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당제약의 최근 임상시험 현황과 기업 동향에 대한 이 리포트는 주로 경구용 비만치료제 'SCD0506'과 황반변성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SCD411'을 중심으로 분석합니다. 삼천당제약은 1943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제약회사로, 비만 및 당뇨 치료제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특히, GLP-1 계열의 'SCD0506'은 시장 기대감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SCD411'은 글로벌 임상 3상을 마치고 유럽 국가들과 독점판매권 계약을 체결하여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는 이러한 기대감으로 급등하였으나, 기술이전 협상 및 임상 데이터 발표에 따른 변동성이 존재합니다.
삼천당제약은 1943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제약회사로, 본사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351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장은 경기도 화성시에 있으며, 중앙연구소는 경기도 수원시에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삼천당제약은 1,668억원의 매출액과 5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습니다. 현재 자회사는 주식회사 디에이치피코리아로, 국내 점안제 생산 1위 업체입니다.
삼천당제약은 항생제, 순환기질환 치료제, 소화기질환 치료제 및 안약류 등의 다양한 처방 위주의 전문의약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비만 및 당뇨병 치료제 후보 물질에 대한 임상시험 계약을 체결하여 이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주로 매출의 50% 이상이 건성질환 및 각막염 치료제 등 안과용제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삼천당제약의 주가는 최근 코스닥 시장에서 100% 가까이 급등하였습니다. 3월 말에 급등한 이후 약 3개월간 11만원대에서 횡보하던 주가는 비만과 당뇨병 치료제 후보 물질에 대한 임상시험 계약 체결 발표 이후, 18~19일 이틀간 15% 이상 상승하였습니다.
삼천당제약은 GLP-1 계열의 경구용 비만치료제인 SCD0506의 임상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SCD0506은 삼천당제약의 독보적인 S-PASS 기술을 적용하여 주사제를 경구용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심사 단계에 있으며, 비임상 및 약동학적 시험이 이미 종료되었습니다. SCD0506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삼천당제약의 주가는 급등하였지만, 임상 과정이 남아있어 향후 데이터 발표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SCD411은 황반변성 치료제인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 중입니다. 현재 SCD411은 글로벌 임상 3상을 마친 상태이며, 국내 및 유럽에 품목허가를 신청한 상황입니다. 올해 3월에는 유럽 9개국과 독점판매권 및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SCD411이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천당제약은 SCD0506의 임상시험 일정이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었음을 밝혔습니다. 이는 임상 데이터 결과를 추가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Human Pilot Study가 임상 1상에 준하는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체 내에서 개념 입증이 이루어질 경우, 향후 협상에서 전략적으로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천당제약의 주가는 최근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급격하게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7월 초에 5만원 대였던 주가는 1년 만에 약 20만원 대로 올랐으며, 시가총액도 4조5132억원에 육박하게 되었습니다. 2년 전에는 주가가 3만원 대에 머물렀으나, 바이오시밀러 및 비만 치료제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주가가 치솟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7월 16일에 해외 대형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계약 소문에 의해 하루 동안 시총이 8600억 원이 날아가는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삼천당제약은 아일리아의 바이오시밀러인 'SCD411'과 GLP-1 계열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인 'SCD0506' 개발에 있어 중요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SCD411은 지난해 8월 캐나다 제네릭 전문 제약사와 독점판매권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올해 3월에는 유럽 9개국과의 독점판매권 계약을 체결한 상태입니다. SCD0506은 3월에 미국의 글로벌 제약사와 텀싯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는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비만 치료제와 관련된 시장 기대는 여전히 높지만, 임상시험의 불확실성 또한 존재합니다. 삼천당제약은 비임상 및 약동학적 시험이 종료된 후 임상시험심사위원회 심사가 후속 단계에 있어, 개발 성공까지는 갈 길이 먼 상황입니다. 이러한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제약사들의 긍정적인 임상 데이터 발표로 인해 시장 기대치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임상 관련 공시가 이루어지지 않은 만큼, 투자자들은 정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삼천당제약은 S-PASS 플랫폼을 활용하여 개발 중인 경구용 인슐린 SCD0503 및 경구용 리라글루티드 SCD0506의 비임상을 모두 완료하였습니다. 현재 글로벌 파트너사와 비즈니스 협상에 돌입하였으며, 협상 상대는 글로벌 빅파마 A사 및 S사 등으로, 이들로부터 지역별 또는 글로벌 판권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상은 2021년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삼천당제약은 S-PASS 기술을 통해 인체 내에서 개념 입증을 완료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협상에서 우위를 점할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기존의 비임상 데이터에 비해 임상 데이터 기반의 협상은 계약금 및 마일스톤에 있어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삼천당제약의 S-PASS 기술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자금력이 강화된 글로벌 제약사들에게 매력적인 품목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활용하여 삼천당제약은 지금까지의 임상 데이터 결과를 추가적으로 보여주며 협상하여 향후 임상 및 허가 일정 단축에 기여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SCD0503 Human Pilot Study는 임상 1상 수준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이는 향후 계약 조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됩니다.
삼천당제약의 'SCD0506'과 'SCD411'의 임상 진행은 회사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SCD0506'의 S-PASS 기술은 기존 주사제를 경구용으로 변환하는 혁신적인 접근방식으로, 향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입니다. 'SCD411'은 이미 글로벌 임상 3상을 마치고 주요 시장들과 독점판매권 계약을 체결한 바 있어,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질 전망입니다. 그러나, 임상시험의 결과 불확실성 및 기술이전 협상의 변동성이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은 이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래에는 지속적인 임상 데이터 발표와 성공적인 시장 진출이 삼천당제약의 성장을 견인할 것입니다. 특히, S-PASS 기술의 적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더 많은 제품 라인업에서 성과가 기대됩니다.
1943년에 설립된 국내 제약회사로, 안과용 제제를 중심으로 한 전문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 비만치료제와 바이오시밀러 등 파이프라인을 강화하며 주가가 급등하였습니다.
삼천당제약이 개발 중인 GLP-1 계열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로, 현재 글로벌 임상 3상 단계에 있습니다. 기존 주사제 '삭센다'와 같은 성분을 사용하지만, 삼천당제약의 S-PASS 기술을 통해 경구용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삼천당제약의 황반변성 치료제 바이오시밀러로, 글로벌 임상 3상을 마친 상태입니다. 시장에 출시될 경우 큰 영향력이 예상됩니다.
삼천당제약의 독보적인 개발 기술로, 주사제를 경구용으로 변경하는 기술입니다. 현재 SCD0506 및 다른 제품들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주로 고령인구에서 발생하는 안과 질환으로서 시력 손상을 유발합니다. 삼천당제약의 SCD411은 이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