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베트남 박닌성 신도시 개발 사업 타당성 분석

일일 보고서 2024년 09월 06일
goover

목차

  1. 요약
  2. 박닌성의 지역적 특성 및 경제적 배경
  3.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 계획
  4. 사회적 요구 및 환경적 고려사항
  5. 정부의 지원 및 정책 방향
  6. 종합적 평가 및 분석
  7. 결론

1. 요약

  • 본 리포트는 베트남 박닌성에서 추진 중인 동남신도시 개발 사업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타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박닌성의 경제적 배경, 주요 산업 인프라, 정부의 지원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4조6000억 원 규모의 신도시 개발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룹니다. 주요 인프라로는 5만 세대의 주택 건설과 850만㎡ 규모의 부지를 포함하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주도하는 친환경적 도시 설계를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또한, 한국과 베트남 정부 간의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과 정책 지원이 강조됩니다.

2. 박닌성의 지역적 특성 및 경제적 배경

  • 2-1. 박닌성의 위치와 환경

  • 박닌성은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에서 북쪽으로 약 18km 떨어진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베트남과 중국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 동맥에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지역의 경제적 성장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또한 박닌성은 중국과 ASEAN 자유 무역 지대의 형성으로 인해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2-2. 주요 산업 및 경제 지표

  • 박닌성은 다양한 산업 발전 지대가 자리하고 있으며, 15개의 산업단지가 있습니다. 이 중 9개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총 37억 달러가 넘는 272개의 외국인 직접 투자(FDI) 프로젝트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박닌성의 산업 구조는 농업, 임업, 어업이 5.3%, 산업과 건설이 75.6%, 서비스가 19.1%로, 경제 구조가 변동이 큽니다. 특히, 2015년 GRDP(총생산액)는 2014년에 비해 8.7% 증가하였고, 산업 생산액은 610조 동(약 6조 1천억 원)으로 9.1% 증가하였습니다.

  • 2-3. 인구 동향 및 노동력

  • 박닌성의 노동력은 83,000명 이상으로, 이는 지역의 산업 발전에 있어 중요한 자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수공예품을 생산하는 120개의 마을이 있으며, 이 중 62개는 주조 및 목재제품 등의 산업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편으로 박닌성의 총수출 회전율은 232억 USD로, 이는 6.4% 증가한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3.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 계획

  • 3-1. 신도시 개발 목표 및 규모

  • 박닌성 동남신도시는 총 사업비가 4조6000억 원에 달하며, 5만 세대의 주택을 건설하여 약 16만명이 거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개발 면적은 850만㎡로, 이는 판교 신도시와 유사한 규모입니다.

  • 3-2. 주요 개발 특징 및 부지 현황

  •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현장은 하노이에서 북쪽으로 약 18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제조업 중심의 산업단지가 인접해 있습니다. 해당 지역에는 삼성전자 및 100여곳의 전세계 전기ㆍ전자부품 업체가 위치하고 있어 산업적 잠재력이 큽니다. 토지 조성비는 2조6000억원이며, 도시계획은 15분 도시 비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3-3. 정부의 참여 및 지원 정책

  • 베트남 정부는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을 위해 지난해 5월에 마스터플랜을 승인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도시성장 동반자 프로그램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베트남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이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진행을 목적으로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4. 사회적 요구 및 환경적 고려사항

  • 4-1. 주거 공간 수요 및 해결 방안

  • 베트남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 프로젝트는 2060년까지 4조 6000억 원을 투입하여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도시화율을 현재 43%에서 2030년까지 50%로 상향 조정하고자 하는 베트남 정부의 정책에 따라 추진되고 있습니다. 동남신도시는 '15분 도시' 개념을 채택하여 모든 주택에서 학교와 공원까지 도보로 15분 이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계획입니다. 이러한 주거 공간의 수요는 인근 산업단지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의 실거주 장소 마련과 연관이 있으며, 이는 직주근접형 도시에 대한 요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4-2. 환경 친화적 도시 설계

  • 박닌성의 동남신도시는 첨단 친환경 기술을 적용하여 설계될 예정입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친환경적 접근 방식을 통해 도시 개발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개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동남신도시는 주거와 자족 기능이 결합된 융합 도시 모델로서 구성될 계획으로, 이로 인해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4-3. 사회적 인프라 구축 계획

  • 사회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계획은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LH는 신도시 생활권을 15개로 구분하고 각 권역마다 학교와 공원 등을 배치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다양한 사회적 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동남신도시는 인근에 위치한 산업단지와의 연계를 고려하여 경제적 활동을 극대화하고, 주민의 생활 편의성을 높일 것입니다.

5. 정부의 지원 및 정책 방향

  • 5-1. 한국 정부의 지원 및 협력

  • 한국 정부는 베트남의 도시 개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K-신도시'의 해외 수출을 위해, 투자개발 전문 기관인 해외인프라도시개발공사(KIND)의 민간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민관 공동사업을 추진하는 도시성장 동반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베트남 박닌성 동남신도시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에서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 5-2. 베트남 정부의 지원 및 개발 계획

  • 베트남 정부는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을 통해 한국의 'K-스마트 신도시' 모델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850만㎡(약 257만평) 면적에 약 11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개발되고 있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의 협력을 통해 추진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과 베트남 간에 체결된 양해각서(MOU)와 최근의 협정 체결은 이러한 계획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5-3. 관련 협약 및 협력 프로그램

  •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을 위해 체결된 협약은 한국과 베트남 간의 투자개발 사업을 활성화하는 초석이 됩니다. 특히, 국토교통부의 노력을 통해 공적개발원조(ODA)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연계한 패키지 지원이 계획되어 있으며, 상업성이 없는 부분은 베트남 정부가 EDCF를 통해 재정 발주사업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한국 기업이 본 프로젝트의 시행자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됩니다.

6. 종합적 평가 및 분석

  • 6-1. 경제적 타당성 평가

  •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 사업의 총사업비는 4조6000억원으로 추정되며, 5만세대의 주택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16만명이 거주할 수 있는 규모로, 박닌성의 제조업 중심지와의 인접성으로 경제 활성화가 기대됩니다. 주요 산업단지인 꾸에보와 박장 산단 주변에 위치하여 삼성전자 등 100여개의 기업이 가동 중입니다. 또한, 정부는 작년 5월 박닌성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승인한 이후 다양한 협약을 체결하여 신도시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 6-2. 사회적 및 환경적 영향 분석

  • 신도시 개발에 따라 사회적 인프라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의 도시성장 동반자 프로그램(UGPP)을 통해 한국의 개발 경험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환경 친화적인 설계 및 건설 방법이 채택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초가 될 것입니다.

  • 6-3. 프로젝트 성공 가능성 평가

  • 해외 도시개발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은 높아 보입니다. 박닌성은 한국의 정부와 기업들이 협력하여 비즈니스 상담회, 로드쇼 등을 진행하며 K-스마트시티의 확산을 지원할 것입니다. 또한, 장기적으로 베트남 정부와 협력 중인 UGPP를 통해 지역 개발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원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경제 변동성 및 국제 투자 환경의 변화는 지속적으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사항입니다.

7. 결론

  • 본 리포트는 베트남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서 충분한 타당성을 지닌다는 결론을 도출합니다. 박닌성의 활발한 경제 활동과 산업 인프라,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신도시 개발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참여하는 친환경적 설계와 사회적 인프라 구축은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러나 경제 변동성과 국제 투자 환경의 변화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래 전망으로는 K-스마트시티 모델 도입과 도시성장 동반자 프로그램(UGPP) 등을 통해 박닌성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경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성공적인 신도시 개발 사례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8. 용어집

  • 8-1. 박닌성 [지역]

  •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성으로, 하노이 북동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요 산업단지와 교통 동맥에 위치하여 경제 발전 잠재력이 높은 지역.

  • 8-2. 동남신도시 [프로젝트]

  • 베트남 박닌성에서 개발 예정인 신도시 프로젝트. 판교 신도시 규모로, 약 850만 제곱미터의 부지에 5만 세대 주택 건설 및 16만명 거주 목표.

  • 8-3. LH (한국토지주택공사) [회사]

  • 한국의 공기업으로, 베트남 박닌성 동남신도시 개발 프로젝트의 주도적인 개발사. 한국형 도시 개발 모델을 적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 중.

  • 8-4. 도시성장 동반자 프로그램 (UGPP) [프로그램]

  • 한국과 베트남 정부 간의 협력 프로그램으로, 박닌성 신도시 개발을 포함한 도시개발 협력을 통해 양국 간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목적.

9.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