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김치 글로벌 확산: 종가와 비비고의 승부

일일 보고서 2024년 10월 08일
goover

목차

  1. 요약
  2. 김치 시장의 글로벌 성장
  3. 대상 '종가'의 비전과 전략
  4. CJ제일제당 '비비고'의 공격적 시장 확장
  5. 국내 김치 시장의 현재 상황
  6.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는 김치의 글로벌 시장 확장을 다루며, 두 주요 브랜드인 대상의 '종가'와 CJ제일제당의 '비비고'의 전략 및 성과를 분석합니다. 김치는 K-푸드 열풍과 함께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두 브랜드는 각자의 독특한 현지화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늘리고 있습니다. '종가'는 현지 소비자 취향에 맞춘 혁신적인 제품 개발과 현지화 노력을 통해 영향력을 넓히고 있으며, '비비고'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현지 생산을 강화하여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김치의 세계적 인지도를 보다 넓히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2. 김치 시장의 글로벌 성장

  • 2-1. 세계 김치 수출 증가

  • 김치의 세계적인 인기는 K-푸드 열풍과 함께 상승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김치 수출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4.8% 증가하여 총 2만3900톤에 달했습니다. 이는 최근 10년 동안 김치 수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온 것을 반영합니다. 2015년 상반기 김치 수출량이 1만1500톤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 2-2. 주요 수출 시장: 미국과 유럽

  • 김치 수출의 증가와 함께 주요 수출 시장인 미국과 유럽에서의 소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의 \'비비고\'는 북미와 호주에서 현지 생산 김치를 선보이며, 지난해 북미 시장에서 40%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대상의 \'종가\'는 서구권 맞춤 김치를 생산하며, 미국 및 유럽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 대상 '종가'의 비전과 전략

  • 3-1. 미국 시장에서 종가의 성장

  • 대상 '종가'는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지며,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3%포인트(p) 상승하여 32%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처음으로 일본의 매출 비중을 초과한 것으로, 작년 일본의 매출 비중은 30%였습니다. 2019년에는 미국으로의 김치 수출액이 일본의 30% 수준에 머물렀으나, 2022년에는 80%까지 증가하며 '종가'의 시장 지배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코로나19와 K-콘텐츠의 인기로 2020년에는 미국 매출 비중이 29%로 전년 대비 거의 두 배로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성장 추세 덕분에 '종가'는 지난해 비율적으로 50%를 넘어 53%의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였습니다.

  • 3-2. 종가의 현지화 노력과 혁신 제품

  • 대상 '종가'는 김치의 현지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들이 매운맛에 적응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맵지 않은 '마일드 김치'를 출시하고, 비건 소비자를 위해 젓갈을 제외한 김치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김치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양배추, 케일, 당근, 비트 등을 활용한 김치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혁신적인 접근은 김치의 세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상은 지속적으로 시장 선도주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4. CJ제일제당 '비비고'의 공격적 시장 확장

  • 4-1. 비비고의 해외 시장 전략

  • CJ제일제당의 '비비고'는 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지난 해 북미 시장에서 40%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비비고'는 50개국 이상에 김치를 수출하며,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약 20% 증가했습니다. 특히,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김치 업체 '코스모스 푸드'를 인수하여 현지 생산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비비고'는 100%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비건 김치를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 4-2. 현지화와 제품 다양화 전략

  • 비비고는 베트남에서 고수김치, 덜 매운 김치 등의 현지화 전략을 통해 소비자 선호에 맞는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김치의 다양한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젓갈이 들어가지 않은 비건 버전의 김치와 마일드 김치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지화와 제품 다양화 전략은 비비고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반면, 대상의 '종가'도 현지화를 강화하고 있어 미국과 유럽에서 맞춤형 김치를 생산하고 있으며, 폴란드에 대규모 김치 공장을 증설하고 있습니다.

5. 국내 김치 시장의 현재 상황

  • 5-1. 종가와 비비고의 국내 시장 점유율

  • 2023년 기준으로, 종가김치는 31.76%의 국내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비고는 35.54%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의 데이터를 보면, 2021년에 종가김치는 41.67%였으나, 2023년에는 31.76%로 감소하였습니다. 비비고는 2021년에 37.53%, 2022년에 36.09%, 2023년에는 35.54%로 꾸준히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두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80%에 육박하며,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 5-2. 국내 및 해외 시장 비교 분석

  • 비비고는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비비고의 지난해 해외 매출은 전년 대비 약 20% 성장하였고, 미국 시장에서는 44%, 일본 시장에서는 31%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비비고는 LA에 있는 현지 김치업체 ‘코스모스 푸드’를 인수하여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종가김치 지향점은 전통성과 품질을 강조하며, 유럽 시장에서도 현지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대상은 미국 식품업체 럭키푸즈를 인수하고, 폴란드에서 대규모 김치 공장을 증설하여 현지 소비자 입맛에 맞춘 제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6. 결론

  • 김치의 글로벌 시장 성장에는 대상의 '종가'와 CJ제일제당의 '비비고' 두 브랜드의 역할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종가'는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맞춤형 제품과 혁신을 통해 입지를 강화하며, 특히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비건 및 마일드 김치 개발로 그 가능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비비고'는 현지 시장에 맞춘 다양한 전략과 현지 생산 기반 확장을 통해 시장 침투에 성공하였으며, 특히 북미와 일본 시장에서의 눈에 띄는 성장률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김치의 글로벌 시장 확대 가능성을 시사하며, 지속적인 시장 모니터링과 새로운 트렌드 대응을 통해 두 브랜드의 계획과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 김치의 세계적 인지도는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각국에서 한국 전통 음식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기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7. 용어집

  • 7-1. 종가 [브랜드]

  • 대상 주식회사의 김치 브랜드로, 글로벌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의 현지화와 다양한 혁신 제품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 7-2. 비비고 [브랜드]

  • CJ제일제당의 글로벌 브랜드로, 김치를 포함한 다양한 한국 음식 제품으로 해외 시장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현대적인 이미지와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통해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 7-3. 대상 [기업]

  • 종가 브랜드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김치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 7-4. CJ제일제당 [기업]

  • 대한민국의 대형 식품 기업으로, 비비고 브랜드를 통해 김치를 비롯한 다양한 K-푸드를 세계에 소개하고 있다.

8.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