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대한유화: 반등의 기회를 잡을 시점인가?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5년 01월 20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대한유화는 최근 석유화학 업종의 긍정적인 시그널과 함께 주가가 변동성을 보이며, 특히 에틸렌 수급 개선이 기대되는 가운데 향후 실적 개선 전망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부정적인 투자자들의 의견이 존재하며, 재무 지표도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대한유화에 대한 투자 결정은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2. 핵심 인사이트

주가 변동성
  • 대한유화의 주가는 최근 코스피 지수와 석유화학 업종의 개선 기대감에 따라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현재 가격은 52주 최고점인 161, 000원보다 저조한 수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에틸렌 수급 개선
  • 에틸렌의 수급 상황이 개선되고 있다는 분석에 힘입어 대한유화는 배터리 소재 시장의 확대 및 흑자 전환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는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업계 회복 기대
  • 석유화학 업계 전반에서 장기 불황 탈피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한유화는 2차전지 분야로의 진출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전문가 긍정 전망
  • 전문가들은 대한유화가 지속적인 배당을 지급할 가능성이 높고, 향후 성장이 예상되며, 금융 시장의 안정성이 회복될 경우 투자 환경이 유리해질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

  • 2025년 1월 14일부터 20일까지 대한유화(006650)의 주가는 변동성이 있었습니다. 1월 14일에는 85, 300원으로 거래를 시작한 후, 1월 15일에는 85, 700원으로 소폭 상승한 반면, 1월 16일에는 85, 300원으로 다시 떨어졌습니다. 이후 1월 17일에 83, 500원으로 하락하면서 저점을 찍었고, 1월 18일에는 83, 300원으로 하락이 지속되었습니다. 1월 19일 주가는 84, 200원으로 소폭 상승하며 1월 20일 현재 85, 300원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주가는 52주 최고점인 161, 000원에서 상당히 낮은 가격에 머물고 있습니다.

날짜종가 (원)변동률 (%)
2025-01-1485, 300+
2025-01-1585, 700+0.47
2025-01-1685, 300-0.47
2025-01-1783, 500-2.11
2025-01-1883, 300-0.24
2025-01-1984, 200+1.07
2025-01-2085, 300+
  • null

  • 3-2. 주가 변동 이유

  • 대한유화의 최근 주가 변동은 석유화학 업종의 전반적인 개선 기대감과 관련이 있습니다. 글로벌 에틸렌 증설 규모가 감소함에 따라 에틸렌의 수급 상황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 주가를 상승세로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12월부터 에틸렌 수급이 개선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유화는 배터리 소재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2024년 이후 흑자전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긍정적인 시장 전망이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됩니다.

  • 3-3. 코스피/코스닥 영향

  • 대한유화는 코스피 시장에서 358위에 해당하며, 최근 상승세로 인해 코스피 지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석유화학 업종 전체가 장기 불황을 벗어나려는 조짐을 보이며, 대한유화의 호실적과 부진 탈피 의지는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코스피 전체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며, 연관 기업들인 LG화학, 롯데케미칼 등도 함께 상승하여 석유화학 업종의 회복을 이끌고 있습니다.

  • 3-4. 업계 동향

  • 최근 석유화학 업계는 에틸렌 및 기타 원자재 공급망에서 개선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업체들이 공격적 증설에서 벗어나고 있으며, 2025년까지의 에틸렌 순증설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한유화는 2차전지 분야로의 진출을 통해 분리막용 초고순도 레진 판매도 증가하고 있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업계의 불황 탈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3-5. 주식 시장 분위기

  • 현재 주식 시장은 대한유화와 같은 석유화학 기업의 긍정적인 시그널을 반영하여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상장된 화학주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에틸렌 수급 개선 예상은 투자자들에게 큰 호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지난 몇 년간의 불황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심리가 개선되고 있는 것이 관찰됩니다. 이러한 분위기는 새로운 투자자들의 유입과 기존 투자자들의 추가 매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석화사들, 장기 불황 늪 벗어나는 중…“작년 말부터 턴어라운드”

  • 최근 석유화학 업계는 작년 말부터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한유화는 2024년부터 에틸렌의 수급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이 둔화된 영향입니다. 업계 대다수의 기업들이 역사적인 저점에 근접한 PBR과 함께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대한유화도 이러한 분위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ESG 경영과 함께 2차전지 소재 사업 진출로 인해 신규 매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으며, 향후 실적 개선도 기대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4분기 이후 흑자 전환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고, 트럼프 정부의 출범으로 유가 안정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석유화학 섹터 전체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대한유화의 주가도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습니다.

  • 4-2. [특징주]화학株, 에틸렌 수급 개선 기대감에 모처럼 ‘강세’

  • 대한유화의 주가가 최근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에틸렌 수급 개선에 대한 기대감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2022년 에틸렌 순증설 규모가 1011만 톤에 달했으나, 2024년에는 558만 톤, 2025년에는 206만 톤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대한유화 외에도 여러 화학주들이 동반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이 턴어라운드 시점을 맞이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SK온의 배터리 생산능력 확대 소식은 2차전지 관련 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여 대한유화의 분리막용 제품 판매량 증가 또한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유화의 실적이 향후 더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됩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여전히 쓰레기네 96천원대에 15백 손해보고 4년만에 털고 나왔는데 여전히 나가리구나

  • 주식토론방에서의 의견 중 일부는 대한유화에 대해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한 투자자는 96천원대에서 손실을 보았다고 이야기하며, 여전히 주가가 하락세에 있어 안타까움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 5-2. 망해가..

  • 또 다른 게시글에서는 대한유화의 상황이 심각하다는 의견을 남겼습니다. 투자자들은 회사가 망해가고 있다는 우려를 토로하고 있어, 전반적인 신뢰도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5-3. 오늘 매도해도 배당주나요? 주린이 ㅠ

  • 한 사용자는 오늘 주식을 매도하더라도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표하고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수익을 얻기 위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5-4. 대한유화 보다 금비 무증발표

  • 투자자들은 대한유화보다 금비 무상증자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대한유화의 주식에 대한 실망감이 드러나는 부분으로, 다른 주식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을 나타냅니다.

  • 5-5. 없는것보단 낫죠

  • 한 투자자는 대한유화의 주가가 없는 것보다는 나은 상태라고 언급하며 다소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투자자들 간의 의견 차이를 드러내는 부분입니다.

  • 5-6. 원상태로 돌아가는구나 항시 그렇듯이

  • 몇몇 게시글에서는 대한유화가 언제나 주가가 원상태로 돌아간다고 비관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적인 부정적 전망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 5-7. 소액주주 여러분!!! 우리도 한번 뭉쳐봅시다.

  • 소액주주들은 함께 힘을 모아보자는 주장도 제기하였습니다. 이는 현재 주주들이 결속력을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 5-8. 아직도 손실이 너무나 크다. 1년 더 기다려야 하나?

  • 투자자 중 한명은 여전히 손실이 크다고 하며, 앞으로 1년 더 기다려야 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는 많은 투자자들에게 공감되는 고민거리입니다.

  • 5-9. 나프타 폭등&에틸렌 하락으로 스프레드 다시 폭망 180불 언저리 올해 1분기도 대적자로 다시 회귀하나???

  • 특정 투자자는 나프타 가격 폭등과 에틸렌 가격 하락 상황을 우려하며, 스프레드가 다시 크게 악화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는 변동성이 큰 시장 상황을 반영합니다.

  • 5-10. 10.20.50.100 돌파하는거 아니가?

  • 한 게시글에서는 주가가 다시 10.20.50.100의 기준선을 돌파할 수 있는지 궁금해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기대가 여전히 존재함을 시사합니다.

  • 5-11. 이러다가 본전 되겠네. 쭉쭉 올라라

  • 투자자들은 현재 주가 상승세에 대한 기대를 감추지 않고 있으며, 본전 회복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희망적인 예측이 잘 이루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기도 합니다.

  • 5-12. 올리고 싶은 의지1도 없고 개미들꼬셔서 피빨생각만 하는게 보이네 그냥 문닫아라 시총5500억짜리 구멍가게

  • 한 사용자에 따르면 대한유화는 오히려 주가를 올릴 의지가 없어 보인다고 비난하며, 현재의 시장 환경에 대한 실망감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이는 주식토론방 내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 5-13. 주가는 4, 000원대로 고고싱 ?.

  • 일부 투자자는 주가가 4, 000원대로 내려갈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매우 암담한 투자 상황을 시사합니다.

  • 5-14. 최악의 상황이라고 생각될 때 주가는 이미 오르기 시작합니다

  • 다른 투자자는 현재의 최악의 상황에서도 주가는 곧 오를 것이라는 긍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어, 두 가지 상반된 의견이 공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5-15. 대한유화 보단 금비 무상증자

  • 대한유화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소수 주주들 사이에서 확산되며 금비 무상증자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는 다른 회사와 비교할 때 열위에 있는 현재 상황을 반영합니다.

  • 5-16. 전부터 미국 금리 인상 or 인하 지연 얘기만 나오면 별 관계도 없으면서 제일 쥐약같은 반응으로 골로 보내니 .....

  • 한 투자자는 미국 금리 조정이 대한유화의 금융적 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하며 주가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피력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 상황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 5-17. 유통 주식수가 너무 적어서 가끔 나오는 뜬금포만 타고 다녀도 나쁘진 않은데..

  • 일부 투자자들은 유통 주식수가 적어 주가가 간헐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언급하며, 현재의 상황에서도 나쁘지 않은 가능성을 고백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중한 관점을 보여줍니다.

  • 5-18. 이따 원복 되겠구만

  • 한 사용자는 현재 주가의 하락세가 다시 복원될 것이라는 기대를 감추지 않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심리를 반영하는 중요한 발언입니다.

  • 5-19. 팔릴까?

  • 주식 매도에 대한 고민을 가진 투자자가 많음을 보여주는 반응입니다. 현재 주가가 오르지 않는만큼 매도 시점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5-20. 머스크

  • 한 게시글에서는 머스크의 역할이 주가에 미칠 영향을 보도하면서, 전기차 시대의 영향력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대한유화 주식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미미할 수 있습니다.

  • 5-21. 최후의 발악..

  • 주식토론방에서의 일부 의견은 대한유화의 하락세에 대한 극단적인 회의를 보여주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주가가 오르기를 간절하게 바라고 있습니다.

  • 5-22. 회사에 좋은일?

  • 온전한 회복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회사의 긍정적인 소식이나 호재에 대한 기대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의견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는 주가에 미칠 긍정적 영향이 기대되는 상황을 반영합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2024년 화학 업황 전망

  • 2024년 화학 업황은 과거 3년간의 어려움을 지속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CC를 중심으로 한 주요 업체들의 영업 적자가 3년째 계속되면서 차입금이 증가하고, 재무 구조가 악화되었던 상황에 대한 우려가 팽배합니다. 그러나 중국의 경기 부양책과 신규 증설의 감소, 일부 업체들의 구조조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요소들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대한유화의 경우, 이번 업황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2. 2025년 연준 금리 방향성

  • 2025년에는 연준의 금리 인하가 시장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는 시장의 큰 기대를 받고 있으며, 향후 통화 정책의 방향성을 심각하게 재조정할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다음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단행할 적절한 시점을 찾고 있으며, 이는 금융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습니다. 대한유화의 경우, 금리가 안정될 경우 자율적 투자 및 배당금 지급 시 더욱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 6-3. 대한유화의 배당 및 성장성

  • 대한유화는 2025년에도 배당을 지속적으로 지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금 흐름이 긍정적으로 전환되면서 주주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할 것입니다. 또한, 대한유화는 불확실한 시장 상황 속에서도 여러 사업 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유화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유동자산 분석

  • 2024년 3분기 말 기준 대한유화의 유동자산은 587, 283, 474, 173원으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502, 070, 943, 945원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기준일유동자산 (원)
2024.09.30587, 283, 474, 173
2023.12.31502, 070, 943, 945
  • null

  • 7-2. 비유동자산 분석

  • 2024년 3분기 말 기준 비유동자산은 1, 609, 457, 539, 552원으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1, 694, 421, 770, 392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기준일비유동자산 (원)
2024.09.301, 609, 457, 539, 552
2023.12.311, 694, 421, 770, 392
  • null

  • 7-3. 자산 총계 분석

  • 2024년 3분기 자산 총계는 2, 196, 741, 013, 725원으로, 직전 기말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기준일자산 총계 (원)
2024.09.302, 196, 741, 013, 725
2023.12.312, 196, 492, 714, 337
  • null

  • 7-4. 유동부채 분석

  • 2024년 3분기 말 기준 유동부채는 329, 889, 168, 339원으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288, 246, 676, 637원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기준일유동부채 (원)
2024.09.30329, 889, 168, 339
2023.12.31288, 246, 676, 637
  • null

  • 7-5. 비유동부채 분석

  • 2024년 3분기 말 기준 비유동부채는 76, 139, 416, 023원으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83, 455, 435, 565원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기준일비유동부채 (원)
2024.09.3076, 139, 416, 023
2023.12.3183, 455, 435, 565
  • null

  • 7-6. 부채 총계 분석

  • 2024년 3분기 부채 총계는 406, 028, 584, 362원으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371, 702, 112, 202원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기준일부채 총계 (원)
2024.09.30406, 028, 584, 362
2023.12.31371, 702, 112, 202
  • null

  • 7-7. 자본 관련 분석

  • 2024년 3분기 자본 총계는 1, 790, 712, 429, 363원으로, 직전 기말 1, 824, 790, 602, 135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기준일자본 총계 (원)
2024.09.301, 790, 712, 429, 363
2023.12.311, 824, 790, 602, 135
  • null

  • 7-8. 매출액 분석

  •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682, 774, 665, 938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의 666, 242, 760, 283원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기준일매출액 (원)
2024.09.30682, 774, 665, 938
2023.09.30666, 242, 760, 283
  • null

  • 7-9. 영업이익 분석

  • 2024년 3분기 영업이익은 -28, 599, 167, 55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의 18, 770, 233, 953원과 비교하여 적자가 발생했습니다.

기준일영업이익 (원)
2024.09.30-28, 599, 167, 553
2023.09.3018, 770, 233, 953
  • null

  • 7-10. 법인세차감전 순이익 분석

  • 2024년 3분기 법인세차감전 순이익은 -26, 358, 607, 07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의 22, 625, 732, 346원에서 엄청난 손실이 발생하였습니다.

기준일법인세차감전 순이익 (원)
2024.09.30-26, 358, 607, 070
2023.09.3022, 625, 732, 346
  • null

  • 7-11. 당기순이익 분석

  • 2024년 3분기 당기순이익은 -20, 286, 002, 812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의 17, 343, 661, 641원에 비해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습니다.

기준일당기순이익 (원)
2024.09.30-20, 286, 002, 812
2023.09.3017, 343, 661, 641
  • null

  • 7-12. 총포괄손익 분석

  • 2024년 3분기 총포괄손익은 -20, 450, 321, 99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동안의 17, 637, 941, 270원에 비해서도 개선된 사항이 없습니다.

기준일총포괄손익 (원)
2024.09.30-20, 450, 321, 993
2023.09.3017, 637, 941, 270
  • null

8. 결론

  • 결론적으로, 대한유화는 에틸렌 수급 개선과 신규 시장 진출로 인한 성장 가능성이 점쳐지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불안정한 재무상태와 투자자들의 우려를 고려할 때, 섣부른 투자 결정을 피해야 하며, 더 나은 진단 또는 시장 반응이 나타난 후에 투자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단, 최악의 상황에 대한 예측이 잘못될 경우 주가는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으며, 재무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저점에서의 매수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향후 대응 전략을 철저히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9. 용어집

  • 9-1. 대한유화 [회사명]

  • 대한유화는 석유화학 업종에서 활동하는 기업으로, 최근 에틸렌 수급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회사의 재무적 성과와 배당 전략은 투자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2차전지 소재 사업으로의 진출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9-2. 에틸렌 [제품명]

  • 에틸렌은 석유화학 업종에서 중요한 기초 원료로, 대한유화를 포함한 많은 기업들이 이 제품의 수급 상황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에틸렌 증설 규모가 감소함에 따라, 대한유회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시장 전망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 9-3. NCC [전문용어]

  • NCC(Naphtha Cracking Center)는 나프타(석유 제품)을 원료로 에틸렌과 같은 주요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시설입니다. 대한유화의 운영 효율성과 손익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소로, 업계의 구조 조정 및 재무 적자가 NCC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9-4. PBR [전문용어]

  •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와 장부가치를 비교하는 지표로, 기업의 시장 가치를 평가하는 데 활용됩니다. 대한유화가 역사적인 저점에 가까운 PBR을 보이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이는 기업의 가치 평가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 9-5. 배터리 소재 [제품명]

  • 배터리 소재는 최근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수요 증가에 따라 성장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대한유화는 이 분야로의 진출을 통해 매출 다각화 및 포트폴리오 강화를 이루고자 합니다.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