증가로 긍정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현재 화장품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가 변동
  • 클리오의 주가는 최근 화장품 관련 긍정적인 뉴스의 영향을 받아 하락세에서 벗어나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재 PER은 9.94배로 확인되었습니다.

환율 영향
  • 고환율 환경에서 클리오와 같은 ODM 기업은 이익 증가의 수혜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재무 안정성
  • 클리오의 재무상태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유동자산 증대 및 자본총계 증가가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

  • 클리오의 주가는 2025년 1월 2일에 17,500원으로 시작하여 1월 3일에 17,710원으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1월 1일 주가는 17,200원이었으며, 이틀간 510원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일주일간의 데이터에서 볼 때, 현재 주가는 17,200원으로, 12월 31일 대비 80원 하락하여 (-0.46%)의 변동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클리오의 PER(주가수익비율)은 9.94배로 확인되며, PBR(주가순자산비율)은 1.33배입니다. 또한, 52주 최고가는 45,000원이었음을 감안할 때 현재 주가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입니다.

  • 주가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소는 최근의 화장품 관련 긍정적인 뉴스 확산입니다. 특히, K-뷰티의 해외 수출이 증가하면서 그로 인한 혜택을 예상하는 분위기가 클리오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날짜주가 (원)변동량 (원)변동률 (%)
2024-12-3117,280-80-0.46
2025-01-0117,200+00
2025-01-0217,500+300+1.74
2025-01-0317,710+210+1.20
  • null

  • 3-2. 시장 전반적인 분위기

  • 현재 코스닥 시장장에서 화장품 관련 주가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클리오를 포함한 여러 화장품 기업들은 해외 수출 증가에 따른 기대감을 받으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환율 상승에 따른 이익 증가 기대감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긍정적인 분위기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화장품 업종 전반에 걸쳐 기관 및 외국인의 매도세와 개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지만, 그러한 가운데 클리오와 같은 주요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따라서, 한국 화장품 산업의 경쟁력 있는 브랜드로서 클리오의 위치는 앞으로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가격 변화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3-3. 업계 동향 및 전망

  • 2025년 화장품 시장의 전망은 긍정적입니다. 특히 K-뷰티 브랜드의 해외 시장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클리오와 같은 기업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화장품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초과하였으며, 이는 글로벌 K-뷰티 선호 확산의 결과입니다. 앞으로 클리오 역시 국내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 시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 특히 ODM 방식으로 의존하고 있는 화장품 기업들은 환율 상승의 수혜를 크게 받을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기업군의 소속인 클리오가 이 시점에서 긍정적인 실적을 구현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관찰됩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고환율 속 K-뷰티 기업의 수출 호조

  • 새해 첫 거래일인 2025년 1월 2일에 한국 화장품 산업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주로 해외 수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원/달러 환율 상승이 이러한 흐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클리오를 포함한 여러 K-뷰티 기업들이 동반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화장품 수출액이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했음을 감안할 때, 클리오와 같은 기업은 내수 부진에도 불구하고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한 증권사의 연구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0% 상승할 경우 주요 화장품 기업의 연결 영업이익이 평균 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클리오와 같은 ODM(제조업자 개발 생산)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입니다. 환율 상승으로 인해 현지에서 법인을 운영하고 있는 브랜드사들은 매출 증가 효과는 있지만, 비용이 상승할 수도 있는 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와 함께, 휴젤, 파마리서치와 같은 에스테틱 관련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잠재력 덕분에 주목을 받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또한, K뷰티 선호의 확산은 전체적인 수출 성장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클리오 주가 전망

  • 최근 클리오의 주가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주가의 큰 변동을 예측하며, 특정 블로그에서는 긍정적인 기대감이 나타났지만,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부정적인 의견도 다수 존재합니다. 특히 오너의 경영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5-2. 더러븐 회사...

  • 논의 중인 댓글에서는 클리오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두드러집니다. '더러븐 회사'라고 묘사하며, 제품의 품질이나 경영 전략에 있어서 실망감을 표시하고 있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의견은 특히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됩니다.

  • 5-3. 썩열때문에

  • 주식 토론방에서는 '썩열때문에'라는 제목으로 클리오의 국민연금 관련비판이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국민연금이 자금을 대량 매도했다는 주장에 따라, 이는 투자자들에게 큰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지속된다면 클리오의 주가는 더욱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5-4. 이럴때

  • 한 투자자는 '이럴때'라는 제목 아래 클리오의 오너에게 회사를 넘기라는 비판적인 의견을 담아냈습니다. 주가 하락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며, 경영진의 능력 부족이 주가에 미치는 악영향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이는 클리오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 5-5. 연기금

  • 연기금과 관련된 댓글에서는 매도 중단 소식이 전해지며 희망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었습니다. 연기금이 매수 전환을 하게 된다면 주가는 크게 상승할 것이라는 긍정적 의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의문도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 5-6. 클리오 주주님들

  • 댓글 중에는 클리오 제품의 품질이 훌륭하다는 의견도 존재하지만, 경영진의 무능함이 발목을 잡고 있다는 비판적인 목소리도 있습니다.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 모두 존재하는 상황에서, 주주들은 경영의 개선을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 5-7. 하루1주씩 꾸준히 매입!!!

  • 한 투자자는 꾸준한 매수를 결심하며 긍정적인 투자의사를 드러냈습니다. 가격이 낮아진 현재, 소액주주로서 하루에 한 주씩 구매하겠다는 다짐을 하면서 회사에 대한 지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긴 호흡으로 바라보는 투자 접근법을 반영합니다.

  • 5-8. 올해 배당금은 줄거가

  • 클리오의 배당금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올해 배당금이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 속에서, 주주들은 향후 리스크 관리 및 경영 전략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 요소가 주가에 미치는 악영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주간 실적 변동성

  • 최근 KOSPI 12개월 선행 영업이익은 0.4%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2024년과 2025년 컨센서스는 각각 보합과 0.1% 상향되었습니다. 이는 전체적으로 컨센서스 변동성이 줄어든 상황으로, 변동된 종목 비율이 31%에서 21%로 감소하였습니다.

  • 6-2. 2025년 전망

  • 2025년의 영업이익 증가가 기대되는 업종으로는 디스플레이, 화학, 2차전지, 가전 및 에너지 등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조선업종은 11월 세계 선박 발주량에서 2위를 차지하며 수주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6-3. 주가 및 투자 의견

  • 클리오의 경우, 최근 전망에 따르면 2024년 예상 PER 36.68배로 주가는 16,840원에서 31,000원으로 목표가가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는 시장 내에서 긍정적인 거래량 증가와 동시에 기대되는 실적 개선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재무상태표 분석

  • 2024년 9월 30일 기준 클리오의 연결재무제표에 따르면, 유동자산은 198,005,795,505 원으로 이전 연도 12월 31일 기준 170,734,836,445 원에서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시장에서 유동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비유동자산은 107,423,992,664 원으로 이전 기간과 비교해 소폭 감소한 모습입니다.

  • 자산 총계는 305,429,788,169 원으로, 이전 기간 279,567,882,691 원에 비해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전체 증가폭이 유동자산에 의한 것임을 감안할 때, 단기적으로 회사의 자산 구조가 이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 부채 측면에서는 유동부채가 58,799,910,552 원으로 나타났으며, 비유동부채는 14,415,362,931 원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부채총계는 73,215,273,483 원으로 전기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자본총계는 232,214,514,686 원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의 성장을 반영합니다.

계정명2024년 9월 30일 (원)2023년 12월 31일 (원)변화액 (원)
유동자산198,005,795,505170,734,836,44527,270,959,060
비유동자산107,423,992,664108,833,046,246-1,409,053,582
자산총계305,429,788,169279,567,882,69125,861,905,478
유동부채58,799,910,55254,104,818,1294,695,092,423
비유동부채14,415,362,93111,764,574,9662,650,787,965
부채총계73,215,273,48365,869,393,0957,345,880,388
자본금9,035,676,5009,035,676,5000
이익잉여금142,635,838,462124,155,781,54618,480,056,916
자본총계232,214,514,686213,698,489,59618,516,025,090
  • null

  • 7-2. 손익계산서 분석

  •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9월 30일 까지의 기간 동안 클리오의 매출액은 87,558,600,126 원으로, 이전 같은 기간 대비 2,740,894,244 원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보여줍니다.

  • 영업이익은 6,407,227,824 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업의 운영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다소 감소한 영업이익률은 투자자들에게 주의해야 할 요소입니다. 법인세차감전 순이익은 7,660,216,840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감소 사유는 일부 영업비용 상승에 기인합니다.

  • 최종적으로 당기순이익은 6,024,046,369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였으나, 이는 주가에 긍정적이지 않지만,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계정명2024년 1월 1일 ~ 2024년 9월 30일 (원)2023년 1월 1일 ~ 2023년 9월 30일 (원)변화액 (원)
매출액87,558,600,12684,817,705,8822,740,894,244
영업이익6,407,227,82410,473,895,631-4,066,667,807
법인세차감전 순이익7,660,216,84012,429,177,082-4,768,960,242
당기순이익6,024,046,3699,730,961,822-3,706,915,453
총포괄손익6,629,440,5629,570,688,263-2,941,247,701
  • null

8. 결론

  • 결론적으로, 클리오는 현재의 저평가된 주가와 K-뷰티 상승세를 배경으로 미래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다만, 경영진에 대한 우려와 외부 시장 요인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적극적인 투자 전략을 고려해볼 시점이며, 특히 장기적으로 시장의 회복세를 타고 주가 상승이 예상되므로 투자를 권장합니다. 다만, 투자는 개인의 책임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잊지 마세요.

9. 용어집

  • 9-1. 클리오 [회사명]

  • 클리오는 K-뷰티의 대표 주자 중 하나로, 화장품 분야에서 강한 브랜드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화장품 수출 증가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클리오는 해외 시장의 확대를 통해 매출 증가의 기회를 모색하고 있으며, 이는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 9-2. K-뷰티 [전문용어]

  • K-뷰티는 한국의 뷰티 및 화장품 산업을 일컫는 용어로,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클리오와 같은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은 K-뷰티의 수출 증가로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회사의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 9-3. ODM [기술명]

  • ODM(제조업자 개발 생산)은 외부 브랜드의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클리오는 이 모델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생산과 비용 절감을 이루고 있습니다. 환율 상승이 ODM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클리오의 실적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9-4. PER [전문용어]

  • PER(주가수익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클리오의 현재 PER는 9.94배입니다. PER은 주식의 상대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로, 투자자들이 주식의 적정 가격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5. PBR [전문용어]

  • PBR(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비율로, 클리오의 PBR은 1.33배입니다. PBR은 회사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 9-6. 환율 [전문용어]

  • 환율은 두 통화 간의 교환 비율을 의미하며, 클리오와 같은 ODM 기업에게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의 상승은 클리오가 해외 시장에서 더 큰 매출을 기대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9-7. 자본총계 [전문용어]

  • 자본총계는 기업의 총 자본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클리오의 자본총계는 232,214,514,686 원입니다. 이는 기업의 안정성과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자본금과 이익잉여금을 포함한 수치입니다.

  • 9-8. 매출액 [전문용어]

  • 매출액은 기업이 상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여 얻은 수익으로, 클리오의 매출액은 87,558,600,126 원입니다. 매출액은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시장에서의 위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9-9. 당기순이익 [전문용어]

  • 당기순이익은 기업의 총 수익에서 총 비용과 세금을 차감한 후의 순이익으로, 클리오의 당기순이익은 6,024,046,369 원입니다. 이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핵심적인 재무 지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