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2024년 한국의 디지털 산업 현황 및 주요 기술 동향 분석

일일 보고서 2024년 08월 17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한국 소프트웨어 회사 및 스타트업
  3. 인공지능(AI) 기술 발전 및 활용 현황
  4. 데이터 센터와 에너지 소비 문제
  5. 5G 특화망 및 통신 기술 발전
  6. 디지털 트윈 기술과 성장 전망
  7. AI 시대의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산업 동향
  8. K-뷰티와 디지털 전략
  9. 클라우드 기술 발전
  10. 디지털 금융과 AI 통합
  11. 결론

1. 요약

  • 본 리포트는 2024년 현재 한국의 디지털 산업 현황과 주요 기술 동향을 다룹니다.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디지털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 발전과 그 영향을 분석하며, 주요 기업과 그들의 혁신적인 솔루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DoBrain의 AI 기반 진단 앱, Quotabook의 핀테크 솔루션, VisualCamp의 시선 추적 기술, 이노그리드의 클라우드 기술, 이루온의 5G 코어 장비 개발 및 CJ올리브영의 K-뷰티 성공 사례 등을 다룹니다. 이외에도 AI 기술의 발전과 K-뷰티, 디지털 트윈 기술, 5G 특화망, 디지털 금융과 AI 통합, 데이터 센터 에너지 소비 문제 등도 상세히 분석합니다. 이러한 다채로운 내용을 통해 한국 디지털 산업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2. 한국 소프트웨어 회사 및 스타트업

  • 2-1. DoBrain과 Quotabook의 역할

  • DoBrain은 발달 지연 아동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진단 및 중재 앱을 제공합니다. 임상 시험 결과, DoBrain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표준 치료를 받은 아동들에 비해 5가지 인지 기능에서 현저한 개선을 보였습니다. DoBrain의 진단 알고리즘은 표준 진단 테스트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임상 시험에서 발달 지연을 93%의 정확도로 선별할 수 있습니다. Quotabook은 스타트업, 직원, 투자자를 위한 주식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핀테크 스타트업입니다. 주주 명부 관리, 분석 및 시뮬레이션 실행을 통해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주식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원들은 회사의 성장을 실시간으로 반영하는 스톡 옵션 기능을 통해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2-2. Seller Hub의 전자상거래 관리 플랫폼

  • Seller Hub는 온라인 판매자가 상품을 한 번의 업로드로 30개 이상의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에 동시에 전송하고, 모든 주문, 고객 응답, 결제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개별 전자상거래 웹사이트마다 별도로 회원가입을 할 필요 없이 10분 이내에 여러 판매 채널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Seller Hub는 자원 한정 판매자에게 판매 채널을 확장하고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원스톱 목적지입니다.

  • 2-3. VisualCamp의 시선 추적 기술

  • VisualCamp는 현재와 미래의 VR HMD 및 스마트폰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강력한 모바일 시선 추적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교육, 광고, 소매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제품 및 서비스 성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선 추적 소프트웨어를 제공합니다. 이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앱과 웹사이트에서 눈만으로 스크롤, 클릭, 제어하며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 2-4. Cloud 코딩 서비스 goorm 및 풀 스택 개발 프로그램 Code States

  • goorm은 클라우드 코딩 서비스 브랜드로,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교육, 평가, 개발 환경을 제공합니다. Code States는 12주간의 몰입형 풀스택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JavaScript, React, Node.js, SQL 등의 기술을 가르칩니다. 학생들은 800시간의 강의, 프로젝트 및 실습을 통해 이 기술들을 마스터할 수 있습니다.

3. 인공지능(AI) 기술 발전 및 활용 현황

  • 3-1. 개인정보 보호 위원회의 데이터 처리 가이드라인

  • 2024년 7월 17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인공지능(AI) 기술 활용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데이터 처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이 안내서는 공개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며, 기업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국민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AI 학습 데이터 사용의 법적 기준과 안전조치를 포함해 여러 기술적·관리적 조치를 마련하였습니다.

  • 3-2. K-뷰티 산업에서의 AI 접목

  • 삼일 PwC 경영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뷰티 산업에서 AI 기술이 광범위하게 접목되고 있습니다. 화장품 브랜드들은 하이브리드, 안티에이징, 클린뷰티 제품을 중심으로 리뉴얼되고 있으며, 로레알, 에스티로더 등 전통 뷰티 기업도 뷰티 디바이스와 AI 소프트웨어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연평균 26.1%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AI 기술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와 피부 분석, 제품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3-3. AI 기반 재정 관리 시스템

  • 한국은 현재 재정 적자가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AI 기반 재정 관리 시스템의 도입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AI 기술을 활용해 재정지출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예측 분석을 통해 재정 정책 결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주요국들이 인공지능을 중요한 전략으로 삼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역시 재정 정책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 기술을 적극 도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3-4. 디지털 트윈 기술과 AI의 융합

  • 디지털 트윈 기술은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가상 세계에 반영하여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로, AI와 IoT, 5G 기술의 융합을 통해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제조업, 자동차 산업, 의료, 건축 분야 등에서 활용되며, 제품 개발의 신속화와 품질 향상, 유지보수 효율화 및 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3-5. 사이버 보안에서의 AI 중요성

  • AI 기술의 발전은 사이버 보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I는 사이버 공격 방어 및 복원에 기여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공격의 정교함을 높여 사이버 공격에 악용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존 쇼 전 미국 우주군 부사령관은 사이버 보안 콘퍼런스에서 AI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투자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3-6. 한국과 독일의 AI 기술 협력

  • 한국과 독일은 에너지 신산업 및 기후 기술 분야에서 AI 기술 협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글로벌 데이터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서울대학교를 선정하였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양국 간의 기술 및 데이터 활용 능력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3-7. AI 헬스케어 서비스

  • AI 기반 건강관리 서비스는 개인 맞춤형 건강 정보 분석, 질병 상태 예측·분석 및 맞춤형 건강 정보·활동 추천 서비스로 구성됩니다. 웨어러블 기기와 패치형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은 고령화 사회와 의료비 증가에 대응하는 해결책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 3-8. 금융권의 AI 활용

  • 한국 금융권에서의 AI 활용 현황은 규제로 인해 제약이 많지만, KB국민은행 등 일부 금융사는 AI 기술 도입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그러나 망분리 규제 등으로 인해 AI 기술의 효과적인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반면, 글로벌 금융사들은 AI를 적극 활용해 금융서비스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4. 데이터 센터와 에너지 소비 문제

  • 4-1. 제주 인터넷 데이터 센터 설립

  • 제주도와 틸론은 2024년 8월 9일 '넷제로(Net-Zero)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협약은 5000억원 규모의 투자로 40㎿ 규모의 넷제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확장현실(XR) 스테이지와 3차원(3D) 메타버스 활용 콘텐츠 제작, 지역인재 채용, 디지털 혁신 협력, 그리고 환경, 역사, 관광 분야와 연계한 융복합 산업 육성 협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는 제주 지역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동시에 관광 명소로 조성될 계획입니다.

  • 4-2. AI 데이터센터 에너지 소비 문제와 해결 방안

  • AI 혁명의 부상으로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2년에서 2026년 사이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는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는 주로 AI 기술에 기인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빅 테크 기업들이 여러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반트 테크놀로지(Avant Technologies)는 침수형 AI 슈퍼컴퓨터 서버를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테슬라와 슈퍼마이크로는 액체 냉각 기술을 도입한 데이터센터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리얼티는 전 세계 170개 데이터센터에서 액체-칩 냉각 기술을 사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있습니다.

  • 4-3. 글로벌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효율성

  •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전략이 채택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슬라와 슈퍼마이크로는 액체 냉각 기술을 통해 냉각 인프라의 전력 비용을 최대 89%까지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디지털 리얼티는 액체-칩 냉각 기술을 통해 AI와 데이터 집중 응용 프로그램의 높은 밀도 작업 부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버티브는 무탄소 배출 백업 전력 생성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소비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신 플래시 기반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도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대비 전력과 공간 효율성을 제공하여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문제를 완화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5. 5G 특화망 및 통신 기술 발전

  • 5-1. 이루온의 5G 코어 장비 개발

  • 이루온이 5G 특화망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바로 코어 장비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이루온은 1998년에 설립된 통신 장비 개발 회사로, 한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약 80명의 R&D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3년 중소벤처기업부의 민관 공동 기술개발 사업에서 KT와 공동으로 설계 및 핵심기술 이전을 통해 코어 장비를 개발했습니다. 이에 따라 이루온 주가는 2023년 3월 30일 시간외 매매에서 9.94% 상승하여 종가보다 1526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5G 특화망 시장의 성장 기대감이 적용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5G 특화망은 VR, AR, 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주파수를 할당받아 제한된 구역에 구축되는 소규모 네트워크로, 초고속, 저지연, 초연결의 5G 특성을 살립니다. 코어 장비는 네트워크 내 단말에 대한 연결, 인증, 트래픽 제어, 가입자 관리 등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루온의 장비 개발은 독과점 시장을 깼다는 의미를 지니며, 이는 기존의 에릭슨, 노키아, 화웨이, ZTE, 삼성전자 외에는 없던 완성품 개발 상용화 사례에서 최초로 성공한 것입니다.

  • 5-2. 5G 특화망 시장 성장 전망

  • 국내 5G 특화망 시장 규모는 2027년까지 약 48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 중 5G 코어 장비 시장 규모는 약 3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코어 장비 시장 규모는 2027년까지 약 7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라고 그랜드뷰리서치는 보고했습니다. 이 같은 전망은 5G 특화망이 향후 다양한 산업에서 효율성과 비용 절감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된 결과입니다.

6. 디지털 트윈 기술과 성장 전망

  • 6-1. 디지털 트윈의 개념과 적용 사례

  • 디지털 트윈은 물리적 자산, 시스템 또는 프로세스의 가상 표현을 의미하며, 실제 개체를 반영하는 상세하고 역동적인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여 시뮬레이션, 모니터링, 분석 및 최적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기술은 제조, 의료, 스마트 시티, 항공우주 등 다양한 산업에서 실시간 모니터링, 예측 유지 관리 및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합니다. 주요 적용 사례로는 제조업에서의 생산 공정 시뮬레이션과 효율성 개선, 의료 분야에서의 환자 모니터링과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 항공우주 산업에서의 장비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예측 유지 관리 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General Electric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크게 개선하였습니다.

  • 6-2. 디지털 트윈 시장의 성장 가능성

  • 디지털 트윈 시장은 급성장 중입니다. 2022년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는 126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에는 129억 1천만 달러로 증가하였습니다. 향후 연평균 성장률(CAGR) 27.29%로 성장하여 2032년까지 1,407억 6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기업으로는 IBM, Siemens, General Electric, Microsoft 등이 있으며, 이들 기업은 R&D 투자와 기술 혁신을 통해 디지털 트윈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IBM은 고급 분석 기능과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디지털 트윈 기술의 정확성 및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Siemens는 Industry 4.0 원칙을 적용하여 여러 산업에서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7. AI 시대의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산업 동향

  • 7-1. CXL 기술의 개요 및 삼성전자의 CXL 2.0 D램

  • CXL(Compute Express Link) 기술은 CPU, GPU, 스토리지를 효율적으로 연결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과 메모리 성능을 확장하는 차세대 메모리 인터페이스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메모리 풀링, 고속 데이터 전송, 확장성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AI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환경에서 큰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삼성전자는 CXL 기반 제품 중 대표적으로 CXL 2.0 D램을 개발했으며, 이 제품은 메모리 풀링 기능을 지원하여 서버 플랫폼에서 다수의 CXL 메모리를 하나의 풀로 묶어 각각의 호스트가 풀에서 필요한 만큼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CXL 2.0 D램을 기반으로 한 256GB CXL 메모리 모듈의 양산을 계획하고 있으며, 미주, 유럽, 아시아의 45개 이상 업체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 7-2. AI 기술 발전에 따른 법적 이슈와 사이버 보안

  •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법적 및 사회적 이슈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AI 데이터 저작권 갈등은 AI 개발사와 콘텐츠 보유 회사들 간의 분쟁을 일으키고 있으며, 예로 영국의 온라인 커뮤니티 맘스넷은 오픈AI에 콘텐츠 저작권 침해를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과 딥페이크 범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AI 기반 사이버 공격 방지를 위해 제로트러스트 보안 전략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딥페이크 탐지 소프트웨어와 이중 인증 등의 보안 강화 조치가 필요합니다.

  • 7-3. 글로벌 반도체 시장 동향

  •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대만의 TSMC가 주요 경쟁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024년 2분기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 매출이 TSMC의 매출을 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메모리 업황 회복에 따른 실적 개선 덕분입니다. 반면, AI 반도체 시장에서는 인텔이 가우디 시리즈를 통해 엔비디아와 경쟁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GPU 기반 AI 고성능 칩으로 AI 시장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인텔, AMD, 엔비디아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은 AI 기술 발전과 함께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8. K-뷰티와 디지털 전략

  • 8-1. CJ올리브영의 K-뷰티 사업 성과

  • 최근 5년간 CJ올리브영의 매출은 매년 평균 18.5%씩 증가했습니다. 특히 2024년 매출은 5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영업이익률도 꾸준히 상승하여 2019년 4.5%에서 2023년에는 10%를 초과했습니다. 경쟁사인 롯데쇼핑의 롭스와 GS리테일의 랄라블라가 폐업한 후, CJ올리브영은 헬스 & 뷰티 스토어 부문에서 유일하게 남아 많은 점포를 개설했습니다. 자체 PB 브랜드 개발과 중소 브랜드 발굴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에서 PB 제품 매출액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연 평균 125% 성장했습니다.

  • 8-2. 글로벌 확장 전략

  • CJ올리브영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KCON LA 2024 행사에 역대급 규모의 부스를 운영하며 글로벌 K-뷰티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이 부스는 약 360m2 규모로 '올리브영 익스프레스'라는 이름 아래 최신 K-뷰티 트렌드를 신속히 전달하는 온라인몰 '올리브영 글로벌몰'을 구현하였습니다. 70여 개의 K-뷰티 브랜드 제품 200여 개를 전시하며, 주요 메이크업 브랜드 체험존도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CJ올리브영의 글로벌몰 회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고, 매출은 81% 증가했습니다. 북미 지역 고객의 비중이 70%를 넘어 미국과 캐나다 소비자들이 주요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 8-3. 온라인몰 운영과 글로벌 매출 성장

  • CJ올리브영은 전 세계 150개국에 K-뷰티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몰 '올리브영 글로벌몰'을 통해 글로벌 매출을 크게 성장시키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글로벌몰 회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하였고, 매출은 81%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북미 지역 소비자의 비중이 70%를 넘어서며, 미국과 캐나다의 소비자들이 주요 고객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9. 클라우드 기술 발전

  • 9-1. 이노그리드의 클라우드 기술 특허 및 발전

  • 클라우드 컴퓨팅 및 디지털 전환(DT) 전문 기업인 이노그리드는 최근 16건의 특허 등록 및 출원을 완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이노그리드는 총 98건의 클라우드 관련 특허를 보유하게 되어, 기술 기반의 클라우드 전문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확고히 했습니다. 현재 이노그리드는 자사 클라우드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부 R&D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발된 기술은 특허 출원 과정을 거쳐 권리를 확보하고 보호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신규 등록한 특허에는 타임라인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한 장애 예측을 이용한 멀티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메타버스를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쿠버네티스 기반 가상머신과 컨테이너의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가상머신 데이터 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멀티클라우드 서비스의 신뢰성을 강화하며,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리소스 최적화를 지원하는 등 클라우드 서비스의 혁신을 이루고 있습니다.

  • 9-2. 클라우드 풀스택 솔루션

  • 이노그리드는 IaaS, PaaS, CMP 등을 포함한 클라우드 풀스택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솔루션들은 특허받은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제품의 안정성과 실용성을 지속적으로 향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노그리드는 공공 전용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G-Cloudit'을 개발하여 클라우드 보안 인증(CSAP)을 획득하였으며,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장에서도 활약하고 있습니다. 이노그리드의 김명진 대표이사는 차별화된 클라우드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클라우드가 사회 전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이노그리드는 215건 이상의 지식재산권, 품질 인증, 상표 출원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멀티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10. 디지털 금융과 AI 통합

  • 10-1. 생성형 AI와 디지털 자산 통합

  • 생성형 AI는 금융 서비스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며, 특히 고객 소통 개선과 업무 효율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NH농협은행은 챗GPT 기반 AI뱅커의 통역 서비스를 통해 외국인 고객과 창구 직원 간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통합 측면에서는 STO와 CBDC 같은 다양한 디지털 자산이 발전 중입니다. STO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으로 증권화된 실물 자산에 다수의 투자자가 접근할 수 있게 합니다.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로, 한국은행은 이를 위한 파일럿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 10-2.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의 중요성

  •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는 모든 금융 서비스를 하나의 디지털 플랫폼 내에서 제공하는 은행 형태를 의미합니다. 2015년 공인인증서 사용 의무 폐지를 시작으로 간편결제 서비스가 도입되었으며, 2019년 오픈뱅킹의 시행과 함께 기존 금융업의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또한, 2020년 마이데이터의 도입으로 금융 빅데이터 산업이 활성화되었습니다. 금융그룹들은 클라우드 기반 경쟁력 강화와 AI 기술 도입을 통해 디지털 유니버설 뱅크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10-3. 빅블러 현상과 금융 혁신

  • 빅블러(Big Blur) 현상은 금융과 비금융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플랫폼의 확산에 의해 촉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내의 주요 금융지주들은 디지털 플랫폼 실적을 핵심성과지표로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전자상거래 사업에 집중하던 빅테크 기업들이 금융업에 진출함에 따라 나타난 변화입니다. 금융그룹들은 오픈 API와 BaaS(Banking as a Service) 모델을 통해 플랫폼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11. 결론

  • 본 리포트는 2024년 한국의 디지털 산업 전반을 아우르며 주요 기술 동향과 각 분야의 발전 현황을 상세히 분석했습니다. 주요 발견으로는 DoBrain의 AI 기반 진단 기술이 발달 지연 아동에게 큰 영향을 미쳤고, Quotabook이 스타트업의 자본 관리를 혁신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루온의 5G 코어 장비 개발은 통신 산업의 중요한 전환점이며, VisualCamp의 시선 추적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한편, 이노그리드는 클라우드 기술 발전의 선두주자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CJ올리브영의 K-뷰티 성장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확장 잠재력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소비 문제와 AI 기반 기술의 법적 이슈는 지속적인 주의와 개선이 필요합니다. 향후 디지털 산업은 클라우드, AI, 5G, 디지털 트윈 등의 기술이 더욱 융합되며 다양한 산업에 적용될 전망이며, 이러한 기술들이 국가 경제와 산업 생태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연구와 정책 지원을 통해 한국의 디지털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2. 용어집

  • 12-1. DoBrain [스타트업]

  • 발달 지연 아동을 위한 AI 기반 진단 앱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으로, 소프트웨어 산업의 혁신적인 사례입니다.

  • 12-2. Quotabook [스타트업]

  • 스타트업과 투자자를 위한 자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한국 핀테크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 12-3. VisualCamp [스타트업]

  • 모바일 시선 추적 기술을 개발하는 회사로, 다양한 산업에 시선 추적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12-4. 이루온 [기업]

  • 5G 특화망 코어 장비를 개발하는 통신 장비 회사로, 5G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12-5. 이노그리드 [기업]

  • 클라우드 기술 발전을 위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풀스택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 12-6. CJ올리브영 [기업]

  • K-뷰티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글로벌 확장과 온라인몰을 통해 매출 성장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13.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