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리포트는 2023년 한국의 주요 홈쇼핑사인 GS샵, 현대홈쇼핑, 신세계백화점, 롯데백화점의 매출 및 영업이익을 분석하고, 이들이 겪은 주요 변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리포트는 기업들이 모바일 중심의 전략과 라이브커머스 도입으로 매출 증대를 이뤘으나, 일부 기업은 영업이익이 감소한 원인을 분석합니다. 주요 발견 사항으로는 GS샵이 매출 2949억원, 영업이익 377억원을 기록하며 성과를 보였고, 현대홈쇼핑은 매출 6119억원, 영업이익 710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반면, 신세계백화점과 롯데백화점은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각각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GS샵은 홈쇼핑 분야에서 매출 2949억원, 영업이익 37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어려운 사업 환경 속에서도 모바일 중심의 역량 강화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이루어낸 결과입니다. GS샵은 고객 중심의 사업구조 혁신 덕분에 홈쇼핑 업계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대홈쇼핑은 2023년 2분기 매출 6119억원, 영업이익 710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 및 15.8% 증가한 수치입니다. 현대홈쇼핑은 영패션 및 스포츠 상품군의 매출 증가가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은 2023년 2분기 총매출액 1조746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818억원으로 11.2% 감소했습니다. 매출은 역대 2분기 중 가장 높았으나, 영업이익 감소는 비용 증가에 기인하였습니다.
롯데백화점은 2023년 2분기 매출이 8361억원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589억원으로 9% 하락했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고정비 증가와 마산점 폐점으로 인한 일회성 비용이 영업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3년 GS샵의 매출은 2949억원, 영업이익은 37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모바일 중심의 역량 강화로 어려운 사업 환경에서도 업계 수위권을 유지한 성과입니다.
현대홈쇼핑은 2023년 1월에 론칭한 라이브커머스 프로그램 ‘구해왔쇼라’를 통해 2030세대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지며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3040 남성 고객 소비 데이터 분석 결과, 매출은 2021년 대비 약 35% 증가하였고 방송 시청 고객도 40%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충성 고객 기준으로 재구매율은 65%에 달하였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의 2023년 2분기 총매출액은 1조74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은 818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감소하였습니다. 강남점 식품관 리뉴얼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와 수익성이 좋은 명품 실적이 전년 동기와 유사하여 영업이익이 축소되었습니다.
롯데백화점은 2023년 2분기 매출이 8361억원으로 전년 대비 0.7% 상승하였으나, 영업이익은 589억원으로 9% 감소하였습니다. 마산점 폐점과 물가 상승에 따른 고정비 증가가 수익성에 타격을 주었습니다.
현대홈쇼핑은 2023년 1월에 신규 라이브커머스 프로그램 ‘구해왔쇼라’를 론칭하여 2030세대 고객을 겨냥한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TV홈쇼핑의 주 고객층인 40~60대 여성 가정주부 외에도 젊은 세대를 유입하기 위한 전략으로, 남성 고객을 타겟으로 한 콘텐츠 확대 역시 진행되고 있습니다.
라이브커머스의 도입은 홈쇼핑업체들에게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되고 있습니다. 현대홈쇼핑은 라이브커머스 채널 ‘쇼라’를 통해 네이버에 이어서 업계에서 2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객층의 다변화를 통해 매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대홈쇼핑은 3040대 남성 고객의 소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1년과 대비하여 매출이 약 35% 증가하고 방송 시청 고객이 40% 증가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충성고객의 기준이 되는 재구매율은 65%에 달하고 있습니다.
현대홈쇼핑은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남성 패션 콘텐츠를 강화하고, 남성 고객의 관심사인 가전, 스포츠, 게임 관련 상품을 적극적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정된 고객층을 넘어서 새로운 고객 유입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 한국 홈쇼핑사들은 원가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특히 롯데백화점은 경남 마산점 폐점에 따른 비용 증가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9% 하락하며 수익성이 악화되었습니다. 신세계백화점 또한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1.2% 감소하며, 리뉴얼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습니다.
2023년의 경제 불확실성과 고물가가 소비 침체를 야기하였습니다. 백화점 업계는 소비자들의 소비 욕구가 줄어들면서 매출 성장이 둔화되었습니다. 특히 MZ세대 소비자들은 고물가에 따른 ‘짠테크’ 경향으로 지출을 줄이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백화점 업계는 매출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소비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진 상황입니다.
리뉴얼에 따른 비용 증가가 백화점사의 어려움으로 작용했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강남점과 주요 점포의 리뉴얼 비용이 감가상각비로 증가하며 수익성 악화를 유발했습니다. 현대백화점 또한 리뉴얼을 통해 매출 성장을 도모하고 있으나, 초기 투자 비용이 영업이익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용 증가는 구조적으로 유통업계의 이익 감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GS리테일의 GS샵은 2023년에 매출 2,949억원, 영업이익 377억원을 기록하여 업계 수위권을 유지하였습니다. 홈쇼핑은 어려운 사업 환경 속에서도 모바일 중심의 역량 강화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고객 중심의 사업 구조 혁신을 통해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 주력 사업의 호실적을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현대홈쇼핑은 전통적으로 40~60대 여성 가정주부를 주요 고객층으로 삼고 있습니다. 하지만 는 2023년 1월에 런칭한 라이브커머스 프로그램 '구해왔쇼라'를 통해 2030세대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현대홈쇼핑은 남성 고객층을 겨냥하여 가전, 스포츠, 게임과 같은 높은 객단가의 제품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으로 2021년 대비 매출이 약 35% 증가하였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은 홈쇼핑 시장에서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3년에는 영업이익의 감소를 겪고 있다는 까닭에, 주변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은 혁신적이고 다양한 상품 구성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으나, 시장 내에서의 위치를 다시 점검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롯데백화점은 홈쇼핑 부문에서의 전략적인 접근과 고객군 다양화에 힘쓰고 있으나, 2023년 영업이익 면에서 감소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롯데백화점은 고객 요구에 더욱 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높습니다. 현재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2023년 한국의 메이저 홈쇼핑사들은 전반적으로 모바일 전략과 라이브커머스 도입을 통해 매출 성장을 달성했습니다. GS샵과 현대홈쇼핑은 이를 통해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으며, 특히 모바일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젊은층 공략이 성공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신세계백화점과 롯데백화점은 증가한 리뉴얼 비용과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따라서 각 홈쇼핑사는 향후 고객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인 경영 전략을 도입하고, 보다 효율적인 비용 관리 방안을 모색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에는 모바일 커머스와 라이브커머스 플랫폼의 확장을 통해 새로운 고객층을 유치하고,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GS리테일에서 운영하는 홈쇼핑 채널로, 모바일 중심의 전략을 통해 2023년 동안 매출 2,949억 원, 영업이익 377억 원을 기록하며 큰 성과를 냈습니다.
현대백화점 그룹에 속한 홈쇼핑 채널로, 모바일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2030세대 공략에 성공하며 매출 6,119억 원, 영업이익 71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메이저 백화점 중 하나로, 2023년 2분기 매출 1조 7,462억 원을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818억 원으로 감소함.
메이저 백화점 중 하나로, 2023년 매출 8,361억 원을 기록하였으나 영업이익은 589억 원으로 감소함.
현대홈쇼핑을 비롯한 여러 홈쇼핑사들이 도입한 실시간 모바일 쇼핑 서비스로, 젊은층을 공략하여 매출 증대 및 고객 재구매율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