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CU와 GS25: 매출 경쟁 심화

일반 리포트 2024년 11월 13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편의점 업계 매출 현황
  3. 영업이익 현황 분석
  4. 시장 경쟁 분석
  5. 결론

1. 요약

  • 2023년 2분기, CU와 GS25는 한국 편의점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매출에서는 여전히 GS25가 2조1938억원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습니다. CU는 2조1743억원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하며 격차를 좁혔고, 영업이익 부문에서는 649억원을 기록한 GS25보다 694억원으로 앞서고 있습니다. 이는 CU의 매장 수 우위와 생레몬 하이볼 같은 인기 제품의 기여 때문입니다. GS25는 신규 점포 확대와 O4O 전략을 통해 성장을 이어가고자 하며, 상반기 두 회사 간의 매출 차이는 역대 최소인 379억원으로, 앞으로도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편의점 업계 매출 현황

  • 2-1. GS25와 CU의 2분기 매출 비교

  • 2023년 2분기 편의점 업계에서 GS25의 매출은 2조19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했습니다. 반면, CU(운영하는 BGF리테일)는 2조1743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4% 증가했습니다. 두 회사 간의 영업이익은 GS25가 649억원으로 0.5% 감소하였고, CU는 694억원으로 2.8% 감소했습니다. 전반적으로 매출에서는 GS25가 앞서고 있지만, CU는 영업이익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매출 격차는 2023년 상반기에 379억원으로, 역대 최소 격차를 나타냈습니다.

  • 2-2. 상반기 매출 추세

  • 2023년 상반기 GS25와 CU의 매출은 각각 4조1621억원과 4조1242억원으로, 그 차이는 379억원입니다. 이는 최근 5년 사이에서 가장 작은 차이입니다. GS25의 매출은 2021년에 7조2113억원, 2022년에 7조7800억원, 2023년에 8조2457억원으로 점차 증가해왔습니다. CU의 매출도 2021년에 6조7621억원에서 2022년 7조5778억원, 2023년 8조1317억원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3. 영업이익 현황 분석

  • 3-1. CU와 GS25의 영업이익 비교

  • 2023년 2분기 기준으로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의 영업이익은 694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감소하였습니다. 반면, GS리테일이 운영하는 GS25의 영업이익은 649억원으로, 0.3%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는 두 회사 간 영업이익에서 CU가 GS25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1분기 영업이익 차이는 72억원에서 2분기에는 45억원으로 다소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상반기 기준으로 보면, 두 회사의 영업익 차이는 117억원입니다.

  • 3-2. 영업이익 추세 및 원인 분석

  • CU와 GS25 모두 2023년 2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CU의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 중 하나는 운영비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GS25의 경우에도 비슷한 이유로 영업이익이 감소하였습니다. 2분기 기준, CU의 매출액은 2조17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하였고, GS25는 2조1938억원으로 4.9% 증가하였습니다. 따라서 매출은 GS25가 앞섰지만, 영업이익에서는 CU가 우위를 차지하는 상황입니다. 전체적으로, 최근 5년 사이 CU는 GS25와의 매출 경쟁에서 밀려 있었으나, 올해부터 매출 격차를 크게 줄여 바짝 추격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4. 시장 경쟁 분석

  • 4-1. CU의 매출 증가 요인

  • CU는 2023년 2분기 매출이 2조17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하였습니다. CU는 인기 제품인 생레몬 하이볼을 통해 주류 매출이 증가하였으며, 대형 식품사, 제약사, 게임사와의 다양한 협업을 지속하며 매출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CU의 영업이익은 69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8% 감소하였지만, GS25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매장 수에서 CU는 1만7762개로 GS25의 1만7390개를 초과하여, 매출 1위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4-2. GS25의 성장 전략

  • GS25는 2023년 2분기 매출이 2조1938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4.9% 증가하였습니다. GS25는 신규 점포를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기존 매장의 매출 증대에 집중하여 외형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은 6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CU에 비해 매출 면에서는 우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GS25는 차별화된 상품과 서비스 개발, O4O(Online for Offline) 시너지 창출을 통한 매출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4-3. 향후 경쟁 전망

  • 2023년 상반기 양사의 매출 차이는 379억원으로, 역대 최소 격차를 기록하였습니다. 업계에서는 CU가 점포 수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만큼, GS25의 매출 1위 자리가 위태롭게 될 것이라는 의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CU는 하반기 동안 매출 최대 성수기를 맞아 차별화된 상품 경쟁력을 통해 고객을 확보할 계획이 있으며, GS25 역시 매출 활성화를 위해 전략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두 회사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며,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것입니다.

결론

  • CU와 GS25는 한국 편의점 시장에서 서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 매출과 영업이익의 격차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CU는 매출 격차를 줄이며 GS25를 추격하고 있으며, 매장 수와 인기 상품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반면, GS25는 여전히 매출 1위를 유지하며 차별화된 전략으로 소비자를 유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은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시장의 다변화를 촉진할 것입니다. 그러나 각 회사의 운영비 증가와 같은 한계 요소도 존재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일부 소비자 선호 변화나 외부적 시장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성장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용어집

  • CU [편의점]: CU는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으로, 매장 수와 영업이익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 간 매출 격차를 줄이며 GS25에 대한 추격을 강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상품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 GS25 [편의점]: GS25는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으로, 매출 면에서는 여전히 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신규 점포 확대와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