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국민연금, AI로 주식 포트폴리오 혁신

일일 보고서 2024년 10월 07일
goover

목차

  1. 요약
  2.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투자 현황
  3.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투자 현황
  4. 해외 주식 포트폴리오 변화의 요인
  5. 결론

1. 요약

  • 이번 리포트는 국민연금의 국내외 주식 투자 현황과 자산 배분 변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미국 주식 시장에서의 투자 비중을 보장된 수익성을 목표로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매그니피센트7(M7)으로 불리는 AI 및 기술주에 대한 집중 투자로 포트폴리오 가치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국내 시장의 낮은 수익률과 불확실성을 배경으로 한 것이며, 2023년 상반기에 해외 주식 관련 자산 가치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은 가상자산 관련 주식에도 투자하고 있으며, 이러한 투자들은 MSCI 인덱스를 기반으로 한 위탁 운용의 결과입니다.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수익률 저하와 장애 요인에 기인합니다.

2.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투자 현황

  • 2-1. 주요 투자 종목 분석

  •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직접투자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은 애플로 6.58%입니다. 그 뒤로 마이크로소프트가 5.8%, PBUS ETF가 4.79%, 아마존닷컴이 2.97%, 엔비디아가 2.7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특히 '매그니피센트 7(M7)'으로 불리는 빅테크주에 집중 투자하고 있으며, 이 종목들 중에서는 엔비디아에 대한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M7 종목들은 AI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 중이며, 이로 인해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자산 가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 2-2. 투자 비율 및 가치 변화

  • 2023년 1분기 기준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직접투자 포트폴리오 자산 가치는 833억3,194만 달러(약 113조 원)로, 4개 분기 연속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2023년 4분기 718억1,125만 달러(약 97조 원)와 비교해 15조 원가량(약 16%) 늘어난 수치입니다. 특히 1년 전에 비해선 38조 원 이상(51.7%) 증가했습니다. 2023년 들어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직접투자 가치가 3개월 동안 13조원, 1년 동안 28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3. M7 종목에 대한 집중 투자

  • 국민연금은 M7 종목에 대한 집중 투자를 통해 자산 가치를 증가시켰습니다. M7에는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알파벳, 테슬라가 포함되며, 이들 종목의 포트폴리오 편입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났습니다. 특히 엔비디아는 AI 열풍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하며,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포트폴리오에서도 상당한 투자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은 인공지능 관련 기술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이로 인해 상승하는 주가를 통해 지속적인 수익률 개선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3.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투자 현황

  • 3-1. 주요 투자 종목 및 전략 변화

  • 국민연금은 해외 주식 투자 비중이 34%로 국내 주식 비중인 13.5%보다 약 2.5배 높습니다. 2023년 2분기 기준 국민연금의 미국 주식 직접투자 자산가치는 870억 3,423만 달러에 달하며, 이는 5개 분기 연속 사상 최고치입니다. 국민연금이 보유한 미국 주식 중 주요 종목으로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이 있으며, 특히 AI 관련 기술주에 대한 집중 투자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엔비디아의 보유량이 증가하며 '빅테크' 중심의 포트폴리오가 더욱 눈에 띕니다.

  • 3-2. 국내 주식 비중 감소 원인

  •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투자 비중은 2019년의 14.3%에서 2023년 상반기 기준 13.8%로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국내주식 수익률이 저조하고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데 따른 결과입니다. 코스피 지수는 2021년 3,000포인트 대에서 현재 2,500선에 머무르고 있으며, 국내주식의 연환산 수익률이 8.61%로 해외주식 수익률(20.47%) 및 금융부문 평균(9.73%)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국민연금은 국내주식 규모를 줄이고 있으며, 2029년까지 국내주식 비중을 13%로 낮추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3-3. 비교 분석: 국내 vs 해외 주식 수익률

  • 2023년 2분기 기준 국민연금의 해외주식 수익률은 20.47%로, 국내주식 수익률인 8.61%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수익률 차이는 해외주식의 성과가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주뿐만 아니라 AI 및 기술주에서 두드러진 결과로 해석됩니다. 2022년 전체 국내주식 연 환산 수익률은 22.12%로, 해외주식 수익률인 23.89%보다 낮았습니다. 장기적으로도 1988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주식 장기 수익률이 6.53%인 반면 해외주식은 11.04%로 높은 성과를 기록하였습니다.

4. 해외 주식 포트폴리오 변화의 요인

  • 4-1. AI 및 기술주에 대한 관심

  • 국민연금은 AI 및 기술주에 대한 투자를 탐색하며 이러한 주식들이 포트폴리오의 성장 잠재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AI 및 기술주에 대한 투자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4-2. 가상자산 관련 주식 투자 현황

  • 국민연금공단은 최근 코인베이스와 마이크로스트래티지와 같은 가상자산 관련 기업에 투자하였으나, 이러한 투자는 가상자산 투자를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님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국민연금은 이들 기업이 MSCI 벤치마크 지수에 편입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 매수되었거나 위탁 운용을 통해 매수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예를 들어, 올해 3월 기준으로 국민연금이 보유한 코인베이스 주식은 28만 주이며 시가 평가액은 1009억원,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200주로 시가 평가액이 4억원에 해당합니다.

  • 4-3. 위탁 운용 및 인덱스 추종 전략

  • 국민연금공단은 해외 주식 투자 시 두 가지 주요 운용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벤치마크 지수인 MSCI를 수동적으로 추종하는 인덱스 운용 방식이며, 두 번째는 외부의 위탁 운용사에게 개별 기업에 대한 투자를 맡기는 방식입니다. 이는 국민연금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코인베이스와 마이크로스트래티지 투자는 그러한 운용 방식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5. 결론

  • 본 리포트는 국민연금의 투자 전략이 미국 주식 시장을 중심으로 수익률을 향상시키려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매그니피센트7(M7)으로 대변되는 AI 및 기술주에 대한 전략적 투자는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하며 포트폴리오의 가치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국내 시장의 불안정성과 낮은 수익률 때문에 국내 주식에 대한 비중은 축소되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의 투자 결정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가상자산 관련 주식과 같은 간접적 위험 요소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향후 국민연금이 인공지능과 기술 혁신이 이끄는 글로벌 시장에서 더 많은 기회를 탐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국민연금의 투자 전략이 변화하는 경제 환경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6. 용어집

  • 6-1. 국민연금 [기관]

  • 국민의 노후 자산을 운용하는 국가 주요 연금 기금으로, 최근에는 미국 주식 시장에서의 투자 비중을 증가시키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 6-2. 매그니피센트7 (M7) [투자 포트폴리오]

  •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메타, 알파벳, 테슬라 등 AI 및 기술주 중심의 종목군으로 국민연금이 집중 투자하고 있는 주요 대상이다.

  • 6-3. MSCI 인덱스 [투자 기준 지수]

  • 모건스탠리 캐피탈 인터내셔널 지수로, 국민연금이 해외 주식 투자 시 참고하는 벤치마크 지수로 활용되고 있다.

7.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