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워런 버핏의 투자 전략 변화: 애플 매도와 울타뷰티 신규 투자

일일 보고서 2024년 09월 12일
goover

목차

  1. 요약
  2. 워런 버핏의 매도 전략
  3. 울타뷰티와 하이코의 신규 투자
  4. 울타뷰티 투자와 K뷰티 주식의 상관관계
  5. 버크셔 해서웨이의 현금 보유 전략
  6.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는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최근 투자 전략 변화를 분석합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애플 주식을 매도하여 현금 보유액을 늘리고, 울타뷰티와 하이코와 같은 신규 투자처를 추가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버크셔가 방어적인 투자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울타뷰티에 대한 투자는 K뷰티 주식의 상승으로 이어져 글로벌 성장 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울타뷰티의 주가 상승과 K뷰티 주식의 급등은 이들의 국제적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하게 하였습니다.

2. 워런 버핏의 매도 전략

  • 2-1. 애플 주식 매도 이유

  • 워런 버핏이 애플 주식을 매도한 이유는 기업의 밸류에이션과 투자 기회를 고려한 것입니다. 미 투자회사 체비엇밸류매니지먼트의 다렌 폴록 포트폴리오 매니저에 따르면, 애플은 여전히 좋은 기업이지만, 그에 따른 적정한 가치는 중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 2-2. 애플 지분 축소의 포트폴리오 영향

  • 버크셔 해서웨이는 지난 분기에 애플 지분을 포함하여 총 772억 달러의 주식을 매각하여, 현금 보유액을 2769억 달러(약 377조 원)로 늘렸습니다. 이러한 현금 보유 증가가 포트폴리오의 무게 중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3. 다른 주요 주식 매도 사례: 셰브론, 캐피털원파이낸셜, 뱅크오브아메리카

  • 버크셔는 애플 외에도 셰브론과 캐피털원파이낸셜,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지분도 축소하였습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지분을 약 8.8% 처분하였고, 이는 버핏이 매력적인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2-4. 현금 보유액 증가와 그 의미

  • 현재 버크셔 해서웨이의 현금 보유액은 사상 최대인 2769억 달러에 달하고 있습니다. 이는 애플 주식과 여러 주요 주식을 매각한 결과로, 시장과 경제에 대한 우려 및 방어적 투자 전략 채택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울타뷰티와 하이코의 신규 투자

  • 3-1. 울타뷰티 투자 배경

  •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2분기에 미국 최대 뷰티 체인인 울타뷰티의 주식을 69만여 주 매수하였습니다. 이는 버크셔가 방어적인 투자 전략을 채택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모닝스타는 울타뷰티가 지난 5월 실적 발표 당시 2024년 매출 가이던스를 낮추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여전히 수년간 백화점과 약국에서 탄탄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멕시코 진출 등 해외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주식이 하락하면서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졌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습니다.

  • 3-2. 하이코 투자 배경

  • 하이코는 최근 2분기에 견조한 실적을 보이며, 현금 배당금 인상을 발표하였습니다. 회장 겸 공동 최고경영자(CEO)인 에릭 멘델슨은 버크셔 해서웨이가 항공 우주 산업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하지만, 울타뷰티와 하이코의 매수가 워런 버핏의 의지였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 3-3. 울타뷰티와 하이코의 성장 가능성

  • WSJ는 울타뷰티가 몇 가지 흠이 있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주식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울타뷰티의 주가는 현재 12개월 순이익의 약 14배로 거래되고 있는데, 이는 10년 평균보다 44% 낮은 수준입니다. 올리버 첸 코웬 주식 분석가는 울타뷰티가 구축한 공급망 관계와 독점적 파트너십은 경쟁사가 따라 하기 힘든 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이코 또한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되고 있어 두 회사 모두 성장 가능성이 엿보입니다.

  • 3-4. 버핏이 아닌 콤스와 웨슐러의 역할

  • 배런즈에 따르면, 워런 버핏은 3000억달러 이상의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 포트폴리오를 감독하지만, 그 중 10%에 대한 권한을 투자 매니저인 토드 콤스와 테드 웨슐러에게 위임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독립적으로 움직이며, 하이코와 울타뷰티에 대한 비교적 작은 매수 규모를 감안할 때 이는 콤스나 웨슐러의 투자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되었습니다. 지난 2분기 버크셔는 애플 지분 매각과 함께 큰 폭의 현금 보유액을 누적하였으며, 이는 방어적인 전략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울타뷰티 투자와 K뷰티 주식의 상관관계

  • 4-1. 울타뷰티의 시장 점유율과 경쟁 상태

  • 울타뷰티는 미국 일리노이에 본사를 둔 대표적인 화장품 판매 체인스토어로, 미국 내 1300여 개의 매장을 운영하며 500개 이상의 글로벌 및 현지 뷰티 브랜드를 유통하고 있습니다. 주요 경쟁업체로는 세포라(Sephora)와 타겟(Target)이 있으며, 시장 점유율은 세포라 37%와 울타뷰티 32%로 치열한 경쟁 상태입니다. 버크셔 해서웨이가 울타뷰티에 대한 투자를 결정한 것은 이 회사의 시장 점유율 확대와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한 결과로 해석됩니다.

  • 4-2. 울타뷰티에 입점한 한국 뷰티 브랜드의 주가 상승

  • 버크셔의 울타뷰티 투자 소식이 알려지면서 2023년 9월 16일, 울타뷰티에 입점한 한국 화장품 업체들의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마녀공장은 7.38%, 토니모리는 7.96%, 아모레퍼시픽은 4.24% 상승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한국화장품제조는 20.34% 급등한 7만400원에 거래를 마쳤고, 개장 직후 29.91% 오른 7만6천원까지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주가 상승은 울타뷰티 입점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며, K뷰티의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4-3. K뷰티 산업의 글로벌 성장 동력

  • K뷰티 산업은 최근 울타뷰티와 같은 글로벌 뷰티 소매업체들의 성장에 힘입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습니다. 울타뷰티에 입점한 한국 화장품 브랜드들은 경쟁력 있는 제품을 토대로 해외 시장에서도 입지를 넓히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높은 선호도를 기반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화장품 제조업체들을 포함한 다양한 K뷰티 관련 기업들은 SNS와 같은 판매 채널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외 진출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5. 버크셔 해서웨이의 현금 보유 전략

  • 5-1. 현금 보유액 증가의 이유

  •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2분기에 총 755억 달러 상당의 주식을 순매도하였으며, 무엇보다 애플 지분을 포함해 총 772억 달러의 주식을 매각하고 오직 16억 달러 규모만 매입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 결과, 버크셔의 현금 보유액은 지난 3월말 1890억 달러에서 6월말 2769억 달러(약 377조 원)로 급증하였습니다. 이러한 매도는 마켓 기회 부족을 시사하며, 버핏은

  • 5-2. 방어적 투자 전략의 함의

  • 버크셔 해서웨이의 전체 그림과 거시경제 데이터를 고려했을 때, 버크셔가 방어적인 투자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CFRA리서치의 분석가 캐시 사이퍼트는 이와 관련하여, '버크셔가 방어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에드워드 존스의 분석가 짐 셰너핸은 버핏이 시장과 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 5-3. 버크셔의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 평가

  • 워런 버핏은 3000억 달러 이상의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 포트폴리오를 관리하고 있으며, 그 중 10%에 해당하는 권한을 투자 매니저인 토드 콤스와 테드 웨슐러에게 위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울타뷰티와 하이코 주식의 매수가 워런 버핏의 직접적인 의지에 의한 것인지 여부는 불확실합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매수 규모와 변동성을 고려할 때, 이는 콤스나 웨슐러에 의한 투자일 가능성이 있음을 배런즈에서 지적하고 있습니다.

6. 결론

  • 이번 리포트를 통해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의 최근 투자 전략 변화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버크셔는 애플 주식을 대규모로 매도하면서 현금 보유액을 사상 최대치로 늘렸으며, 이는 방어적인 투자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울타뷰티와 하이코와 같은 신규 투자처에 대해 소규모 매수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울타뷰티의 주가 상승이 K뷰티 주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리포트는 버크셔의 현금 보유 전략이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임을 강조합니다. 한계로는 투자 결정이 콤스와 웨슐러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지적하며,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미래에는 K뷰티 산업과 글로벌 뷰티 시장 내 울타뷰티의 성장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7. 용어집

  • 7-1. 워런 버핏 [인물]

  • 버크셔 해서웨이의 회장 겸 CEO로, '투자의 귀재'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의 투자 전략과 포트폴리오 변화는 많은 투자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 7-2. 버크셔 해서웨이 [회사]

  • 워런 버핏이 이끄는 대형 투자회사로, 다양한 기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애플 주식을 대량 매도하고 울타뷰티와 같은 신규 투자처를 추가했습니다.

  • 7-3. 울타뷰티 [회사]

  • 미국의 대표적인 뷰티 제품 소매업체로, '미국판 올리브영'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최근 워런 버핏의 투자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K뷰티 주식도 상승했습니다.

  • 7-4. 애플 [회사]

  • 전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 중 하나로, 버크셔 해서웨이가 최근 대량 매도한 주식 중 하나입니다. 애플 주식 매도는 버핏의 방어적 투자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 7-5. K뷰티 [산업]

  • 한국의 뷰티 산업을 지칭하며, 울타뷰티의 투자로 인해 최근 주목받고 있습니다. K뷰티 제품들은 울타뷰티 등 글로벌 시장에 입점해 있습니다.

8.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