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보고서는 2024년 게임 산업의 주요 트렌드와 각 게임사의 신작 출시 및 성장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게임 시장은 AI 기술의 활용, 방치형 RPG의 인기, 그리고 글로벌 시장 진출 등 다양한 요소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각 게임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봅니다.
2023년 국내 게임 산업은 전반적인 성장세가 주춤하였으나, 대형 게임사들은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으며, 특히 신작 출시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넷마블, 넥슨, 크래프톤은 신작과 라이브 게임의 흥행으로 호실적을 거둔 반면, 엔씨소프트와 카카오게임즈는 부진한 성과를 기록하였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각 게임사는 신작 출시를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게임사 | 상반기 신작 | 기존 게임 성과 | 글로벌 시장 전략 |
---|---|---|---|
넥슨 | 퍼스트버서커: 카잔 | 높은 실적 | 중국 시장 공략 |
넷마블 | 일곱개의 대죄: 오리진 | 나혼자만레벨업: 어라이즈 흥행 | IP 기반 전략 |
크래프톤 | 인조이 | 양호한 영업이익 | AI 기술 활용 |
엔씨소프트 | 택탄, LLL | 부진한 성과 | 재도약 노림 |
카카오게임즈 | 발할라서바이벌 | 오딘: 발할라라이징 역주행 | 신작 통해 반등 노림 |
이 표는 2023년 게임사들의 신작 출시 및 기존 게임 성과를 요약합니다.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게임 산업에서도 AI 기술이 점차 통합되고 있습니다. 모건 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인공지능 광고 기술의 발전이 사용자 참여를 증대시키며, 광고 수익이 전년 대비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게임 업계에서도 홍보와 마케팅에서 AI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임을 암시합니다. 또한, AI 기술로 인한 피드 추천 개선은 콘텐츠 배포를 강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넷마블은 2024년 상반기에 인기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신작 4종을 출시할 계획이며, 이는 재도약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와 '킹 오브 파이터 AFK'는 강력한 IP를 바탕으로 한 게임으로,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의 성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RF 온라인 넥스트와 세븐나이츠 리버스는 기존 IP의 강화를 통해 사용자 흡입력을 높이고자 합니다. 넷마블의 멀티 플랫폼 전략은 신규 이용자 유입과 안정적인 중장기 흥행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신작 제목 | 장르 | 플랫폼 | 기대 효과 |
---|---|---|---|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 액션 어드벤처 | PC, 모바일 | 북미·유럽 시장에서의 기대 |
킹 오브 파이터 AFK | 캐릭터 수집형 RPG | 모바일 | 방치형 게임 트렌드 반영 |
RF 온라인 넥스트 | MMORPG | PC, 모바일 | 글로벌 대규모 전투 콘텐츠 |
세븐나이츠 리버스 | RPG | PC, 모바일 | 기존 팬층 확대 |
이 표는 넷마블의 2024년 신작 라인업과 각 신작의 특징을 요약합니다.
크래프톤은 CES 2025에서 AI NPC를 도입하여 게임 내 경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AI 기술을 통해 NPC의 상황 인식 능력이 강화됨으로써 유저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배틀그라운드 시리즈와 같은 기대작에 SLM이 적용되어 고성능 그래픽 카드 없이도 게임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기술 도입을 통해 크래프톤은 게임 산업 내 경쟁 우위를 확보할 것으로 보입니다.
AI 기술 | 적용 게임 | 기대 효과 |
---|---|---|
CPC(상호 플레이 캐릭터) | 배틀그라운드 시리즈 | 향상된 게임 경험 |
AI 반영 NPC | 인조이(inZOI) | 다양한 NPC와의 상호작용 |
AI 음성 생성 기술 | 더 파이널스 | 더욱 몰입감 넘치는 스토리 전달 |
메타휴먼 | 한유아 | 유저와의 감정적 연결 강화 |
이 표는 크래프톤의 AI 기술 활용 상황과 기대 효과를 정리한 것입니다.
엔씨소프트는 이번 보고서에서 2024년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다수의 신작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회사 측은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2025년에도 다양한 신작 출시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특히 서브컬처 RPG와 미드코어 장르의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NHN은 이미 다양한 IP 기반 게임을 통해 일본 및 대만 등 해외 시장에서 성과를 내고 있어, 앞으로의 성공적인 출시가 더욱 기대됩니다.
신작 제목 | 장르 | 출시 연도 | 전략 |
---|---|---|---|
다키스트 데이즈 | 슈팅 RPG | 2025 | 협동과 경쟁 요소 강화 |
어비스디아 | 수집형 RPG | 2025 | 서브컬처 이용자 확보 |
페블시티 | 소셜 카지노 | 2025 | 글로벌 웹보드 매출 확보 |
프로젝트 G | IP 기반 | 2026 | 계속적인 IP 활용 |
이 표는 엔씨소프트의 신작과 그 출시에 대한 전략을 요약한 것입니다.
방치형 RPG 장르는 최근 소비 트렌드와 부합하여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용자들은 최소한의 시간 투자로도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방치형 RPG의 자동 전투 및 비접속 성장 시스템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2023년 한국의 방치형 RPG 장르 매출은 677억원으로 전년 대비 82.5% 증가하였고, 상위 10개 게임의 하루 평균 매출은 1억4000만원에 달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성장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도 | 방치형 RPG 매출 (억원) | 증가율 (%) |
---|---|---|
2022 | 373 | N/A |
2023 | 677 | 82.5 |
이 표는 방치형 RPG 장르의 매출 증가 현황을 요약합니다.
대형 게임사들이 방치형 RPG 장르에 속속 진입하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는 '저니 오브 모나크'를 글로벌 출시하였으며, 출시 닷새 만에 매출 5위를 기록했습니다. 넷마블도 '더 킹 오브 파이터즈 AFK'의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컴투스 또한 '갓앤데몬'을 예정하여 글로벌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처럼 주요 게임사들이 신작을 출시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게임사 | 게임 제목 | 출시일 | 성과 |
---|---|---|---|
엔씨소프트 | 저니 오브 모나크 | 2024년 1월 | 매출 5위 |
넷마블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AFK | 2024년 상반기 | 예정 |
컴투스 | 갓앤데몬 | 2024년 1월 15일 | 예정 |
이 표는 대형 게임사들의 방치형 RPG 출시 현황을 요약합니다.
AI 기술의 발전은 게임 개발 방식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과거의 AI 캐릭터는 단순한 행동 패턴을 반복하는 수준에서 머물렀지만, 최근에는 딥러닝 기술의 도움으로 사람처럼 생각하고 상호 작용하는 캐릭터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에 'Co-Playable Character(CPC)'를 도입하여 팀원이 부족할 경우 AI 캐릭터가 게임을 지원하도록 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플레이어의 게임 경험을 크게 향상시키며, 게임의 몰입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AI 기술 발전 | 게임 개발 예시 | 주요 효과 |
---|---|---|
딥러닝 기술 | 크래프톤의 배틀그라운드 CPC 도입 | 팀원 부족 시 AI 지원 |
자연어 처리 | 넷마블의 개인 맞춤형 훈련 시뮬레이션 | 플레이어 몰입감 증가 |
상황 인지 | 위메이드넥스트의 AI 보스 캐릭터 개발 | 예측 불가능한 전투 경험 |
이 표는 AI 기술 발전과 관련된 게임 개발 예시 및 효과를 요약합니다.
사람 같은 AI 캐릭터는 게임 이용자의 경험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I 캐릭터는 플레이어의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개인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며, 몰입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조이 게임에서는 AI가 캐릭터를 생성하고 스스로 사고하도록 개발하고 있습니다.
AI 캐릭터 유형 | 적용 사례 | 긍정적 효과 |
---|---|---|
CPC | 배틀그라운드 | 팀원 지원 |
AI 보스 | 미르5 | 예측 불가능한 전투 |
개인 맞춤형 AI | 넷마블 | 최적화된 난이도 조절 |
이 표는 사람 같은 AI 캐릭터의 유형과 적용 사례, 긍정적인 효과를 요약합니다.
AI 기술의 발전은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영향을 동반합니다. AI 캐릭터의 행동이 학습 데이터의 편견을 반영할 수 있으며, 이는 차별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더불어, AI 캐릭터와의 감정적 연결이 지나치게 강해질 경우 실제 인간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개발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윤리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2024년 게임 산업은 AI 기술의 통합, 방치형 RPG의 인기, 그리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변화를 맞이할 것입니다. 각 게임사는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신작을 출시하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경쟁 심화와 콘텐츠 비용 상승 등의 리스크도 존재하므로, 투자자들은 이를 고려하여 접근해야 합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