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대한민국 30-40대 연령층의 검색 키워드 분석

일일 보고서 2024년 10월 01일
goover

목차

  1. 요약
  2. 30대의 주요 검색 키워드와 그 동향
  3. 40대의 주요 검색 키워드와 그 동향
  4. 검색 플랫폼별 선호도 비교
  5. 결론

1. 요약

  • 본 리포트는 대한민국 30대와 40대 연령층의 주요 검색 키워드를 분석하여, 두 연령층의 관심사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검색 플랫폼 및 소비 동향을 정리합니다. 30대는 주로 업무 및 최신 기술과 관련된 검색을 하며, 40대는 건강 및 의료 정보와 온라인 쇼핑을 주로 검색합니다. 주요 검색 플랫폼으로는 네이버와 유튜브가 있으며, 검색 행태에서 세대 간 차이가 두드러집니다. 이 리포트는 30-40대의 인터넷 이용행태를 비교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2. 30대의 주요 검색 키워드와 그 동향

  • 2-1. 업무 관련 검색

  • 30대 연령층은 업무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특히, 인터넷 이용 장소로 회사에서 접속하는 비율이 78%에 달하며, 업무 용도로 이메일을 하루 1회 이상 사용하는 응답자가 34.4%로 가장 많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2020 한국 인터넷 백서에서도 확인되었으며, 30대가 연령대별로 업무와 관련하여 인터넷 이용을 활발히 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2-2.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서비스

  • 30대는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서비스의 이용률이 42.4%로 가장 높은 연령층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30대가 최신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뛰어난 '얼리어답터'로서의 성향을 보이며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 2-3. 유튜브와 네이버의 이용 패턴

  • 30대는 유튜브를 가장 선호하는 동영상 서비스로, 이용률이 93.2%에 이릅니다. 이어 네이버가 35.4%로 2위를 차지하고, 넷플릭스가 28.4%로 3위를 차지합니다. 이러한 결과는 30대가 정보 검색 및 소비 활동에서 유튜브와 네이버를 주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3. 40대의 주요 검색 키워드와 그 동향

  • 3-1. 건강 및 의료 정보 검색

  • 40대의 76.3%가 건강 및 의료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하며, 이는 그들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로 나타났습니다. 더욱이, 이들 중 49.7%는 건강 관련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인터넷 쇼핑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3-2. 온라인 쇼핑 및 뱅킹

  • 40대의 인터넷 쇼핑 이용률은 86.3%로 증가하였으며, 인터넷 뱅킹의 이용률 역시 94.2%에 달합니다. 이는 1년 전보다 각각 14.6%p 및 7.8%p 상승한 수치로, 온라인 거래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3-3. 네이버와 카카오톡의 사용률

  • 최근 조사에 따르면, 네이버는 40대가 가장 먼저 이용하는 검색 서비스로 87.0%의 이용률을 기록하였으며, 유튜브는 79.9%의 비율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전통 포털 서비스의 검색 역할이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4. 검색 플랫폼별 선호도 비교

  • 4-1. 네이버와 유튜브의 검색 강세

  • 2024년 2월, 오픈서베이에 의한 모바일 설문 조사에서 대한민국 사용자들은 궁금한 사항을 검색할 때 가장 먼저 이용하는 서비스로 네이버(87.0%)를 선택했습니다. 유튜브는 79.9%로 뒤따르며, 구글은 65.8%로 그 뒤를 잇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전통적인 포털 서비스인 네이버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튜브가 검색의 새로운 수단으로 급부상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4-2. 구글과 인스타그램의 역할

  • 연령대별로 차별화된 검색 서비스 선호가 관찰되었습니다. 특히 30대 이상에서는 네이버가 높은 사용률을 보였으나, 10대와 20대에서 인스타그램과 구글의 사용률이 평균 대비 높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젊은 세대가 새로운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드러냅니다.

  • 4-3. 검색 플랫폼의 다변화

  • 최근 몇 년간 검색 환경에서는 비(非) 포털 플랫폼이 검색 기능을 빠르게 점유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의 플랫폼은 텍스트 기반 검색을 넘어 영상과 이미지 중심의 멀티모달 검색 기능으로 사용자 경험(UX)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이는 더욱 복잡한 검색 필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검색의 부문에서 새로운 질서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5. 결론

  • 이 리포트는 대한민국 30-40대 연령층의 검색 키워드를 통해 나타난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았습니다. 30대는 주로 업무 및 최신 기술과 관련된 정보를 검색하며,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서비스도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네이버와 유튜브를 주로 사용하는 동시에, 인스타그램과 구글도 일부 세대에서 중요한 플랫폼으로 나타났습니다. 40대는 건강 및 의료 정보 검색에 집중하며, 온라인 쇼핑 및 인터넷 뱅킹도 빈번하게 이용합니다. 40대 역시 네이버와 카카오톡을 주요 플랫폼으로 사용합니다. 두 연령층 모두 검색 플랫폼의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마케팅 전략 수립과 맞춤형 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향후 모든 연령층의 다양한 검색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멀티모달 검색 기능의 확장이 전망됩니다.

6. 용어집

  • 6-1. 네이버 [검색 플랫폼]

  • 네이버는 모든 연령층에서 고르게 사용되는 대표적인 검색 플랫폼으로, 포털 서비스 외에도 블로그, 카페, 뉴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인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6-2. 카카오톡 [메신저 앱]

  •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은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다양한 서비스(톡서랍, 카카오페이 등)를 포함한 통합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6-3. 유튜브 [검색 플랫폼 및 동영상 서비스]

  • 유튜브는 특히 젊은 층에게 인기 있는 검색 플랫폼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통해 정보 검색 및 소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7.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