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오픈AI 서치GPT 차단: 갈등의 서막

일반 리포트 2024년 10월 29일
goover

목차

  1. 요약
  2. 오픈AI의 서치GPT와 차단 조치
  3. 퍼블리셔의 트래픽과 저작권 문제
  4. 결론

1. 요약

  • 본 리포트는 오픈AI의 AI 기반 검색엔진인 서치GPT가 뉴욕타임스(NYT)를 비롯한 여러 뉴스 사이트로부터 접근이 차단된 상황을 심도 있게 다룹니다. 서치GPT는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요약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퍼블리셔들은 이 검색엔진이 자사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수집해 웹사이트로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로 접근을 차단하였습니다. 특히 NYT는 오픈AI와 저작권 소송을 진행 중이며, 이는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기존의 저작권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오픈AI의 행보는 퍼블리셔들과 AI 기업 간의 복잡한 관계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2. 오픈AI의 서치GPT와 차단 조치

  • 2-1. 오픈AI 서치GPT 소개

  • 오픈AI의 서치GPT는 사용자 질문에 대한 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보여주는 AI 기반 검색엔진입니다. 이 검색엔진은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인용하고 요약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픈AI는 이 제품의 테스트를 소규모 그룹과 퍼블리셔들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검색 봇(OAI-서치봇)은 정보를 색인화하는 웹 크롤러 역할을 수행합니다.

  • 2-2. 차단된 뉴스 사이트 목록

  • 회차단된 뉴스 사이트 목록에는 뉴욕타임스(NYT) 외에도 와이어드, 더 뉴요커, 보그, 베니티 페어, GQ 등 총 14개 뉴스 사이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사이트는 오픈AI의 OAI-서치봇을 차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2-3. 차단의 배경과 이유

  • 퍼블리셔들은 오픈AI가 자사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우려로 인해 서치GPT의 접근을 차단하였습니다. 이는 AI 기반 검색엔진이 퍼블리셔의 콘텐츠를 요약하여 제공함으로써 트래픽을 줄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입니다. 또한, 오픈AI는 수년간 허가 없이 온라인 데이터를 수집해 온 경험이 있어, 퍼블리셔들은 새로운 검색 봇이 콘텐츠를 몰래 수집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믿지 못하고 있습니다.

  • 2-4. 퍼블리셔들의 입장

  • 퍼블리셔들은 오픈AI의 서치GPT 서비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검색 결과가 원본 콘텐츠로 이어지지 않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AI 기반 검색이 사용자들을 붙잡는 데 주력함에 따라, 오히려 자사 웹사이트로의 트래픽이 감소할 수 있다는 논리를 세우고 있습니다. 특히 NYT는 오픈AI와의 저작권 소송을 진행 중이며, 이는 AI 기술 발전과 기존 저작권 문제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3. 퍼블리셔의 트래픽과 저작권 문제

  • 3-1. 퍼블리셔들의 트래픽 우려

  • 뉴욕타임스(NYT)를 포함한 10개 뉴스 사이트는 오픈AI의 웹 검색엔진 '서치GPT'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였습니다. 이들은 AI 기반 검색엔진이 퍼블리셔의 콘텐츠를 수집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따라, 특정 퍼블리셔의 웹사이트 트래픽이 감소할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반 검색엔진이 제공하는 요약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방문이 원본 웹사이트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웹 검사도구 오리지널리티닷에이아이의 존 길럼 CEO는 주요 뉴스 출판사 중 구글의 검색 봇을 차단하는 퍼블리셔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 3-2. AI 기반 검색엔진의 영향

  • 오픈AI의 서치GPT는 사용자 질문에 대해 다양한 출처 정보를 인용하고 요약하여 제공하는 AI 기반 검색엔진입니다. 그러나 퍼블리셔들은 이 검색엔진이 허가 없이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는 우려로 차단 조치를 취하였습니다. 퍼블리셔들은 AI 학습을 위한 데이터 수집이 중단되기를 바라며, 웹 크롤러가 자사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수집하지 않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오픈AI는 이러한 우려에 대해 웹사이트 소유자들에게 검색 결과에 나타나도록 새로운 봇을 허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3-3. NYT의 저작권 소송 배경

  • 뉴욕타임스(NYT)는 오픈AI와 저작권 소송을 진행 중입니다. 이 소송에서는 검색엔진이 AI 기반 시스템으로 변모해가면서 퍼블리셔로부터 트래픽을 빼앗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퍼블리셔들은 오픈AI가 수년 간 콘텐츠를 무단으로 수집해왔다고 주장하며, 새로운 검색 봇이 그들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수집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믿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저작권 소송은 AI 기술의 발전과 기존 저작권 문제 간의 갈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론

  • 오픈AI의 서치GPT 접근 차단 사태는 퍼블리셔들이 콘텐츠 무단 수집에 의한 손해를 막기 위한 방어적인 조치로 이해됩니다. 뉴욕타임스를 포함하여 여러 퍼블리셔들이 서치GPT가 트래픽을 빼앗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이를 차단했으며, 이는 퍼블리셔의 수익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NYT의 오픈AI와의 저작권 소송은 AI 기술 발전과 기존 저작권 보호 체계 사이의 충돌을 극명하게 드러냅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욱 복잡한 법적, 경제적 논의를 필요로 하며, AI 기술과 퍼블리셔 간의 조화로운 발전 방향이 모색되어야 합니다. 이 사태는 향후 AI 검색 기술의 발전과 활용에 대한 토대가 될 수 있으며, 퍼블리셔들과 AI 기업이 상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새로운 협력 방안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합니다.

용어집

  • 오픈AI [회사]: 오픈AI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 및 연구하는 회사로, AI 기반 검색엔진인 서치GPT를 출시했습니다. 이 회사는 기존의 웹 데이터를 활용하여 AI 모델을 훈련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 퍼블리셔들과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서치GPT [제품]: 서치GPT는 오픈AI가 개발한 AI 기반 검색엔진으로, 사용자 질문에 대해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그러나 퍼블리셔들은 이 검색엔진이 자사의 콘텐츠를 무단으로 수집할 수 있다는 우려로 접근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 뉴욕타임스(NYT) [회사]: 뉴욕타임스는 미국의 주요 뉴스 출판사로, 오픈AI와 저작권 소송을 진행 중입니다. 이들은 서치GPT의 사용이 자사의 콘텐츠 수익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을 문제 삼고 있습니다.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