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코오롱ENP 투자 분석 보고서: 첨단소재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투자 보고서 2024년 09월 20일
goover

목차

  1. 도입부
  2. 기업 개요
  3. 재무 성과와 경제적 여파
  4. 사회적 파장과 CSR
  5. 고기능성 소재와 경쟁력
  6. 향후 전망과 발전 전략
  7. 최근 이슈와 여론 반응
  8. 결론

1. 도입부

  • 본 보고서는 코오롱ENP의 재무 성과와 투자 가치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합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 기업으로서 코오롱ENP가 최근 개발한 첨단소재와 친환경 제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2. 기업 개요

  • 2-1. 코오롱ENP의 비전과 사명 변경

  • 코오롱ENP는 1996년 도레이사와 합작하여 설립된 이후, 최근 코오롱플라스틱에서 코오롱ENP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새로운 사명은 'Empowering New Possibility'의 약자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겠다는 회사의 비전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고도화된 첨단기술을 통해 지속 가능한 제품과 순환경제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도매출(억원)영업이익(억원)사명
20225000338코오롱ENP
2008해체김N/A코오롱플라스틱
1996N/AN/AKTP
  • 이 표는 코오롱ENP의 사명 변경과 주요 재무 성과를 요약합니다.

  • 2-2. 고기능성 소재 혁신과 시장 확대

  • 코오롱ENP는 차별화된 고기능성 소재 개발을 통해 시장 확대에 힘쓰고 있으며, 최근 초고내열 PA6 소재와 고속성형용 PBT 소재를 개발하였습니다. 초고내열 PA6은 자동차 및 전기전자 분야의 고기능 요구에 맞춰 독자적인 내열 시스템을 적용하여 뛰어난 내열안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PBT 소재는 높은 흐름성과 빠른 결정화 속도로 대형 자동차 부품 및 전기전자 부품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소재특징적용 분야
초고내열 PA6내열성 강도 유지율 70% 이상자동차, 전기전자
고속성형용 PBT우수한 흐름성 및 결정화 속도대형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 이 표는 코오롱ENP의 주요 고기능성 소재와 그 특징 및 적용 분야를 요약합니다.

3. 재무 성과와 경제적 여파

  • 3-1. 2023년 매출 및 성과 분석

  • 2023년 코오롱ENP의 매출액은 4,562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9% 감소했습니다. 이는 POM 및 Compound 제품군의 매출 저조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26.6% 줄어들어 338억 원에 그쳤습니다.

매출액 (억원)영업이익 (억원)법인세 (억원)
20225,17945994
20234,56233891
  • 이 표는 코오롱ENP의 최근 2년간 매출액, 영업이익 및 법인세 현황을 요약합니다.

  • 3-2. 고부가 의료용 POM 제품의 미래 가능성

  • 고부가 의료용 POM 제품의 납품이 시작됨에 따라 2024년 상반기에 매출 전환의 긍정적인 신호가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코오롱ENP가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사회적 파장과 CSR

  • 4-1. Bio-POM의 친환경적 이점

  • 코오롱ENP의 Bio-POM 제품은 바이오 원료를 활용하여 제조되어 탄소 배출을 줄이는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이 제품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4-2. 해양 폐기물 기반 Compound 제품

  • 코오롱ENP는 해양 폐기물을 활용한 친환경 Compound 제품 개발을 통해 환경 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해양 생태계 보호뿐 아니라, 지속 가능한 자원 활용을 통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5. 고기능성 소재와 경쟁력

  • 5-1. 전기차 경량화 및 복합소재의 중요성

  • 코오롱ENP는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산업을 위해 경량화 및 난연성 복합소재인 KompoGTe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기본적인 강도와 내식성, 그리고 피로수명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전기차와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제품명특징응용 분야
KompoGTe경량화, 난연성전기차, UAM
Bio-POM친환경 소재자동차, 전자기기
Compound 제품다양한 성질전방산업 전반
POM기계적 강도의료, 산업용
  • 이 표는 코오롱ENP의 주요 고기능성 소재와 그 응용 분야를 요약합니다.

  • 5-2. 수익성과 성장성 확보

  • 신한투자증권은 코오롱ENP의 고부가 제품은 수익성과 성장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였습니다. 2024년 1분기 매출액은 1231억 원이었으며, 영업이익은 105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혼합 중합체(POM)의 외형은 전분기 대비 18% 증가했다고 합니다.

항목2024년 1분기전년 대비 증가율
매출액1231억 원N/A
영업이익105억 원N/A
혼합 중합체(POM) 외형18% 증가18%
  • 이 표는 2024년 1분기 코오롱ENP의 주요 재무 성과를 요약합니다.

6. 향후 전망과 발전 전략

  • 6-1. 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

  • 코오롱ENP는 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부가가치 시장에 진입하려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특히, H성이 강조한 '지속 가능한 친환경 소재 포트폴리오' 확장은 산업 트렌드에의 적극적인 대응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제품명특징환경 영향시장 가능성
Bio-POM생분해성 플라스틱자원 순환 기여높음
KompoGTe전기차 난연성 복합소재안전성 향상중간
ECO-B바이오 폐기물 원료 사용폐기물 감소 기여높음
  • 이 표는 코오롱ENP의 주요 친환경 제품과 그 특징, 환경 영향, 시장 가능성에 대한 내용을 요약합니다.

  • 6-2. 해외 파트너십 기회 모색

  • 코오롱ENP는 해외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동반 성장 가능한 글로벌 협력 체계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코오롱ENP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여러 국제 협약에 기반한 생물다양성 보호 및 스타트업과의 협력 프로젝트 진행을 통해 사회적 가치도 동시에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협력 분야파트너 기업진행 상황미래 방향
환경 보호스타트업 A진행 중기술 지원 확대 예정
제품 개발국제 협약계획 수립상호 협력 강화
사회적 가치 프로젝트NGO B모금활동 진행지속적 지원 예정
  • 이 표는 코오롱ENP의 해외 파트너십 활동 및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요약합니다.

7. 최근 이슈와 여론 반응

  • 7-1. 중국 상무부의 POM 반덤핑 조사

  • 코오롱ENP는 최근 중국 상무부가 미국 및 유럽연합(EU), 일본에서 수입되는 POM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착수함에 따라 주가가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 무역 갈등의 여파로도 분석되며, 특히 코오롱ENP가 세계 최대의 POM 생산단지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조사 국가POM 사용 용도조사 기간주가 변화
중국자동차 부품 및 의료 장비1년 (필요 시 6개월 연장)22.25% 상승
미국가전제품1년 (필요 시 6개월 연장)6.90% 상승
  • 이 표는 최근 중국 상무부가 착수한 POM 반덤핑 조사와 관련된 주요 내용을 요약합니다.

  • 7-2. 글로벌 무역 갈등의 영향

  • 코오롱ENP의 주가 상승은 최근 글로벌 무역 갈등의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의 반덤핑 조사는 미국에서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 등과 같은 정책적 결정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가연관 사건조치 내용
미국관세 인상중국산 전기차 및 부품
EU불공정 거래 조사중국산 전기차 및 철강
  • 이 표는 글로벌 무역 갈등에서 각 국가의 주요 사건과 그에 대한 조치를 요약합니다.

8. 결론

  • 코오롱ENP는 비록 최근 몇 년간 매출이 감소했으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통해 미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친환경 제품과 전기차 산업용 난연성 복합소재 등의 개발은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됩니다.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투자가 필요하며, 시장 변화에 발맞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됩니다.

9. 용어집

  • 9-1. POM [제품]

  • 폴리옥시메틸렌, 내마모성, 내마찰성이 뛰어나며 자동차 기어 및 롤러, 생활용품 등에 사용됨

  • 9-2. Bio-POM [제품]

  • 바이오 원료를 사용하여 생산된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는 효과

  • 9-3. KompoGTe [제품]

  • 장섬유 강화 복합소재, 전기차 및 UAM 등의 미래 모빌리티 산업용 난연성 복합소재

  • 9-4. 허성 [인물]

  • 현 코오롱ENP 대표이사, 지속 가능한 발전과 친환경 제품 개발을 추진 중

10.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