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PLC 인증 우회 대한 ICS 취약점 대응

일반 리포트 2024년 11월 01일
goover

목차

  1. 요약
  2. CWE-294: 캡처-재전송을 통한 인증 우회
  3. CVE-2024-3596: RADIUS 프로토콜 스푸핑
  4. OT 환경에서의 사이버 보안 중요성
  5. 결론

1. 요약

  • 본 리포트는 산업제어시스템(ICS) 내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에서 발견된 중요한 보안 취약점인 CWE-294와 CVE-2024-3596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합니다. 특히 CWE-294는 캡처-재전송 기법을 활용한 인증 우회 문제를 다루며, CVE-2024-3596은 RADIUS 프로토콜 스푸핑을 통한 네트워크 접근 조작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취약점은 OT 환경에서 사이버 보안 위협을 증가시키며, 신뢰할 수 있는 인증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부각시킵니다. 리포트는 각 취약점의 특성을 상세히 설명하고, 시퀀스 번호 및 타임 스탬프의 사용,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 도입 등 기술적 대응 방안을 제안합니다.

2. CWE-294: 캡처-재전송을 통한 인증 우회

  • 2-1. CWE-294 정의 및 설명

  • CWE-294는 공격자가 인증 메시지를 가로채어 이를 재전송함으로써 인증 시스템을 우회할 수 있게 하는 취약점입니다. 이 결함은 ISO 27001과 관련된 여러 보안 규정과 일치하지 않으며, 이를 악용하여 공격자는 보호된 시스템에 무단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 2-2. CWE-294의 위험성 및 공격 방식

  • CWE-294는 인증 메시지를 가로채고 이를 재전송하는 공격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로 인해 공격자는 시스템의 보안 통제를 우회하여 무단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즉, 공격자는 적법한 사용자가 인증한 것처럼 가장하여 시스템에 들어갈 수 있으며, 이는 특히 OT 환경에서 심각한 사이버 보안 위험을 초래합니다.

  • 2-3. CWE-294 대응 방안

  • CWE-294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시퀀스 번호 또는 타임 스탬프의 구현과 암호화를 통한 메시지 서명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즉,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그 무결성을 보장하고, 시퀀스 번호나 타임 스탬프를 통해 중복 메시지 재전송을 방지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취약점으로 인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3. CVE-2024-3596: RADIUS 프로토콜 스푸핑

  • 3-1. CVE-2024-3596 정의 및 설명

  • CVE-2024-3596은 라디우스(RADIUS) 프로토콜 스푸핑 취약점으로, 이 취약점은 공격자가 라디우스 응답을 스푸핑하여 네트워크 접근 결정을 조작할 수 있게 합니다. 라디우스는 사용자의 인증, 권한 부여 및 계정 관리를 중앙집중적으로 처리하는 네트워크 보안 및 인증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 3-2. CVE-2024-3596의 위험성 및 공격 방식

  • CVE-2024-3596의 취약점은 MD5 기반 인증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공격자는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접속한 네트워크 장비가 라디우스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이를 가로채거나 변조하여 인증 정보를 조작함으로써 허가받지 않은 접근을 허용받는 등의 위험한 공격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3-3. CVE-2024-3596 대응 방안

  • CVE-2024-3596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라디우스 통신의 보안을 강화하고 공격자가 감지하지 못하도록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증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검증 절차 실시도 필요합니다.

4. OT 환경에서의 사이버 보안 중요성

  • 4-1. OT 환경의 사이버 보안 위협

  • OT 환경에서는 여러 사이버 보안 위협이 존재합니다. 최근 ICS(산업제어시스템)에서 두 가지 주요 취약점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들 취약점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에서 발생하였으며, 첫 번째는 ‘캡처-재전송을 통한 인증 우회’ 결함으로, CWE-294라는 관리번호로 식별됩니다. 두 번째는 ‘RADIUS 프로토콜 스푸핑’ 취약점으로, CVE-2024-3596이라는 관리번호가 부여되었습니다. 이 두 가지 취약점은 인증 시스템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합니다.

  • 4-2. 취약점 관리의 필요성

  • CWE-294 결함은 공격자가 인증 메시지를 가로채고 이를 재전송하여 보안 통제를 우회할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이 결함으로 인해 보호된 시스템에 무단 접근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CWE-294의 대응 방안으로는 시퀀스 번호 또는 타임 스탬프의 구현과 암호화를 사용한 메시지 서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모드버스(Modbus) 컨트롤러에 대한 공격이 실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CVE-2024-3596 취약점은 공격자가 RADIUS 응답을 스푸핑할 수 있는 취약점으로, MD5 기반 인증의 취약점을 악용합니다.

  • 4-3. 사이버 보안을 위한 선제적 대응

  • OT 환경에서의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됩니다. 센스톤은 두 가지 취약점에 대해 OT 환경에서의 사이버 보안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취약점 관리를 통해 사이버 보안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됩니다.

결론

  • 이 리포트는 ICS 환경 내 두 가지 PLC 인증 우회 취약점인 CWE-294 및 CVE-2024-3596을 심층 분석합니다. CWE-294는 캡처-재전송 공격을 통해 인증 시스템을 우회하여 인증이 필요한 시스템에 무단 접근할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따라서 시퀀스 번호와 타임 스탬프 구현, 메시지 암호화를 포함한 대응 방안이 필요합니다. CVE-2024-3596의 경우, RADIUS 프로토콜을 스푸핑하여 네트워크 접근 결정을 조작할 수 있는 취약점을 특징으로 하며, MD5 기반 인증의 약점을 악용합니다. 이러한 취약점들은 ICS 및 OT 환경의 보안에 심각한 위협을 제기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취약점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미래에는 더 강력한 암호화 방법과 신뢰할 수 있는 인증 프로토콜을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이러한 방안들은 안전한 산업 자동화 및 네트워크 보안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용어집

  • 산업제어시스템(ICS) [기술]: 산업제어시스템(ICS)은 공장과 같은 산업 환경에서 프로세스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 사이버 보안 취약점에 노출될 경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ICS는 다양한 운영 기술(OT)을 포함하고 있어, 그 보안 강화는 필수적입니다.
  •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기술]: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는 산업 자동화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되는 디지털 컴퓨터로, 고도로 전문화된 제어 작업을 수행합니다. PLC의 보안 취약점은 시스템 제어의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보안 대책이 필요합니다.
  • RADIUS 프로토콜 [기술]: RADIUS는 원격 인증, 권한 부여 및 계정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보안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 프로토콜의 취약점은 네트워크 접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