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리포트는 호남대학교 글로벌한국어교육학과의 2024학년도 2학기 개강 총회와 국제문화축제, 홈스테이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어와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개강 총회에서는 교수진과 신편입생 소개, 학사 일정 안내가 이루어졌으며, 국제문화축제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였다. 또한, 홈스테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한국 가정에서 생활을 직접 체험하며 생생한 한국어 학습 기회를 얻게 되었다. 이러한 행사를 통해 학생들은 한국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다문화 사회에 대한 안목을 키울 수 있었다.
호남대학교 글로벌한국어교육학과는 2024학년도 2학기 개강 총회를 10일에 진행하였으며, 이 총회에는 전체 교수진, 신편입생, 재학생이 참석하였습니다.
총회에서는 교수 및 학생회 소개가 이루어졌으며, 졸업 요건과 주요 학사 일정에 대한 안내가 있었습니다. 또한, 신편입생과 재학생이 서로 인사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총회에서 신편입생과 재학생 간의 인사 시간이 마련되어 서로의 소통을 촉진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니다.
학과의 학생 대표들은 한국어, 중국어, 베트남어로 신입생을 위한 상담을 진행하였고, 이번 학기에 진행될 학과 행사와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를 통해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하였습니다.
호남대학교 국제교육원(원장 박주경)은 2024년 11월 3일 오후 3시부터 광산캠퍼스 국제회의실에서 국제문화축제(International Culture Fair)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축제는 글로벌 시대에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는 안목을 높여주기 위해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200여명의 학생과 교수들이 참석하였으며, 현직 영미권 외국인 교원 및 키르기스스탄, 싱가포르, 베트남 등지에서 유학 온 교환학생들이 함께하였습니다.
행사는 각국의 고유문화와 전통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호남대학교 중국교류본부는 2024년 11월 11일부터 12일까지 1박 2일간 외국인 유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홈스테이 행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참여한 유학생은 중국 32명, 베트남 2명, 대만 2명, 키르키즈스탄 4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행사는 대학 교직원 및 재학생 가정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 홈스테이 프로그램은 매년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되며, 호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유학생들이 기숙사가 아닌 일반 가정에서 숙식을 하며 한국의 가정 생활을 직접 체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외국인 학생들은 짧은 기간 동안 한국의 풍습과 생활습관을 익히고, 살아있는 한국어를 접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본 행사를 통해 유학생들은 전주 한옥마을을 방문하여 한복을 입어보는 등 한국의 전통 생활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한국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홈스테이 가정은 다른 나라의 환경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유학생들은 생활한국어를 학습하고 한국 문화를 폭넓게 이해하여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화신사이버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한 지식 습득과 교육방법의 학습 및 실습을 통한 '한국어 교육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한국문학과 한국문화에 대한 이론과 교육방법론의 학습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세계에 보급할 전문 인력을 배출하는 것을 지향합니다.
한국어교원이 되고자 하는 자가 국어기본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소정의 요건을 갖춘 경우, 국가가 부여하는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교육과정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다양한 과목이 있으며, 각 학기별로 필수 과목들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화신사이버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는 다문화교육, 다문화가족 및 이주민 상담, 이민행정 분야 등에서 활동하는 법무부 공인의 교육 전문가를 양성합니다. 이 과정에는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5단계인 '한국 사회의 이해'를 가르치는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커리큘럼이 포함됩니다.
호남대학교의 다양한 행사는 학생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회였다. 특히, 국제문화축제와 홈스테이 프로그램은 다문화 사회의 이해를 돕고, 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다. 이와 같은 행사는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문화적 소양 함양에 기여하며, 앞으로도 대학의 교육 방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화신사이버대학교의 한국어교육학과도 유사한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 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한국어 교육 전문가의 양성과 사회통합을 지향한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의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발전과 교육 기관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