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2024년 항공업계 투자 가이드: FSC와 LCC의 비교 분석

투자 보고서 2024년 09월 12일
goover

목차

  1. 도입부
  2. 항공 여객 수송
  3. 항공 화물 수송
  4. 기내 면세점 매출
  5. 경쟁 환경 및 전략
  6. 결론

1. 도입부

  • 이 보고서는 2024년 항공업계의 여객 수송, 화물 수송, 기내 면세점 사업 부문에서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의 성과 및 전망을 비교 분석하여 투자 가치 평가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2. 항공 여객 수송

  • 2-1. FSC와 LCC의 여객 수송률 비교

  • 최근 통계에 따르면, 저비용 항공사(LCC)의 국제선 이용객 수가 대형항공사(FSC)를 초과했습니다. LCC의 여객 점유율은 2022년 약 51.26%로 나타났으며, 이는 FSC의 점유율인 48.74%를 넘어섰습니다. 2023년 상반기 동안, LCC는 FSC에 비해 약 100만 명 더 많은 국제선 이용객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저렴한 항공권 가격과 다양해진 노선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용객 수FSC 점유율LCC 점유율연도
1416만명48.74%51.26%2022
1526만명N/AN/A2023 상반기
  • 이 표는 FSC와 LCC의 여객 수송률 및 점유율을 비교하여 요약합니다.

  • 2-2. 세부 노선별 수익성 및 점유율

  • LCC의 진입 및 확장이 중요한 이유는 새로운 노선 다각화 전략을 통해 고수익 노선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점입니다. 그러나, 최근 티웨이항공이 유럽 노선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이는 소비자 불만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한항공과 티웨이항공의 유럽 노선 가격 비교에서, 티웨이항공의 가격이 예상보다 비쌌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양상이 계속될 경우, LCC의 고유한 장점인 저렴한 가격 경쟁력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 2-3.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여객 수송 회복 정도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항공기 산업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4년에는 해외여행 수요가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습니다. 2023년 하계 국제선 운항횟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으며, 국제선 항공 수요는 2019년 대비 94%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차량 대출 이자율 하향세와 금리인하가 소비자들의 여행 수요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3. 항공 화물 수송

  • 3-1. 2024년 화물 수송률 추이

  • 2024년 화물 수송률은 여러 요인에 의해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화물 수요에 적극 대응하며 영업이익을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LCC는 화물 수익성이 낮아 실적이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 3-2. FSC와 LCC의 화물 수송 전략 및 성과 비교

  • 대형항공사들은 화물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특히 대한항공은 1분기 38만5391t의 화물 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LCC는 화물 수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고 1만t 미만의 미미한 실적을 보였다.

항공사 유형1분기 화물 실적 (t)주요 특징
FSC38만5391t화물 수요에 적극 대응
LCC1만t 미만수익성이 낮은 국내선 중심
  • 이 표는 FSC와 LCC 간의 화물 실적을 요약합니다.

  • 3-3. 코로나19 팬데믹 동안의 화물 수송 변화

  •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항공 화물 수송은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국제 물동량이 감소하였으나, 팬데믹 종료 후 항공 화물시장은 회복세를 보였다. 2023년 상반기 화물 수송 물량은 지난해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운임은 하락하여 항공사의 매출 감소를 초래했다.

4. 기내 면세점 매출

  • 4-1. FSC와 LCC의 기내 면세점 매출 비교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 등 대형항공사(FSC)의 기내 면세점 매출은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반면,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고환율 및 고비용 구조의 영향으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2023년에는 대형항공사가 기내 면세점 매출의 54.6%를 차지하고 있으며, LCC는 20.6%에 불과하다.

항공사2023년 기내 면세점 매출 (억 원)매출 점유율 (%)
대한항공1,50654.6
아시아나68324.8
LCC 합계56820.6
  • 이 표는 2023년 기내 면세점 매출 및 각 항공사별 점유율을 요약합니다.

  • 4-2. 팬데믹 전후 기내 면세점 실적 변화

  • 팬데믹 이후 총 기내 면세점 매출은 상승세에 있으며, 특히 LCC의 실적 향상이 두드러진다. LCC는 2024년 여름 성수기 이후 기내 면세점 매출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된다.

년도기내 면세점 매출 (억 원)전년 대비 성장률 (%)
20161,891N/A
20181,544N/A
20232,75740%
2024 (1-4월)1,074N/A
  • 이 표는 기내 면세점 매출의 연도별 실적과 성장률 변화를 보여줍니다.

  • 4-3. 기내 면세점 매출이 항공사 매출에 미치는 영향

  • 기내 면세점 매출은 항공사 전체 매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대형항공사는 안정적인 수익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형항공사는 기내 면세점 운영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는 항공사 매출의 다원화 전략에 기여하고 있다.

5. 경쟁 환경 및 전략

  • 5-1. FSC와 LCC의 주요 경쟁 전략

  •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과 더불어 저비용 항공사(LCC) 간의 합병 가능성이 높아지며 경쟁 환경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은 M&A를 통해 새로운 거대 LCC 출범에 대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LCC 간 경쟁 구도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 5-2. 가격 경쟁력 및 서비스 품질

  • 최근 LCC의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유류비 상승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급감하는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제주항공은 올해 연결 기준으로 1조724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상대적으로 낮은 1698억원에 그쳤습니다. 또한 LCC들은 가격 경쟁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항공사2분기 매출2분기 영업이익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
진에어3082억원9억원19%
제주항공4270억원-95억원15.7%
에어부산2354억원182억원18.7%
  • 이 표는 최근 LCC의 2분기 실적을 요약합니다.

  • 5-3. 미래 성장 가능성 및 전망

  • 리오프닝 기대감에 힘입어 내년도 여객 수송량이 이전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화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여객 수송량은 2019년보다 17%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이는 저비용 항공사(LCC)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예측은 LCC의 전략적 방향이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6. 결론

  • 2024년 항공산업은 여객 수송, 화물 수송, 기내 면세점 사업 등 여러 부문에서 FSC와 LCC 간의 경쟁이 치열하며, 각 항공사의 전략적 방향이 투자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특히 LCC는 성장 가능성이 큰 반면, FSC는 안정성과 고급 서비스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7. 용어집

  • 7-1. 대한항공 [항공사]

  • 대한항공은 한국을 대표하는 대형항공사로, 여객과 화물 수송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고급 서비스와 광범위한 국제선 네트워크를 자랑합니다.

  • 7-2. 저비용항공사 [항공사]

  • 저비용항공사(LCC)는 경쟁력 있는 저가 항공권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짧은 비행 구간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7-3. 기내 면세점 [사업 부문]

  • 기내 면세점 사업은 항공기 내에서 면세 상품을 판매하는 것으로, 항공사의 추가 수익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8.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