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보고서는 인텍플러스의 시장 위치와 성장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HBM 검사 장비와 관련된 최근 실적 및 전망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인텍플러스의 투자 가치를 평가하는 데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인텍플러스의 2024년 2분기 매출액은 206억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2.1%, 직전 분기 대비 8.8%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영업손실은 -18억원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전반적인 반도체 및 패키지 기판 검사 장비에 대한 전방 수요가 부진함에 기인합니다. 상상인증권의 리포트에 따르면, 이 전망은 컨센서스인 영업이익 14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분기 | 매출액(억원) | 영업손실(억원) | 전년 대비 변화 |
---|---|---|---|
1분기 | 188.98 | -24.81 | +76.5% |
2분기(예상) | 206 | -18 | +2.1% |
이 표는 인텍플러스의 분기별 매출액과 영업손실을 요약합니다.
2024년 1분기에 인텍플러스는 매출이 188억9806만원으로 전년 대비 76.5% 증가하였고, 영업손실은 24억8124만원으로 43.4% 감소하여 실적이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고객사 HBM 생산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현재 외관 검사 장비 시장은 KLA가 지배하고 있으며, KLA의 하위 브랜드 '아이코스'는 인텔,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포함한 주요 반도체 고객사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HBM 수요의 급증과 함께 공정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이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기업명 | 주요 고객사 | 시장 점유율 | 특장점 |
---|---|---|---|
KLA | 인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점유율 미상 | 정밀한 외관 검사 기술 |
인텍플러스 | 글로벌 파운드리 A사 | 점유율 미상 | HBM 및 2.5D 패키징 공정 전문 |
고영테크놀러지 | 글로벌 반도체 기업 | 점유율 미상 | 3D 검사 장비 기획 및 공급 |
이 표는 외관 검사 장비 시장 내 주요 기업과 그들의 고객사 및 특장점을 요약합니다.
최근 HBM 및 2.5D 패키징 공정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텍플러스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고급 맞춤형 장비를 공급하기 위해 시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HBM을 통한 3차원 외관 검사는 패키징 생산 라인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습니다.
제품 이름 | 용도 | 기술 특징 |
---|---|---|
HBM 검사 장비 | 3D 외관 검사 | 최신 3D 검사 기술 적용 |
2.5D 패키징 검사 장비 | 패키징 생산 라인 검사 | 고급 맞춤형 공정 지원 |
이 표는 인텍플러스의 주요 제품과 각 제품의 용도 및 기술 특징을 요약합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는 고성능 컴퓨팅 및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에 필요한 핵심 메모리 솔루션으로, 최근 여러 산업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인텍플러스의 HBM 검사 장비에 대한 수요를 더욱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연도 | 매출액 (억원) | 영업손실 (억원) | 순손실 (억원) |
---|---|---|---|
2023 | 748 | 110 | 107 |
2024 | 1889 | 25 | 22 |
이 표는 인텍플러스의 최근 매출 및 손실 내역을 요약합니다.
인텍플러스는 글로벌 파운드리 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검사 장비의 퀄리티 테스트 통과로 추가 고객사 확보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고객사 HBM 생산 확대에 따른 2.5D 패키징 검사 장비의 수주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구분 | 전년 대비 증감률 | 예상 매출 (억원) | 비고 |
---|---|---|---|
1사업부 | +10% | 206 | 반도체 외관 검사 장비 |
2사업부 | -5% | 34 | 패키지기판 검사 장비 |
3사업부 | +10% | 85 | 2차전지 및 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
이 표는 각 사업부의 예상 매출과 전년 대비 증감률을 요약합니다.
상상인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인텍플러스는 2분기에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예상치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영업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Q24 Preview: 적자는 지속되지만'에서는 2분기 매출액이 20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하겠지만 영업적자는 18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구분 | 2분기 전망 | 변동 |
---|---|---|
매출액 | 206억원 | +2.1% YoY |
영업손실 | -18억원 | 적자지속 |
이 표는 인텍플러스의 2분기 전망과 변화를 요약합니다.
인텍플러스의 분석에서 올해 반도체 및 패키지 기판 검사 장비의 부진이 드러났습니다. 특히 기판 업황이 부진한 상황에서 2사업부의 실적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었고, 이는 매출 감소로 이어질 것이며, 2사업부 매출액이 전년 대비 5.3% 감소할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인텍플러스는 HBM 검사 장비 수요 증가와 함께 성장 가능성이 크지만, 전방 수요 부진과 영업적자 지속이라는 위험 요소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