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Micro SaaS 성공 사례 및 시장 분석

일일 보고서 2024년 09월 08일
goover

목차

  1. 요약
  2. Micro SaaS의 개념과 배경
  3. Micro SaaS의 성공 사례
  4. Micro SaaS 시장 분석
  5. 공공부문과의 협력 사례
  6. 기업들의 애로사항 및 요구
  7.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는 Micro SaaS의 개념, 성공 사례, 및 시장 분석을 다루며,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어떻게 Micro SaaS 솔루션을 통해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합니다. Micro SaaS는 소규모 팀이나 개인이 낮은 유지 보수 비용과 간편한 배포 과정을 통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의미하며, 이는 큰 범위의 전통 SaaS와 차별화됩니다. 성공 사례로는 디엔소프트의 '알공 잉글리시플래닛'과 웨이버스의 '맵픽-가브'가 있으며, 이들은 각각 영어 학습 플랫폼과 선거 결과 예측 시각화 도구로 높은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NIA(한국지능정보원)의 지원으로 중소기업이 클라우드 기반 기술을 활용하여 공공시장에 진출할 수 있었음을 강조합니다.

2. Micro SaaS의 개념과 배경

  • 2-1. Micro SaaS의 정의

  • Micro SaaS는 소규모 팀 또는 개인이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으로, 대규모 SaaS와는 달리 특정 틈새 시장을 목표로 합니다. 이러한 솔루션은 주로 낮은 유지 관리 비용과 간편한 배포 과정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의 니즈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2-2. 전통 SaaS와의 차이점

  • 전통 SaaS는 대규모 솔루션으로, 여러 기능을 포함하고 대량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반면, Micro SaaS는 특정 기능에 집중하고, 적은 사용자 수를 겨냥하여 진입 장벽이 낮고, 개발과 운영이 간편한 점이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Micro SaaS는 시장에서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 2-3. Micro SaaS가 주목받는 이유

  • 최근 Micro SaaS가 주목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소규모 팀이나 개인이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둘째, 초기 투자 비용이 낮고 운영 리스크가 적습니다. 셋째, 밀접한 고객 관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Micro SaaS의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3. Micro SaaS의 성공 사례

  • 3-1. 알공 잉글리시플래닛

  • 디엔소프트의 ‘알공 잉글리시플래닛’은 디지털 서비스 등록 후 6개월 만에 매출 3억원을 돌파한 성공 사례입니다. 이 서비스는 영어 학습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중소기업인 디엔소프트(publish_id: go-public-web-kor-N7963715591290291728-0-0)에서 개발하였습니다. NIA의 SaaS 소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언급된 바에 따르면, 성공적인 매출 증가와 빠른 시장 진입이 가능했던 이유는 공공부문과의 협력을 통한 개발지원 덕분이라고 합니다.

  • 3-2. 맵픽-가브

  • 웨이버스의 ‘맵픽-가브(Mappick-Gov)’는 지난 22대 총선에서 결과 예측 시각화 도구로 활용된 성공 사례입니다. 이 서비스는 공공기관과 협력하여 개발되었으며, 특정한 요구사항을 반영한 공공부문 중심의 SaaS 솔루션으로 소개되었습니다. NIA에 따르면,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개발함으로써 트래픽 폭주에 대한 대응이 용이해지고, 서비스 업데이트 또한 수월해졌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4. Micro SaaS 시장 분석

  • 4-1. SaaS 시장의 성장 추세

  • 한국지능정보원(NIA)은 SaaS가 중소기업의 중요한 생존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 시스템에 등록된 기업 중 73.8%가 중소기업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81.7%(104개 중 85개)가 SaaS 기업입니다. 이는 중소기업의 SaaS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4-2.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역할

  • NIA는 SaaS 중심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과 공공부문 디지털 혁신(DX)을 위해, 2022년부터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총 160억원의 예산으로 31개 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이 과제를 통해 기업들은 공공부문에 SaaS를 제공하기 위한 개발, 전환, 검증 및 기술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 4-3. NIA와 같은 기관의 지원

  • NIA는 공공 SaaS 개발 모델 중 하나로 '수요확보형' 공공 SaaS 개발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공기관이 직접 참여하여 공공부문의 특성과 요구 사항을 반영하는 SaaS 개발을 진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간담회에서는 8개 기업의 의견을 청취하였고, 그 중 많은 기업이 초기 시장 형성의 어려움과 클라우드 비용 부담을 언급하며 추가 지원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개발함으로써 트래픽 폭주에 대한 대응과 서비스 업데이트가 수월해졌다는 긍정적인 피드백도 있었습니다.

5. 공공부문과의 협력 사례

  • 5-1. 공공 SaaS 모델

  • 한국지능정보원(NIA)은 2022년부터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하는 SaaS 개발·검증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이 사업은 SaaS가 중소기업의 중요한 생존 수단으로 자리를 잡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애로사항과 지원 요구를 수렴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디지털 서비스 이용 지원 시스템에 등록된 기업 중 73.8%가 중소기업이며, 81.7%가 SaaS 기업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5-2. 수요확보형 공공 SaaS 개발

  • 이번 공공 SaaS 트랙의 핵심 중 하나는 '수요확보형' 공공 SaaS 개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공공기관이 직접 참여하여 공공 부문 특성과 요구 사항을 반영하는 SaaS 개발을 진행함으로써 초기 성공 사례를 만들어 공공시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올해 NIA는 총 160억 원의 예산으로 31개 과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공부문에 SaaS 제공을 위한 개발, 검증 및 기술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 5-3. 협력의 긍정적 영향

  • 기업들은 공공시장 진출 시 초기 시장 형성의 어려움과 클라우드 비용의 부담을 호소하였지만,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의 SaaS 개발로 인해 트래픽 폭주 대응이 용이하고 서비스 업데이트가 수월해졌다는 긍정적인 피드백도 있었습니다. 또한, 성공 사례로 디지털 서비스 등록 후 6개월 만에 매출 3억 원을 돌파한 디엔소프트의 '알공 잉글리시플래닛'과 지난 22대 총선에서 결과 예측 시각화 도구로 활용된 웨이버스의 '맵픽-가브(Mappick-Gov)'가 소개되었습니다.

6. 기업들의 애로사항 및 요구

  • 6-1. 초기 시장 형성의 어려움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들은 공공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초기 시장 형성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여러 매체에서 보도된 바에 따르면, 기업들은 도입 사례의 부족으로 인해 시장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경쟁을 하기가 어렵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시장과 고객을 확보하는 데 큰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

  • 6-2. 클라우드 비용 부담

  • 클라우드 비용이 기업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들이 초기 시장 형성과 함께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지속적으로 우려를 나타내었으며,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특히, 공공시장에 진입하려는 SaaS 기업들은 이러한 클라우드 비용의 지속적인 발생이 큰 장벽이 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 6-3. 지원 필요 사항

  • SaaS 기업들은 공공부문과의 협력 및 기술 지원을 통한 보다 체계적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NIA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지원 사업을 통해 기업들은 SaaS 제공을 위한 개발 및 검증을 위한 기술적 도움을 받았으나, 시장 진입을 위한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재차 강조하였습니다. 이는 특히 중소기업에 더욱 중요한 사항으로, 이들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제도적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 결론

  • Micro SaaS는 소규모 팀이나 개인이 창업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최근 시장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알공 잉글리시플래닛'과 '맵픽-가브'와 같은 성공 사례는 공공부문과의 협력을 통해 빠른 시장 진입과 매출 성장을 이뤘습니다. NIA의 지원은 중소기업이 SaaS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을 활용하고 공공부문의 요구를 반영하는 데 중요했습니다. 그러나 초기 시장 형성의 어려움과 클라우드 비용 부담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제도적 보완이 필요합니다. 미래에는 이러한 지원을 기반으로 더 많은 Micro SaaS 솔루션들이 성공 사례를 만들어갈 것이며, 이는 중소기업 생태계와 공공부문의 디지털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8. 용어집

  • 8-1. 알공 잉글리시플래닛 [제품]

  • 디엔소프트에서 개발한 AI 기반 영어 학습 플랫폼으로, 디지털 서비스 등록 후 6개월 만에 매출 3억원을 기록한 성공 사례입니다.

  • 8-2. 맵픽-가브 [제품]

  • 웨이버스에서 개발한 공공선거 결과 예측 시각화 도구로, 지난 22대 총선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 8-3. NIA (한국지능정보원) [기관]

  • 공공부문 디지털 혁신을 위해 SaaS 기업을 지원하는 주요 기관으로, 여러 간담회를 통해 중소 SaaS 기업의 애로사항과 요구를 파악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9.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