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2023년도 입시결과와 의대 정원 증가에 따른 약대 합격 전략

일일 보고서 2024년 07월 07일
goover

목차

  1. 요약
  2. 의대 정원 증가와 입시 변화
  3. 약대 입시 결과 분석
  4. 전략적 지원 방법
  5. 입시 전문 컨설팅 및 학습 지원 프로그램
  6.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는 2023년도 입시결과와 앞으로 의대 정원이 증가하게 될 상황에서 내신 등급 1.85를 가진 학생이 약대에 합격할 수 있는 전략을 분석합니다. 주요 주제는 의대 정원 증가로 인한 입시 변화, 주요 약대의 입시 결과 및 지원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의대 정원이 대폭 증가하며 의대로의 쏠림 현상이 강화되고 이는 약대 및 기타 의약 계열의 합격선을 하락시킬 가능성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아주대학교 약학과의 경우 수시 합격선이 내신 등급 2.0, 정시 합격선이 96.7점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비수도권 약대 및 지역인재전형 활용, 수능 성적 관리, 입시 전문 컨설팅 프로그램 활용을 통한 전략적 지원 방법도 다루고 있습니다.

2. 의대 정원 증가와 입시 변화

  • 2-1. 의대 정원 증가 개요

  • 2025학년도 대입에서 의대 정원이 3058명에서 5058명으로 2천명(65.4%) 증가합니다. 이는 2006년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대규모 정원 증원입니다. 2023학년도 기준으로 비수도권 의대 모집정원은 총 3662명으로, 같은 해의 수능에서 수학 1등급을 받은 비수도권 학생 수인 3346명보다 많습니다. 이는 수학 1등급을 받지 않은 학생들에게도 비수도권 의대 진학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2-2. 의대 쏠림 현상과 그 영향

  • 의대 정원 증가가 이공계 최상위권 학생들 사이에서 의대로의 쏠림 현상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특히, 현재 서울대·고려대·연세대 합격생의 45.4%가 의대 합격권에 해당되나, 2천명 정원 증가로 인해 78.5%(3802명)까지 의대 합격권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로 인해 다른 의약 계열 - 한의대, 치대, 약대의 합격선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 2-3. 비수도권 의대 및 지역인재전형 확대

  • 비수도권 의대의 경우, 모집정원이 2~4배 증가하여 입시가 수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역인재전형으로 총 1068명을 선발하던 것을 내년에는 2000명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지역인재전형 지원 자격은 해당 지역에서 고등학교 전 교육과정을 마친 학생으로 한정되며, 경쟁률은 수시모집에서 전국 단위 전형(29.5 대 1)에 비해 낮은 10.5 대 1로 나타납니다. 정시모집의 경쟁률도 전국 단위 전형(9.1 대 1)보다 낮은 4.9 대 1입니다.

3. 약대 입시 결과 분석

  • 3-1. 2023년도 약대 입시 결과

  • 2023학년도 아주대 약학과의 수시 종합전형 합격선은 내신 등급 2.0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시 합격선은 96.7점으로, 전년도의 94.7점에 비해 상승했습니다. 약학과의 수시 경쟁률은 15명 모집에 881명이 지원해 58.7대 1로, 전년도 45.3대 1보다 상승했으며, 정시 경쟁률은 4.6대 1로 전년도 44.1대 1 보다 큰 폭 하락했습니다.

  • 3-2. 비수도권 약대의 합격선 및 경쟁률 분석

  • 아주대 의약학계열은 의대, 약대, 간호대를 포함하여 모두 수능 최저기준을 적용합니다. 의대의 경우 종합전형의 합격선은 내신 등급 2.4로, 정시 합격선은 97.3점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수시 일반전형에서 의대 경쟁률은 논술전형 10명 모집에 398.2대 1, 종합전형 20명 모집에 44.2대 1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간호학과의 정시 합격선은 87.0점으로, 전년도 84.5점에 비해 상승했습니다.

  • 3-3. 수능 최저기준과 내신 성적의 중요성

  • 아주대 의학계열의 경우, 수시와 정시 모두 수학과 탐구에서 특정 과목을 지정하지 않아 인문계 학생도 지원이 가능하지만, 수학 반영비율이 의대는 40%, 약대와 간호학과는 35%로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인문계 학생은 불리할 수 있습니다. 내신 성적 기준으로는 교과전형 간호학과 2.0등급, 종합전형 약학과 2.0등급, 의학과 2.4등급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능 최저기준이 높기 때문입니다.

4. 전략적 지원 방법

  • 4-1. 비수도권 약대 집중 공략

  • 의대 정원 증가로 인해 비수도권 약대의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의대 정원의 상당 부분이 비수도권에 배정되면서 비수도권 약대의 경쟁률이 하락하고, 입학 정원이 늘어나게 되면 입시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년도 비수도권 의대 모집정원은 총 3662명으로, 이는 2023학년도 수능에서 수학 1등급을 받은 비수도권 고3 학생(3346명)보다 많습니다. 이를 토대로, 비수도권 약대 지원을 전략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4-2. 수능 성적 관리

  • 아주대 의학계열의 경우, 수학 반영비율이 의대 40%, 약대와 간호학과는 35%로 나머지 과목에 비해 높게 반영됩니다. 특히, 수학에서 미적분이나 기하를 응시한 경우 3%의 가산점을 주기 때문에 수학 성적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2023학년도 의학과 정시 합격선은 97.3점, 약학과는 96.7점이었으며, 수학 점수가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따라서 수능 성적을 특히 수학에서 최상위권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4-3. 지역인재 전형 활용

  • 비수도권 의대의 지역인재전형 비율이 확대되면서, 비수도권 학생들이 지역인재전형을 통해 입학 기회를 늘릴 수 있습니다. 27개 비수도권 의대에서 지역인재전형으로 총 1068명을 선발하던 것에서 내년에는 2000명 이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역인재전형은 경쟁률이 전국 단위 전형보다 낮고, 성적대도 상대적으로 낮은 특성이 있어 비수도권 학생들에게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지난해 입시에서 지역인재전형의 수시모집 경쟁률은 10.5대 1로, 전국 단위 전형(29.5대 1)의 3분의 1 수준이었습니다.

5. 입시 전문 컨설팅 및 학습 지원 프로그램

  • 5-1. 입시 전문 컨설팅 활용

  • 입시 전문 컨설팅은 학생이 입시에 필요한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잇올 스파르타'는 의대관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특별 장학을 지원합니다. 이 장학 프로그램은 성적 기준에 따라 100% 혹은 50%의 장학금을 제공하며, 수시와 정시 전략 컨설팅도 포함됩니다. 또한, 의대관 관리 프로그램은 '잇올랩(LAB) 입시전략연구소'에서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을 제공합니다.

  • 5-2.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성적 향상

  • '잇올 스파르타'는 다양한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성적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통유리 1인실과 같은 개인 공간에서 공부할 수 있으며, 교재 제공 이벤트 및 순공 시간 배틀 등 학습 의욕을 고취하는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됩니다. 또한, 학생들은 생기부 등의 제출 서류를 정확하게 준비해야 하며, 성적 기준을 충족해야 장학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 프로그램들은 학생들의 성적 향상뿐만 아니라 자기 관리 능력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6. 결론

  • 내신 등급 1.85인 학생이 약대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전략적 준비와 맞춤형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의대 정원의 2천명 증가로 고득점 학생들이 의대로 집중되며, 의대 합격선이 올라가고 약대 합격선도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비수도권 의대와 약대의 정원 및 경쟁률 변화를 고려해 비수도권 약대와 지역인재전형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지역인재전형 경쟁률은 전국 단위 전형보다 현저히 낮아 비수도권 학생들에게 유리한 편입니다. 수능 성적 관리, 특히 수학에서의 고득점이 중요하며, 입시 전략 컨설팅을 통해 자신에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잇올 스파르타' 프로그램의 입시 전략 컨설팅을 활용하면 보다 체계적이고 맞춤형 준비가 가능합니다. 이 모든 준비를 통해 변화하는 입시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7. 용어집

  • 7-1. 아주대학교 약학과 [대학]

  • 아주대학교 약학과의 2023년도 입시 결과 및 합격선, 수시와 정시 경쟁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023년도 수시 종합전형에서 15명 모집에 881명이 지원해 58.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였고, 정시 경쟁률은 4.6대 1로 하락했습니다.

  • 7-2. 지역인재전형 [입시 전형]

  • 비수도권 의대 및 약대 입시에 활용되는 전형으로, 해당 지역 고교 출신 학생들이 지원 가능합니다.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낮고 합격선 유리할 수 있습니다.

  • 7-3. 입시 전략 컨설팅 [서비스]

  • 입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개인 맞춤형 입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들이 목표하는 대학에 합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수시와 정시의 맞춤형 전략을 제시합니다.

8.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