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한국과 미국 검색 시장 강타한 AI 검색 서비스 '구버(Goover)'

저널리스트 노트 2024년 09월 29일
goover

목차

  1. 도입부
  2. 저널리스트 노트

1. 도입부

  • 여러 문서에서 구버(Goover)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한국과 미국에서의 AI 검색 서비스 혁신과 그 시장 잠재력을 분석하여 기사를 구성한다.

2. 저널리스트 노트

  • 한국과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검색 서비스 시장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바로 솔트룩스에서 개발하고 스핀오프한 스타트업 구버(Goover)다. 구버는 초거대 AI 검색 서비스로, 한국과 미국에서 2024년 7월 3일 동시 공개되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구버의 핵심 기능은 '애스크 구버(Ask Goover)'라는 AI 에이전트다. 이 기능은 거대언어모델(LLM)과 그래프 검색증강생성(Graph RAG)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특히, 개인화된 정보와 심층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

  • 또한, 구버는 '브리핑 페이지'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분석하고 싶은 주제를 자동으로 추적해준다. 이를 통해 뉴스, 소셜 미디어 반응, 인용문, 관련 인물 및 기업 정보를 카드뉴스 형태로 제공하며, 필요한 경우 AI 리포트와 분석 위젯까지 생성해준다.

  • 한국의 대표적인 검색 서비스 기업 네이버 역시 AI 검색 서비스 '큐(Cue:)'를 준비 중이다. 큐는 한국 문화에 특화된 질문을 잘 이해하고 답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검색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자기 성찰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 구버는 현재 한국과 미국 외에도 글로벌 시장에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구버의 대표, 이경일은 구버가 지적 노동에서 인류를 해방시키고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당 서비스가 AI 검색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3. 용어집

  • 3-1. 구버(Goover) [AI 검색 서비스]

  • 구버는 솔트룩스에서 스핀오프한 스타트업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 서비스 출시되었다. 거대언어모델(LLM)과 그래프 검색증강생성(Graph RAG) 기술을 적용하여, 개인화된 검색 결과와 심층 리포트를 제공하는 초거대 AI 검색 서비스다. 주요 기능으로는 '애스크 구버(Ask Goover)'와 '브리핑 페이지'가 있다.

  • 3-2. 솔트룩스 [AI 기업]

  • 솔트룩스는 구버를 개발한 인공지능 기업으로, 10년간 인공지능과 생성AI를 연구해왔다. 구버를 통해 전 세계 검색 서비스 시장에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 3-3. 애스크 구버(Ask Goover) [AI 에이전트]

  • 구버의 핵심 기능으로, 거대언어모델(LLM)과 그래프 검색증강생성(Graph RAG)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검색 결과와 출처를 제공한다.

  • 3-4. 브리핑 페이지 [기능]

  •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싶은 주제를 자동으로 추적해 관련 뉴스, 소셜 미디어 반응, 인용문 등을 카드뉴스 형태로 제공하고, 심층 리포트와 분석 위젯까지 생성해주는 기능이다.

  • 3-5. 큐(Cue:) [AI 검색 서비스]

  • 네이버가 준비 중인 AI 검색 서비스로, 한국 문화에 특화된 질문을 잘 이해하고 답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검색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자기 성찰 기법을 사용한다.

4.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