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AI 기반 감정관리 플랫폼 '답다'의 급성장과 통신사 전략 변화

저널리스트 노트 2024년 11월 07일
goover

목차

  1. 도입부
  2. LG유플러스의 AI 플랫폼 '답다', 실사용자 증가와 교감 중심 전략으로 회원수 두 배 증가

1. 도입부

  • 이번 기사는 LG유플러스가 제공하는 AI 기반 감정관리 플랫폼 '답다'의 사용자 증가와 이에 따른 서비스 개선 전략을 다루고 있다. 제공된 여러 문서를 바탕으로 LG유플러스와 주요 통신사들의 AI 관련 전략을 통합적으로 분석했다.

2. LG유플러스의 AI 플랫폼 '답다', 실사용자 증가와 교감 중심 전략으로 회원수 두 배 증가

  • LG유플러스는 AI 기반의 '답다(답장 받는 다이어리)' 플랫폼이 연초 대비 가입자가 두 배 이상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답다'는 사용자가 감정을 일기에 작성하면 AI가 이를 분석해 답장을 보내 주는 서비스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110여 개의 감정 중 하나를 선택해 일기를 작성하여 AI 친구 '마링이'로부터 공감이 담긴 답장을 받는다.

  • 이 서비스는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특히 AI를 통한 공감 능력이 '답다'의 성공 요인으로 판단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속적으로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질문일기'와 같은 신규 기능을 추가하고 있으며, 답다를 감정 분석을 넘어 인생 고민 해결의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 이와 관련해 LG유플러스는 디지털 전환과 AI 기술을 강화하는 다양한 전략을 추진 중이다. 다른 통신사들 역시 AI 기반의 서비스 다각화를 통해 비통신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며, KT는 AI 클라우드 사업 확장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서비스의 빠른 성장세와 연계되고 있으며, 각 통신사는 AI를 통해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용어집

  • 답다 [플랫폼]: '답다'는 LG유플러스가 제공하는 AI 기반 감정 관리 플랫폼이다. 사용자가 감정을 일기에 작성하면 AI가 이를 분석해 답장을 보내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기간 내에 가입자가 두 배로 증가한 이유는 AI를 통한 감정 공감 능력이 주요했다. 이는 '답다'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사용자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감성적 교감을 형성할 수 있는 독특한 방식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마링이 [AI 친구]: '마링이'는 '답다' 플랫폼에서 사용자와 소통하는 AI 친구이다. 감성을 분석하여 답장을 보내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일기와 선택한 감정에 따라 맞춤형 답변을 제공한다. 마링이의 답장은 사용자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AI 기술을 통한 감정 관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 LG유플러스 [회사]: LG유플러스는 대한민국의 주요 통신사로 AI 및 비통신 분야로 사업을 확대 중이다. '답다' 플랫폼을 통해 AI 기반 서비스의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B2B 및 데이터센터 사업으로의 확장을 추진 중이다. 회사는 AI 기술의 활용을 통해 고도화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