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원익머트리얼즈, 어닝 쇼크 속에서도 긍정적 성장 가능성 탐색!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4년 11월 11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최근 원익머트리얼즈는 3분기 어닝 쇼크를 겪으며 시장의 신뢰를 잃었고, 주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동자산 증가와 영업이익 상승을 기록하며 구조적 성장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이러한 시황 및 재무 분석을 통해 원익머트리얼즈의 투자 가치를 평가합니다.

2. 핵심 인사이트

어닝쇼크
  • 원익머트리얼즈는 3분기에서 예상 영업이익이 33.7% 하락하여 어닝쇼크를 경험하였으며, 이는 반도체 업종의 경기침체와 직결됩니다.

주가하락
  • 주식의 최근 주가는 21,000원에서 20,900원으로 하락하며, 외국인 투자자 매수세와 기관 투자자 매도세가 교차하는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 부진
  • 반도체 및 이차전지 산업 전반적으로 상장사의 62%가 영업이익 전망치를 밑돌며, 원익머트리얼즈 역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재무안정성
  • 원익머트리얼즈는 유동자산과 자본총계가 증가하며 재무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전반적인 산업 위축이 지속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할 상황입니다.

3. 시황 요약

  • 3-1. 주가 변동 현황

  • 2024년 11월 5일 기준, 원익머트리얼즈의 주가는 21,000원이었으며, 이후 11월 11일 현재 20,900원으로 하락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주가는 20,400원에서 21,450원 사이에서 변동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주가 변동은 최근 발표된 3분기 실적 부진에 크게 영향을 받았으며, 외국인 매수세와 기관 매도세가 교차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들은 3일 동안 16,763주를 순매수 했으나 기관 투자자들은 19,681주를 순매도했습니다.

  • 이러한 외국인 매수는 반도체 업종의 매력적인 가격이 형성된 것일 수 있지만, 기관의 순매도는 업종에 대한 경기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날짜종가 (원)고가 (원)저가 (원)변동률 (%)
2024-11-0521,00021,05020,9500
2024-11-0620,90021,10020,650-0.48
2024-11-0720,55020,90020,250-1.67
2024-11-0820,40021,10020,300-0.73
2024-11-0920,90021,45020,9000
  • null

  • 3-2. 어닝 쇼크 및 산업 전반의 경기침체

  • 최근 반도체 및 이차전지 산업을 포함한 여러 상장기업에서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하회하는 어닝 쇼크가 발생했습니다. 원익머트리얼즈는 예상 영업이익에서 33.7% 하락한 결과를 보여, 반도체 업종의 경기침체 체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3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상장사의 62%가 영업 이익 전망치를 밑돌았으며, 3곳 중 1곳이 어닝 쇼크를 경험하였습니다.

  • 이처럼 실적 부진은 글로벌 반도체 수요 감소 및 원자재 가격 상승, 경기 둔화 등 다각적인 요인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 경제의 체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은 고객사의 주문이 감소하며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3-3. 투자자 반응 및 시장 전망

  • 투자자들은 3분기 실적 부진에 대한 우려 속에서 보수적인 투자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기업들이 실적을 부진하게 발표하자 시장 전반에 걸쳐 투자자들의 신뢰가 악화되었으며, 이는 곧 주가 하락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경제가 'G20'에서 가장 낮은 주가 수익률을 기록하는 등 국내 증시의 상황이 좋지 못함을 보여줍니다.

  • 전문가들은 이러한 실적 충격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내년 상반기까지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실적이 쉽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미국 대선 및 글로벌 경기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시장 상황에서 원익머트리얼즈는 여전히 구조적인 도전에 직면할 것입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상장사 3곳 중 1곳 ‘어닝 쇼크’

  • 최근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상장사 165곳 중 57곳이 영업이익이 시장의 전망치보다 10% 이상 낮아져 ‘어닝 쇼크’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전체 상장사 중 약 34.6%에 해당하며, 반도체 및 이차전지 중심의 주요 업종이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 특히 심텍은 예상된 영업이익 124억원에서 불과 5억원으로 발표되어 괴리율이 -95.9%에 이른 바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경제의 체력 약화와 시장의 실망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으며, 최근 주가는 이에 발맞추어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4-2. 3분기 실적 부진이 가져온 세수 결손 우려

  • 상장사들의 실적 부진은 내년 법인세 수입 감소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까지 발표된 상장사 중 3곳 중 1곳이 어닝쇼크를 기록했으며, 예상보다 적은 영업이익이 연간 세수 결손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내년 법인세액을 88조5천억원으로 이번 분기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로 추정했으나, 상장사들의 실적 저조로 세수 결손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 4-3. 반도체 및 이차전지 업종 전반적인 부진

  • 반도체 및 이차전지 업종은 이번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심각한 부진을 보이고 있습니다. 원익머트리얼즈 또한 성장이 예상보다 둔화된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반도체 관련 기업들과 이차전지 기업들은 많은 부분에서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습니다. 원익머트리얼즈의 영업익은 전년 대비 증가했지만 여전히 업계 전반적인 하락세에 영향을 받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4-4. 원익머트리얼즈, 3분기 영업익 호조

  • 원익머트리얼즈는 최근 발표한 3분기 실적에서 영업이익이 120억25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6.8% 증가한 성과를 올렸습니다. 그러나 동일 업종의 다른 회사들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인 증시와 시장 기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성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실적 향상에도 불구하고, 부진한 산업 전반의 여파로 향후 실적이 계속해서 개선될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4-5. 수소용품검사 인증센터 개소

  • 전북 완주에 국내 유일의 수소용품검사 인증센터가 개소하였습니다. 이 센터는 수소용품의 성능 평가와 법정검사를 수행하며, 안전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수소 산업의 발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원익머트리얼즈는 이 행사에 참석하여 주요 기업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향후 수소 산업에 대한 관심과 투자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어제부터 분할 매수 진행 중

  • 투자자들은 주가 하락 속에서도 매수를 이어가고 있으며, 일부는 5차례에 걸쳐 분할 매수를 진행했음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 주가가 매수 적기라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21000원을 깨면 추가 매수할 계획을 밝히고 있습니다.

  • 5-2. 바닥에서 300만원 투자

  • 최근 투자자들은 주가 저점을 잡기 위해 300만원을 투입하였으며, 그에 따라 '개미의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는 긍정적인 감정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이처럼 많은 투자가가 바닥 매수를 시도하는 것은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함을示唤합니다.

  • 5-3. 주가 및 시가총액에 대한 우려

  • 투자자들은 회사의 현재 시가총액이 순이익과 비교하여 과도하게 저평가되어 있다고 지적하며, 반도체 소재로서의 가치는 간과되고 있다고 언급합니다. 현재 이익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가격 기준 매매는 위험하다는 의견이 눈에 띕니다.

  • 5-4. PER과 PBR에 대한 비판

  • 게시물에서 PER이 5배, PBR이 0.58배 수준이라는 것을 들어, 이 주식이 지나치게 저평가되고 있다는 비판이 있었습니다. 과거의 멀티프레임에 비해 현재의 주가는 정당하지 않다는 주장도 보입니다.

  • 5-5. 삼전과의 연관성

  • 삼성전자와의 연관성을 지적하며 반도체 업황에 따른 자회사 수익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이는 원익머트리얼즈의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있었습니다.

  • 5-6. 오너 리스크에 대한 의구심

  • 회사의 오너 리스크가 심각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이는 경영진의 결정과 관련한 신뢰 부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여러 주장도 제기되었습니다.

  • 5-7. 결국 뭐가 문제인지

  • 주식시장에서 현재의 하락세가 과연 단기적인 요인인지 아니면 구조적 문제가 있는지를 둘러싼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수의 투자자들은 기초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된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 5-8. 시장 지배 구조 불만

  • 현재 주식시장이 투자자들에게 고통을 주는 구조적 문제들이 드러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습니다. '돈 놓고 돈 먹기식'이라는 표현이 적절하게 나타내듯, 많은 이들이 시장의 비정상적인 상태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 5-9. 영업이익 감소에 대한 우려

  • 최근 보고서에서 영업이익이 급감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여러 투자자들은 이러한 경향이 지속된다면 향후 수익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 5-10. 주식시장의 불확실성 속 자동 매도

  • 지속적인 하락세 속에서 여러 투자자들이 손절 매도를 고려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 속에서 매도로 인한 추가 하락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시장 불확실성에 따른 피로감을 나타냅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부진한 3Q24F 실적과 종목장세

  • 2024년 3분기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이 한국 기업들의 전반적인 실적에 경종을 울렸습니다. 한국 기업들의 2분기 운영이익 증가율이 +62%를 기록했으나 3분기에는 +28%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코스피 지수와 한국 기업들의 영업이익 증가율이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반도체와 전기제품 관련 기업들의 실적 미스가 우려되는 가운데, 3분기에 대한 시장의 실적 기대감은 다소 낮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도 손해보험, 해운, 음식료 및 유틸리티 업종은 기대할 만한 실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1분기에 반등이 예상되는 LG화학 및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6-2. 낮아지는 실적 기대에도 금융은 양호

  • 글로벌 신흥국에서 전반적인 하향 흐름 속에서도 한국 금융주들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적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은행 및 증권업체들이 선진국 기업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반면, IT 업종은 계속해서 부진한 성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어닝 쇼크 이후 IT 섹터의 실적 전망이 하향 조정되면서 전체적인 우려감이 조성되었습니다.

  • 그룹별로 보면, 손해보험과 해운업체들은 여전히 긍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의 시장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 6-3. 블랙웰이 좋으면 HBM도 좋다

  • 최근 블랙웰 GPU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HBM 칩에 대한 수요도 동시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TSMC와 같은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실적을 가이던스를 초과 달성하는 등, 반도체 업계 전반의 수요 강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HBM으로의 생산 캐파 이동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보이며, 일반 DRAM의 생산 빗그로스가 2025년에는 10~11%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일반 DRAM의 가격 하락이 세트 재고 조정과 무관하게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며, 이는 HBM 수요가 지속적으로 유망하다는 신호를 의미합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재무상태표 분석

  • 2024년 6월 기준으로 원익머트리얼즈의 유동자산은 147,737,174,040원으로, 2023년 12월 31일 기준 유동자산 133,049,048,177원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도 중 유동성 증가와 원자재 재고율 및 매출 성장에 따른 효과로 판단됩니다.

  • 비유동자산은 381,151,259,697원으로, 2023년 대비 15,969,087,750원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설비 투자 증가 및 기술 자산의 가치 향상으로 인해 나타났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 2024년 6월 말 자산총계는 528,888,433,737원으로, 2023년 12월 31일의 498,231,220,124원 대비 상승했습니다. 이는 자산의 전반적인 성장세를 시사하며,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부채총계는 57,648,963,179원으로, 2023년 12월 31일의 49,969,021,497원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자산 대비 안정적인 비율을 유지하고 있어 재무 건전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자본총계는 471,239,470,558원으로, 이전 결산 대비 22,977,271,931원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자본 비율이 높아져 회사의 안정성을 강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항목2024년 6월 30일 (원)2023년 12월 31일 (원)변화액 (원)
유동자산147,737,174,040133,049,048,17714,688,125,863
비유동자산381,151,259,697365,182,171,94715,969,087,750
자산총계528,888,433,737498,231,220,12430,657,213,613
유동부채54,899,841,50747,541,951,8677,357,889,640
비유동부채2,749,121,6722,427,069,630322,052,042
부채총계57,648,963,17949,969,021,4977,679,941,682
자본총계471,239,470,558448,262,198,62722,977,271,931
  • null

  • 7-2. 손익계산서 분석

  • 2024년 상반기(1월 1일 ~ 6월 30일) 동안 원익머트리얼즈의 매출액은 76,483,498,976원으로, 2023년 상반기 매출액 91,175,438,973원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시장 변동성 및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영업이익은 15,945,258,898원으로, 이전 연도의 5,001,975,830원 대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원가 절감 및 효율적인 운영이 결실을 맺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은 17,407,986,928원으로, 2023년의 3,563,522,713원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습니다. 여기에 따라 당기순이익 또한 13,901,729,685원으로 증가하며 기업의 안정적 수익 창출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전반적으로 손익계산서를 통해 원익머트리얼즈가 수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항목2024년 상반기 (원)2023년 상반기 (원)변화액 (원)
매출액76,483,498,97691,175,438,973-14,691,939,997
영업이익15,945,258,8985,001,975,83010,943,283,068
법인세차감전 순이익17,407,986,9283,563,522,71313,844,464,215
당기순이익13,901,729,6854,443,611,9799,458,117,706
  • null

8. 결론

  • 원익머트리얼즈는 현재 어닝 쇼크에 직면해 있지만, 여전히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증가하고 유동자산 또한 확대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시장 전반의 부진 속에서도 이 회사를 주목해야 하며, 기술 발전과 수소 산업에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원익머트리얼즈의 주식은 매수 시점으로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투자 결정은 개인의 판단에 따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9. 용어집

  • 9-1. 원익머트리얼즈 [회사명]

  • 원익머트리얼즈는 반도체 및 이차전지 산업에 필요한 소재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최근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영업이익이 120억2500만원을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196.8%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전체 반도체 산업의 경기침체로 인해 업계 전반적인 하락세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주가 변동성에 민감한 상황입니다.

  • 9-2. 어닝 쇼크 [전문용어]

  • 어닝 쇼크는 기업이 발표한 실적이 시장의 예상보다 크게 밑돈 경우를 의미하며, 최근 원익머트리얼즈를 포함한 많은 상장사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장의 신뢰가 악화되고 있고, 주가 하락을 초래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9-3. 반도체 [전문용어]

  • 반도체 업종은 전자제품의 핵심 구성 요소로, 전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산업입니다. 원익머트리얼즈는 이 분야에서 중요한 소재 공급자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 반도체 수요 감소와 관련된 경기 침체에 직면하여 실적 하락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9-4. 이차전지 [전문용어]

  • 이차전지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전기차 및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원익머트리얼즈는 이차전지 관련 소재를 공급하며, 이 분야의 시장 성장에 따라 수익성 확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계의 전반적인 부진은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9-5. PER [전문용어]

  • PER(Price Earnings Ratio)은 주식의 가격을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 가치 평가에 활용됩니다. 투자자들은 현재 원익머트리얼즈의 PER 수치가 지나치게 낮다고 지적하며, 저평가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9-6. PBR [전문용어]

  • PBR(Price Book Ratio)은 주가를 주당 장부가치로 나눈 비율로, 자산 가치 평가에 사용됩니다. 원익머트리얼즈의 PBR이 0.58배 수준이라는 점에서 시장에서 저평가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9-7. 삼성전자 [회사명]

  • 삼성전자는 세계적인 전자기기 제조사로, 원익머트리얼즈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실적 하락은 원익머트리얼즈의 매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반도체 관련 수익이 감소함에 따라 원익머트리얼즈의 주가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 9-8. 수소용품검사 인증센터 [기술명]

  • 수소용품검사 인증센터는 수소 관련 제품의 성능 평가 및 법정 검사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원익머트리얼즈가 이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수소 산업에 대한 투자 및 연구 개발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회사의 성장 잠재력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 9-9. 상장사 [전문용어]

  • 상장사는 주식이 공개적으로 거래되는 기업을 의미하며, 원익머트리얼즈 또한 한국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상장사의 실적 부진은 원익머트리얼즈의 투자자들에게도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