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정상압 수두증과 씹는 근육의 상태가 인지 기능 저하와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를 조명한다. 중앙대학교병원 연구팀의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관련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정상압 수두증 환자의 저작근 분석이 치매와 유사한 증상을 예측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중앙대학교병원 박용숙·이신헌 교수팀은 정상압 수두증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MRI를 통해 저작근의 구조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씹는 근육의 퇴행 정도가 인지 기능 저하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인지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가 정상 인지 기능을 가진 환자에 비해 더 심각한 저작근 퇴행을 보인다고 밝혀졌다.
정상압 수두증은 뇌척수액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며 치매와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이에 중앙대학교병원 연구팀은 저작근의 변화를 통해 치매와 유사한 증상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향후 정밀한 저작근 분석을 통해, 정상압 수두증 환자의 인지 기능 상태 변화를 예측하고 적절한 재활 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일부 연구들은 잇몸 건강과 인지 기능의 관계도 탐구하고 있다. 구강 건강의 중요성은 치매와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의 예방에도 관련이 있으며, 이는 인체 내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과 관계가 깊다. 건강한 잇몸은 전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치매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