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아마존의 프라임데이가 미국 소매업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일일 보고서 2024년 08월 14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프라임데이 개요 및 배경
  3. 프라임데이 매출 및 주가 영향
  4. 경쟁 소매업체의 대응
  5. 프라임데이와 소비자 반응
  6. 프라임데이가 소매업계에 미친 장기적 영향
  7. 결론

1. 요약

  • 본 리포트는 아마존의 프라임데이가 미국 소매업 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합니다. 아마존의 매출 성장과 주가 변화, 주요 경쟁 업체들의 대응 전략을 중심으로 아마존이 미국 최대 유통업체로 부상하게 된 과정을 다룹니다. 2015년에 시작된 프라임데이는 유료 프라임 회원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할인 행사로, 매년 큰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2024년 프라임데이에서는 두자릿수 판매 증가율로 약 14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아마존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에 대응해 월마트와 타겟 등 경쟁 소매업체들도 다양한 할인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프라임데이의 소비자 반응과 글로벌 소매업체들의 대응 전략 역시 중요한 분석 대상입니다.

2. 프라임데이 개요 및 배경

  • 2-1. 프라임데이의 정의 및 역사

  • 프라임데이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이 2015년부터 시작한 대규모 할인 행사입니다. 이 행사는 유료 프라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월 14.99달러 또는 연 139달러를 지불하는 소비자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하지 않은 소비자들도 무료 체험판을 통해 할인 혜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프라임데이는 1년에 한 번 개최되며, 전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2-2. 프라임데이의 목적과 주요 행사

  • 프라임데이의 주요 목적은 프라임 회원을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할인 행사를 통해 아마존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것입니다. 이 행사는 아마존의 지배적인 입지를 강화하고,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올해 프라임데이는 미국 현지 시간으로 7월 16일부터 17일까지 이틀간 진행되었습니다. 아마존은 프라임데이를 통해 매출과 주가에서 큰 성장을 이루었고, 이는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프라임데이 행사에서는 약 3억7500만 개 이상의 품목이 판매되었고, 이는 아마존 역사상 단일 최대 규모의 판매일이었습니다.

3. 프라임데이 매출 및 주가 영향

  • 3-1. 프라임데이 매출 분석

  • 아마존은 2024년 프라임데이에서 두자릿수 판매 증가율을 기록하며 첫날에만 72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1.7% 증가한 수치입니다. 어도비 어낼리틱스에 따르면, 이번 프라임데이 기간 동안 약 140억 달러의 매출이 예상되며, 이는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모바일 쇼핑만으로도 35억 달러의 매출이 발생해 올해 들어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 3-2. 프라임데이가 아마존 주가에 미친 영향

  • 아마존 주가(AMZN)는 2024년 프라임데이 전후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습니다. 아마존 주가는 올해 들어 27% 상승했으며, 지난 12개월 동안 44% 올랐습니다. 프라임데이 다음 날 평균 0.2%, 그 다음 주에는 1.7%, 그 다음 달에는 4.3%의 주가 상승이 있었습니다. 올해는 AI 쇼핑 도우미 추가로 인해 프라임데이에 추가 모멘텀이 발생했습니다.

  • 3-3. 클라우드 서비스(AWS)와 소매업의 매출 비교

  • AWS는 아마존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부문이지만, 매출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부문은 소매업입니다. 2023년 기준, AWS는 총 매출의 16%를 차지하며, 온라인 판매는 40.3%, 제3자 판매자 서비스는 24.4%를 차지했습니다. AWS 매출의 연간 성장률은 13%이지만, 타사 판매자 서비스의 증가율은 18%에 이릅니다. 아마존의 소매 부문의 효율성 향상은 EBITA 마진을 2022년 2.4%에서 2023년 9.9%로 크게 증가시켰습니다.

4. 경쟁 소매업체의 대응

  • 4-1. 월마트와 타겟의 대응 전략

  • 아마존의 프라임데이에 대응하여 월마트와 타겟은 자체 할인 이벤트를 통해 고객을 유치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월마트는 7월 8일부터 11일까지 '월마트 딜 이벤트'를 진행하였고, 타겟은 7월 7일부터 13일까지 '서클 주간' 동안 할인 행사를 펼쳤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아마존의 프라임데이에 대응한 것으로, 두 회사 모두 고객을 분산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출처: 아마존 소매업 지배력 강화…美 최대 유통업체 될 것 | 한국경제)

  • 4-2. 글로벌 경쟁 소매업체의 할인 행사

  • 아마존의 프라임데이에 맞서 글로벌 경쟁 소매업체들도 자체 프로모션을 실시했습니다. 콜스와 신규 업체인 틱톡샵, 테무 등은 아마존보다 앞서 여름 프로모션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할인 행사는 아마존 프라임데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을 분산시키기 위한 시도였지만, 아마존의 프라임데이의 영향력을 완전히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출처: 해외직구족 주목, ‘아마존 프라임데이’ 뭐길래…美 월가도 관심 집중)

  • 4-3. 국내 이커머스의 반응

  • 국내 이커머스 업체들은 아마존 프라임데이를 맞아 다양한 할인 행사를 준비하여 고객 맞이에 열을 올렸습니다. 아마존 프라임데이가 글로벌 세일 행사로 자리잡으면서, 국내 이커머스도 이에 영향을 받아 이벤트를 기획하는 등 여러 대응책을 마련하였습니다. (출처: 해외직구족 주목, ‘아마존 프라임데이’ 뭐길래…美 월가도 관심 집중)

5. 프라임데이와 소비자 반응

  • 5-1. 소비자 혜택 및 할인율 분석

  • 아마존 프라임데이는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이 2015년부터 유료 프라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1년에 한 번 열리는 대규모 할인 행사입니다. 월 14.99달러 또는 연 139달러를 지불하는 소비자가 대상이며, 가입하지 않았던 소비자가 할인 혜택을 원한다면 30일간 무료로 프라임 멤버가 될 수 있는 프로모션을 제공합니다. 소비자 데이터 회사 뉴머레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프라임데이 쇼핑객 대부분은 최대 40%의 제품 할인을 받았다고 분석했으며, 설문 응답자들은 품목의 4분의 1이 60% 이상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되는 것을 보았다고 답했습니다.

  • 5-2. 소비자 구매 행동 변화

  • 프라임데이는 미국 블랙프라이데이에 버금가는 할인 폭에 세계적인 세일 행사로 자리 잡았으며, 7월 세일은 소매업체가 학용품 쇼핑을 앞서 시작하려는 고객을 유치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AP통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지난해 프라임데이 행사가 회사 역사상 단일 최대 규모의 판매일이 되었으며, 고객이 3억7500만개 이상의 품목을 구매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행사는 아마존의 글로벌 매출에서 1~2%를 차지하며, 시장조사 기업 이마케터 추산에 따르면, 아마존 프라임데이 글로벌 매출은 2023년에 125억달러(한화 약 17조2837억원)로 증가했습니다.

6. 프라임데이가 소매업계에 미친 장기적 영향

  • 6-1. 아마존의 소매업 지배력 강화

  • 아마존은 16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프라임데이 쇼핑 행사로 전자상거래와 소매업계에서 지배적 위치를 더욱 강화했습니다. 지난 해 프라임데이 이벤트에서 역대 최대 매출을 올린 바 있으며, 올해도 약 140억 달러(한화 약 19조3,900억 원) 매출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상 최고 액수가 될 전망입니다. 이러한 지배력 확대는 월마트와 타겟 등의 주요 경쟁 소매업체들이 유사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게 만들었습니다. 아마존의 3분기 총상품가치는 약 1,930억 달러(한화 약 267조 원)로 전망되며, 프라임데이가 이 중 6.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아마존 주가는 올해 27% 상승했고, 지난 12개월간 44% 상승하였습니다.

  • 6-2.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 변화

  • 프라임데이는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마존의 소매 부문은 전체 매출의 40.3%를 차지하며, 제3자 판매자의 서비스 매출도 24.4%로 높은 기여도를 보였습니다. 이 외에도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는 작년 총 매출의 16%를 차지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프라임데이와 같은 대규모 할인 행사를 통한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 확대가 주된 요인입니다.

  • 6-3. 소매업체들의 장기적 전략 변화

  • 프라임데이의 영향으로 주요 소매업체들은 장기적인 전략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월마트는 7월 8일부터 11일까지 월마트 딜 이벤트를 진행하였고, 타겟은 7월 7일부터 13일까지 서클 주간 동안 할인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러한 전략 변화는 프라임데이의 성공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특히 아마존의 경우 프라임데이 이후 주가가 평균 0.2% 상승하고, 그 다음 주에는 1.7%, 그 다음 달에는 4.3%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프라임데이가 경쟁 소매업체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합니다.

7. 결론

  • 본 리포트는 아마존 프라임데이가 미국 소매업 시장에서 주요한 역할을 했음을 입증합니다. 아마존은 프라임데이 행사로 매출 및 주가에서 큰 성장을 이루었으며, 이는 전자상거래 및 소매업 내 지배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경쟁 소매업체인 월마트와 타겟도 이에 대응해 유사한 할인 행사를 진행했으나, 아마존의 영향력을 완전히 막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프라임데이는 아마존이 미국 최대 유통업체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소비자들에게도 큰 혜택을 제공했습니다. 다만, 리포트는 프라임데이의 장기적 영향과 아마존의 소매업 지배력 강화에 따른 시장 독점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추가 연구와 조치가 필요하며, 앞으로도 프라임데이가 전자상거래와 소매업에 미칠 영향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러한 분석은 향후 소매업 시장의 발전 방향과 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8. 용어집

  • 8-1.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

  • 아마존 프라임데이는 2015년부터 시작된 아마존의 연례 대규모 할인 행사입니다.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전자상거래와 소매업에서 아마존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는 주요 도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8-2. AWS (Amazon Web Services) [기술]

  • AWS는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으로, 회사 내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사업부입니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아마존의 전체 매출에도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 8-3. 월마트 [회사]

  • 월마트는 미국의 대표적인 소매업체로, 아마존 프라임데이에 대응하여 자체 할인 행사인 월마트 딜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경쟁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9.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