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신혼부부를 위한 서울시 장기전세주택 기회

일반 리포트 2025년 01월 11일
goover

목차

  1. 요약
  2. 서울시 '미리 내 집' 프로그램 개요
  3. 2024년도 제3차 미리 내 집 입주자 모집
  4. 신청 자격 및 조건
  5. 입주 단지별 특징
  6. 서울시의 향후 계획
  7. 결론

1. 요약

  • 서울시가 신혼부부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미리 내 집'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장기전세주택을 공급하며, 2024년 제3차 입주자 모집을 진행한다. 이번 모집은 서초구 잠원동, 성동구 용답동 등의 6개 신규 단지에서 총 395가구를 대상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신혼부부에게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다양한 면적대(41~84㎡)의 주택이 제공되며, 전세금은 2억9천만 원부터 시작하여 최대 9억 원까지 분포되어 있다. SH공사가 지원하는 이번 모집은 2025년 1월 신청을 시작으로, 경쟁률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2. 서울시 '미리 내 집' 프로그램 개요

  • 2-1. 미리 내 집 프로그램의 목적

  • 서울시 '미리 내 집' 프로그램은 저출생 대책의 일환으로 신혼부부에게 안정된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 내 집 마련의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공공임대주택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출산이나 결혼을 계획 중인 신혼부부가 안정적인 주거를 누릴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2-2. 장기전세주택Ⅱ의 특징

  • 장기전세주택Ⅱ, 즉 '미리 내 집'은 신혼부부를 위한 전세 주택으로, 입주 후 소득과 자산의 증가와 관계없이 자녀 한 명이 출산만 해도 재계약이 가능하며, 입주 후 자녀가 늘어날 경우 세대원 수에 따라 입주 기간이 최대 20년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면적(전용면적 41~84㎡)으로 구성된 395가구를 공급하며, 올해 마지막 입주자 모집에서 6개 신규 단지에서 진행됩니다.

  • 2-3. 신혼부부 대상 정책

  • 서울시는 신혼부부를 위해 총 395가구를 모집하며, 그 중 메이플자이(서초구 잠원동) 98가구, 청계SK뷰(성동구 용답동) 53가구, 모아엘가트레뷰(구로구 오류동) 86가구 등 다양한 신규 단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세금은 최저 2억9천만 원에서 최고 9억 원까지 다양하고, 입주자는 퍼스널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경쟁률이 높았던 올해 두 차례의 모집에서는 최대 20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3. 2024년도 제3차 미리 내 집 입주자 모집

  • 3-1. 모집 가구 수 및 신청 일정

  • 2024년도 제3차 ‘미리 내 집’ 입주자 모집은 총 395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됩니다. 서울시는 2024년 1월 20일에 모집 공고를 하였고, 2025년 1월 2일부터 1월 3일 사이에 입주 희망자의 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 내년에도 3월, 7월, 11월에 추가 모집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 3-2. 신규 단지 및 면적

  • 이번 모집에는 서초구 잠원동과 성동구 용답동 등 6개 신규 단지에서 다양한 면적의 주택이 공급됩니다. 전용면적은 41㎡부터 84㎡까지 다양하며, 서초구 잠원동의 메이플자이는 전용면적 43㎡ 47호 및 49㎡ 51호 총 98호가 공급됩니다. 성동구 용답동의 청계SK뷰는 전용면적 44㎡ 32호와 59㎡ 21호 등 총 53호가 공급됩니다. 이 외에도 구로구 오류동, 강동구 성내동, 동대문구 용두동, 영등포구 신길동 등 다양한 단지가 포함됩니다.

  • 3-3. 전세금 범위와 인센티브

  • 이번 모집의 전세금은 최저 2억9000만 원에서 최고 9억 원까지 다양합니다. 특히, 서대문구 동원베네스트 59㎡의 경우 전세금이 가장 저렴하고, 마포구 공덕동 공덕SK리더스뷰 84㎡는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미리 내 집’ 프로그램은 출산이나 결혼을 계획하는 신혼부부에게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며, 자녀가 태어나면 최장 20년까지 거주 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인센티브도 제공됩니다.

4. 신청 자격 및 조건

  • 4-1. 신혼부부 신청 자격 조건

  • 신혼부부는 혼인신고 후 7년 이내에 해당하거나, 공고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혼인신고 예정인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부부 모두 공고일 기준으로 5년 이내 주택을 소유한 적이 없어야 합니다.

  • 4-2. 예비 신혼부부의 조건

  • 예비 신혼부부 역시 혼인신고를 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신청할 수 있으며, 부부 모두 주택 소유 이력이 없어야 하며, 혼인신고 후 7년 이내이면 신청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이는 실질적인 무주택 신혼부부들에게 주거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 4-3. 주택 소유 기준

  • 신혼부부가 신청하기 위해서는 주택 소유 조건이 있으며, 부부가 모두 공고일 기준으로 5년 이내에 주택을 소유한 적이 없어야 신청 자격을 갖출 수 있습니다. 이 조건은 특히 실질적으로 무주택 가구에게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설정되었습니다.

5. 입주 단지별 특징

  • 5-1.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 서초구 잠원동에 위치한 메이플자이는 전용면적 43㎡에 47호, 49㎡에 51호 등 총 98호가 공급됩니다. 이 아파트는 3호선 잠원역과 7호선 반포역 사이에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며, 백화점과 종합병원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또한, 인근에는 잠원한강공원이 위치해 있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 5-2. 성동구 용답동 청계SK뷰

  • 성동구 용답동에 위치한 청계SK뷰는 전용면적 44㎡에 32호, 59㎡에 21호 등 총 53호가 공급됩니다. 이 단지는 청계천변에 위치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자랑하며, 2호선 신답역과 5호선 답십리역이 가까워 교통 편의성이 좋습니다.

  • 5-3. 기타 공급 단지

  • 그 외에도 강동구 성내동 그란츠 리버파크 40호, 구로구 오류동 모아엘가트레뷰 86호, 동대문구 용두동 힐스테이트 청량리 메트르블 22호, 영등포구 신길동 신길AK푸르지오 5호 등 다양한 단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외에도 강동구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의 미계약분 9호도 이번 모집에서 입주자를 추가로 모집합니다.

6. 서울시의 향후 계획

  • 6-1. 2025년도 공급 계획

  • 서울시는 2024년도 제3차 미리 내 집 입주자 모집을 통해 395가구를 모집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서초구 잠원동, 성동구 용답동 등 6개 신규 단지에서 진행되며, 각 단지의 전용면적은 41㎡부터 84㎡까지 다양합니다. 전세금은 최저 2억9000만 원에서 최고 9억 원까지 다양하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입주자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혼인신고한 지 7년 이내의 신혼부부 또는 예비 신혼부부가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 6-2. 신혼부부 주거 안정 정책

  • 미리 내 집 프로그램은 신혼부부를 위한 안정적인 주거 환경 제공을 목표로 하며, 입주 후 자녀를 한 명 출산하면 재계약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출산으로 인해 세대원 수가 늘어난 경우 입주 10년 차부터 넓은 평형으로 이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신혼부부는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주택을 매입할 수 있는 인센티브까지 제공받게 됩니다.

  • 6-3. 저출생 문제 해결 노력

  • 서울시는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으로 미리 내 집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는 신혼부부의 결혼 및 출산 장려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 7월과 8월 두 차례 입주자 모집에서는 각각 300호, 327호가 공급되었고, 두 모집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은 각각 213대 1, 216대 1에 달했습니다.

결론

  • 이번 '미리 내 집' 프로그램의 입주자 모집은 신혼부부에게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함으로써 서울시의 저출생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한다. 395가구 규모로 진행되는 이 모집은 주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책적 노력을 반영한다. 장기전세주택 제공이라는 중요한 기회를 통해 신혼부부들은 입주 후 자녀를 출산해도 계속 거주하는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모집 단지와 전세금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률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있다. 서울시와 SH공사는 이러한 프로그램의 한계를 인식하고, 향후에도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과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들이 실질적인 인구 증가와 사회적 안정을 가져오기를 기대해본다.

용어집

  • 미리 내 집 [주택정책]: 서울시의 신혼부부를 위한 장기전세주택 프로그램으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고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신혼부부가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에 한해 신청할 수 있으며, 출산 후에도 재계약 및 거주 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 SH공사 [공공기관]: 서울주택도시공사는 서울시의 주택 정책을 실행하는 기관으로, 다양한 주택 공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미리 내 집' 프로그램의 입주자 모집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신청을 관리한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