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선익시스템, 주가 하락 속에서도 모멘텀과 성장 가능성 주목

위클리 투자 분석 보고서 2024년 11월 04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핵심 인사이트
  3. 시황 요약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5. 주식 토론방 리뷰
  6. 전문가들의 견해
  7. 재무 분석 및 해석
  8. 결론

1. 요약

  • 2024년 3분기 선익시스템은 매출 급증을 경험하였으나, 최근 외국인 및 기관의 매도세로 주가는 5.3% 하락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와의 대규모 계약 체결과 Micro OLED 디스플레이 관련 긍정적인 뉴스들이 있지만,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는 부정적입니다. 이와 같은 복합적인 요인 속에서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주가 전망을 분석합니다.

2. 핵심 인사이트

주가 하락
  • 선익시스템의 주가는 최근 외국인 및 기관의 순매도로 10월 29일 고가 대비 5.3% 하락하며 불확실한 시장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계약 체결
  • 삼성디스플레이와의 128억 원 규모의 공급계약 체결이 이루어져 업계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매출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적 개선
  • 2024년 3분기 잠정실적에서 매출액이 지난 동기 대비 263.6% 증가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 이차전지 제조장비의 매출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재무 구조
  • 부채가 134.29% 증가하며 자본 총계는 감소하였고, 기업의 재무건전성에 부정적인 요소가 감지되며, 유동자산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3. 시황 요약

  • 3-1. 현재 주가 변동 현황

  • 2024년 11월 1일 기준으로 선익시스템의 주가는 42,200원이었으며, 최근 1주일 동안의 주가 변동은 극심했습니다. 10월 30일 44,050원에서 시작하여 이후 10월 31일 43,200원으로 하락하였고, 11월 1일에는 42,200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로 인해 최근 주가는 한 주일 전인 10월 29일의 고가 44,450원에서 5.3% 하락하였습니다. 지난 일주일 동안 주가는 52주 최고가인 75,500원과 비교해 상당히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날짜종가(원)변동(원)변동율(%)
2024-10-3044,050+1,550+3.65%
2024-10-3143,200-850-1.93%
2024-11-0142,200-1,000-2.31%
  • null

  • 3-2. 주가 변동 요인 분석

  • 선익시스템의 주가는 최근 외국인 및 기관의 매도세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0월 30일부터 11월 1일 사이의 외국인 순매도는 7,955주에 달하며, 기관의 순매도도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주가는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또한 전체적인 업계 동향과 매크로 경제 환경이 부정적이었던 점도 추가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3-3. 시장 분위기 및 전망

  • 현재 선익시스템의 주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으며, 시장 분위기가 부정적입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향후 주가는 더욱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 지속이 우려스러우며, 이는 앞으로도 주가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스닥 전반의 경기가 회복될 경우, 선익시스템의 주가도 긍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4. 뉴스 및 업계 동향 파악

  • 4-1. 선익시스템, 삼성디스플레이와 128억 규모 공급계약

  • 선익시스템은 삼성디스플레이와 128억원 규모의 OLED 디스플레이 연구용 증착 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계약은 최근 선익시스템의 매출액 대비 20.55%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계약 기간은 2024년 10월 30일부터 2025년 5월 31일까지입니다. 이는 공시를 통해 발표되었으며, 선익시스템에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는 호재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디스플레이 업계에서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입증한 사례로, 향후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2. 첨단 산업 공급망 위기 극복을 위한 글로벌 소부장 테크페어

  • 오는 11월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소재·부품·장비 테크페어 2024'에서는 첨단 산업의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위기 극복 방안이 논의될 예정입니다. 선익시스템은 이번 행사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증착 장비 기술을 소개하고, 국내 최초 OLED 증착기를 상용화한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 행사에서는 또한 글로벌 공급망 현황을 진단하고, 국내 주요 산업 생태계의 생존 전략이 모색될 것입니다. 이러한 행사는 선익시스템과 같은 기업에게 기술 개발 동향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4-3. 선익시스템, Micro OLED 디스플레이 양산용 증착장비 공급계약

  • 선익시스템은 Micro OLED 디스플레이 양산용 증착장비에 대한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이는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호재로 여겨집니다. 계약의 구체적인 내용은 상대방의 영업비밀 보호 요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지만, 선익시스템의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에 대한 신뢰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이와 같은 기술적 성과는 선익시스템이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위치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5. 주식 토론방 리뷰

  • 5-1. 주가 변동에 대한 의견

  • 최근 선익시스템의 주가가 변동성을 보이며 다수의 투자자들 사이에서 우려와 기대가 공존하고 있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은 예상 외의 주가 하락에 대해 실망감을 드러내며, 주식 토론방에서 '손절이 답', '진득하게 기다려야 한다'는 의견이 활발하게 오가고 있습니다. 일부 댓글에서는 '최소 20%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내기도 했으나, 투심이 악화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 5-2. 대주주의 증여 관련 우려

  • 대주주가 증여를 위해 매도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의혹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주주가 주식 매각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고 언급되며, 이러한 상황에서 누가 주식을 팔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대주주가 보유 지분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습니다.

  • 5-3. 손절 및 매수 전략에 대한 논의

  •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손절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이런 종목은 얼른 손절하는 것이 맞다'라는 의견과 함께, 다른 투자자들은 '쉬운 종목은 아니므로 성투하라'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이러한 의견들은 각각의 투자 전략에 따라 나뉘어지며, 특정 구간에서의 매수와 손절 타이밍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 5-4. 삼성디스플레이 수주와 선익시스템의 관계

  • 삼성디스플레이와 선익시스템 간의 수주 관계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부 투자자들은 삼성과의 계약이 대형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 보지만, 다른 의견에서는 삼성의 수주가 선익의 국내 시장 점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러 투자자들은 실제 수익으로 연결될지를 바로 확신하지 못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 5-5. 증착기 및 기술 경쟁력

  • 선익시스템의 증착기 기술력이 상당히 경쟁력 있다는 의견이 존재합니다. 한 사용자는 '선익시스템이 캐논토키에 비해 기술적 우수성을 보여줄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중국업체들과의 기술 경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며 앞으로의 수주 진행 상황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5-6. 주가 조작 우려와 내부 거래

  •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 선익시스템 관련 주가 조작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공시 발표 전후의 주가 변동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미리 알고 매매하는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는 주장을 하는 사용자들이 많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감독원에 대한 신고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 5-7. 향후 수주 전망

  • 앞으로의 수주 전망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전옥스 향 추가 수주 임박', '삼성디스플레이의 협력으로 호재가 이어질 것'이라는 긍정적인 시각이 있는가 하면, 수익의 실제화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의견도 존재합니다. 향후 사업 전략과 시장 환경에 따라 선익시스템의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6. 전문가들의 견해

  • 6-1. 3Q24 실적 리뷰 및 전망

  • 2024년 3분기 선익시스템의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액은 973억원, 영업이익은 8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63.6% 증가하면서 흑자 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이차전지 제조장비의 매출 급증이 주요 요인으로, 약 800억원에 달하는 매출이 기존 수주 프로젝트의 실행으로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매출 성장은 전반적인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및 3D 프린터의 큰 폭 감소에도 불구하고 이차전지 부문에서의 기록적인 성장을 보여줍니다.

  • 6-2. 시가총액 및 PER 비교

  • 선익시스템의 현재 주가는 14,700원이며, 2024년 실적 기준 PER는 10.2배로 측정되었습니다. 이는 국내 유사 업체들의 평균 PER인 22.8배에 비해 상당히 저렴한 수준으로, 이러한 가격 대비 성장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제공합니다. 시가총액이 219억원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적정 여행과 비교할 때 낮은 PER은 선익시스템의 주가가 시장에서 과소 평가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6-3. 4Q24 실적 예측

  • 2024년 4분기에는 매출액이 1,087억원, 영업이익은 134억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5.3% 및 7.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4분기에는 BOE향 증착공정 물류장비의 매출 발생이 예상되며,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의 투자에 대한 공급자 선정을 기대하고 있어 동사의 장비 판매도 긍정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7. 재무 분석 및 해석

  • 7-1. 자산 총계 분석

  • 2024년 6월 30일 기준으로 유동자산은 173,091,130,005 (KRW)이며, 이는 2023년 12월 31일 기준 95,127,697,180 (KRW)에서 76.93% 증가한 수치입니다. 비유동자산 또한 43,224,954,106 (KRW)로 9.3%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증가는 자산 총계가 216,316,084,111 (KRW)로, 2023년 12월 31일 기준 134,777,562,565 (KRW)에서 60.37% 증가함을 나타내며,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구분2024년 6월 30일 (KRW)2023년 12월 31일 (KRW)변동률 (%)
유동자산173,091,130,00595,127,697,18076.93
비유동자산43,224,954,10639,649,865,3859.3
자산총계216,316,084,111134,777,562,56560.37
  • null

  • 7-2. 부채 및 자본 구조

  • 부채총계는 150,181,891,342 (KRW)로, 2023년 12월 31일 기준 63,904,609,148 (KRW)에서 134.29% 증가했습니다. 유동부채는 125,316,495,068 (KRW)로, 비유동부채는 24,865,396,274 (KRW)로 나타났습니다. 자본총계는 66,134,192,769 (KRW)로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는 2023년 12월 31일 기준 70,872,953,417 (KRW)에서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업의 재무건전성에 있어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구분2024년 6월 30일 (KRW)2023년 12월 31일 (KRW)변동률 (%)
부채총계150,181,891,34263,904,609,148134.29
유동부채125,316,495,06859,972,055,600108.16
비유동부채24,865,396,2743,932,553,548532.65
자본총계66,134,192,76970,872,953,417-6.66
  • null

  • 7-3. 수익성 분석

  • 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42,593,689,227 (KRW)이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42.65% 증가한 수치입니다. 영업이익은 7,438,877,651 (KRW)로, 이전 년도 손실에서 큰 개선을 보이며 기업의 실적 개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은 105,686,509 (KRW)로 여전히 순이익 측면에서는 저조한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구분2024년 6월 (KRW)2023년 6월 (KRW)변동률 (%)
매출액42,593,689,2275,050,325,377742.65
영업이익7,438,877,651-5,030,572,233관계없음
당기순이익105,686,509-7,469,973,459관계없음
  • null

8. 결론

  • 현재 선익시스템의 주가는 저평가된 상태로 보이며, 성장성 측면에서 매우 매력적인 투자 기회입니다. 부정적인 시장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향후 계약 체결과 실적 개선이 이어질 경우 주가는 반등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가벼운 손절보다는 타이밍을 조절하면서 적극적인 매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책임을 묻지 않으나, 이러한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됩니다!

9. 용어집

  • 9-1. 선익시스템 [회사명]

  • 선익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제조에 특화된 기업으로, OLED 및 Micro OLED 증착 장비의 공급을 통해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전반적인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삼성디스플레이와의 공급계약 체결 등으로 인해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 9-2. OLED [기술명]

  •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디스플레이 기술로, 선익시스템이 주력으로 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OLED 기술은 높은 화질과 얇은 디자인으로 소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장비의 공급을 통해 선익시스템의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9-3. Micro OLED [기술명]

  • Micro OLED는 OLED의 미세화 기술로, 주로 웨어러블 기기 및 증강 현실(AR) 디스플레이에 사용됩니다. 선익시스템의 Micro OLED 증착 장비는 이러한 신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 9-4. 삼성디스플레이 [회사명]

  • 삼성디스플레이는 선익시스템의 주요 고객사 중 하나로, OLED 관련 기술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선익시스템과의 공급계약은 선익시스템의 매출 확대와 시장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9-5. 이차전지 [기술명]

  • 이차전지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선익시스템은 이차전지 제조 장비의 매출이 급증하며 실적을 크게 개선하였습니다. 이 분야의 성장은 선익시스템의 재무 성과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 9-6. PER [전문용어]

  • PER(주가수익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상대적인 가치 평가에 사용됩니다. 선익시스템의 PER이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은 시장에서의 과소 평가를 시사하며,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매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