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솔트룩스의 AI 검색 플랫폼 '구버(Goover)'의 도전과 성과

일일 보고서 2024년 07월 18일
goover

목차

  1. 요약
  2. 솔트룩스 '구버'의 개요 및 출범
  3. '구버'의 글로벌 시장 도전
  4. '구버'의 기술적 우수성
  5. 구버(Goover)의 시장 반응과 평가
  6. 구버의 미래 전망
  7.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는 국내 AI 기업 솔트룩스의 AI 검색 플랫폼 '구버(Goover)'의 발전 과정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과를 다룹니다. '구버'는 AI 기반의 검색 서비스로, 전 세계 웹 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정보를 종합하여 최적화된 답변과 심층 리포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리포트는 솔트룩스가 '구버'를 개발한 배경과 주요 기능, 그리고 '루시아(Luxia)'와 '커넥톰(Connectome)' 기술을 적용하여 만들어진 AI 검색 엔진의 특성을 소개합니다. 또한, '구버'가 한국 및 미국 시장에서 동시 출시된 뒤 공공 및 금융기관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도입된 사례를 분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도전과 성과,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그 영향력을 평가합니다.

2. 솔트룩스 '구버'의 개요 및 출범

  • 2-1. 솔트룩스의 구버 개발 배경

  • 구버는 인공지능 기업 솔트룩스에서 10년간 인공지능과 생성 AI를 연구한 조직이 스핀오프 되어 설립된 스타트업 기업입니다. 실리콘밸리에 소재한 미국법인 구버(Goover.ai)는 초거대 AI 검색 서비스 구버를 한국과 미국에 동시 공개하며 전 세계 1,200억 달러(약 146조) 규모에 달하는 검색 서비스 시장 점령에 나섰습니다.

  • 2-2. 구버의 주요 기능 및 특징

  • 구버는 AI 기반의 검색 서비스로서, 메인 기능인 '애스크 구버(Ask Goover)'를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답변과 심층 리포트를 자동으로 제공합니다. 시스템은 생성형 AI를 통해 사용자가 검색한 주제와 관련된 뉴스, 소셜 미디어 반응, 인용문, 관련 인물이나 기업 등의 정보를 카드뉴스 형태로 나열합니다. 또한, 이를 통해 자동 생성된 AI 리포트, AI가 수집한 맞춤 및 추천 정보, 분석 위젯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셜 브리핑 탭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브리핑 페이지와 유사한 주제로 생성된 타 사용자의 브리핑 페이지를 추천받으며, 원할 경우 이를 열람하거나 구독할 수 있습니다. 구버는 정보의 최신성과 정확성이 중요한 금융 투자, 벤처캐피탈, 마케팅, 전략 기획, 리서치, 방송 미디어 분야에서 폭넓게 쓰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2-3. 구버의 AI 기술 구성

  • 구버의 핵심인 '애스크 구버(Ask Goover)'는 강력한 AI 에이전트로 솔트룩스의 '루시아(Luxia)' 등의 거대언어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사용자가 등록한 정보와 전 세계 웹 정보를 종합하여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합니다. 또한, 기업 맞춤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온프레미스 및 어플라이언스 형태로 보안성까지 강화한 엔터프라이즈 버전도 출시 예정입니다. 이러한 기술적 혁신은 구버가 정보과잉 시대에 효과적으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관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3. '구버'의 글로벌 시장 도전

  • 3-1. 한국 및 미국 동시 출시

  • 구버는 솔트룩스의 미국법인에서 개발한 초거대 AI 검색 서비스입니다. 10년간 인공지능과 생성AI를 연구한 조직이 스핀오프 되어 설립된 이 스타트업은 2023년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출시하며 전 세계 1,200억 달러(약 146조 원) 규모에 이르는 검색 서비스 시장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구버'는 AI 기반의 검색 서비스로 한국과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사용자는 구버의 공식 웹사이트(Goover.ai)를 통해 회원 가입 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가 수백만 개 사이트를 직접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으며, 보고서 형태로도 받아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참고: go-public-news-eng-N3168484828870825327-0-0)

  • 3-2. 구버의 미국 시장 진출 전략

  • 구버의 미국 시장 진출 배경에는 치열한 검색 엔진 경쟁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이 있었습니다. 솔트룩스의 '구버'는 사용자 맞춤형 검색 기능과 심층 리포트 생성을 통해 구글 등의 기존 강자와 경쟁합니다. AI 뇌 '커넥톰(Connectome)'이라는 기술을 적용해 전 세계 다양한 언어의 웹 정보를 탐색하고, 사용자가 개별 등록한 유료 구독 서비스까지 활용하여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합니다. 강력한 AI 에이전트 역할을 수행하는 '애스크 구버(Ask Goover)'는 그래프 검색증강생성(Graph RAG) 기술을 적용 받아, 정보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였습니다. (참고: go-public-news-eng-N3168484828870825327-0-0)

  • 3-3. 글로벌 시장에서 솔트룩스의 성장 배경

  • 솔트룩스는 10년 간의 인공지능과 생성AI 연구를 통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술력을 쌓았습니다.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된 구버는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특히 미국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여러 테크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구버의 주요 기능으로는 맞춤형 정보 제공, 심층 리포트 생성, 언어 번역, 정보 요약 등이 있으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구버가 제공하는 '브리핑 페이지'에서는 사용자가 모니터링하고 싶은 주제에 대한 자동 트래킹과 심층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 go-public-web-kor-3239031886130789866-0-0, go-public-web-eng-3349521329822335362-0-0)

4. '구버'의 기술적 우수성

  • 4-1. 루시아 AI 모델과 그래프 검색증강생성(Graph RAG) 기술

  • '애스크 구버(Ask Goover)'는 AI 에이전트로, 솔트룩스의 '루시아(Luxia)' 등 거대언어모델(LLM)과 그래프 검색증강생성(Graph RAG) 기술이 적용되었습니다. 이 기술들은 전세계 다양한 언어로 분산된 웹 정보와 사용자가 등록한 유료 구독 서비스까지 탐색하여 질문에 최적화된 답변과 출처를 제시합니다. 또한 심층 질의응답과 정보 추천, 요약, 번역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 4-2. 구버의 커넥톰(Connectome) AI 뇌

  • 구버의 핵심인 '커넥톰(Connectome)'은 전 세계 웹에서 맞춤형 정보를 찾아 자동 생성된 심층 리포트까지 제공하는 초거대 AI 검색 서비스입니다. 이는 검색 및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4-3. 심층 리포트 및 맞춤형 정보 제공

  • 사용자는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확보할 뿐 아니라 보고서 형태로도 받아볼 수 있습니다. 구버는 지속적 모니터링 및 분석을 통해 브리핑 페이지를 개설하고, 뉴스, 소셜 미디어 반응, 인용문, 관련 인물이나 기업 등의 정보를 카드뉴스 형태로 나열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자동 생성된 AI 리포트, 맞춤 및 추천 정보, 분석 위젯 등을 제공합니다.

5. 구버(Goover)의 시장 반응과 평가

  • 5-1. 공공 및 금융기관에서의 구버 도입

  • 솔트룩스의 AI 검색 플랫폼 구버(Goover)는 여러 공공 및 금융기관에서 활발히 도입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한글과컴퓨터의 웹한글 기안기는 2018년 출시 이후 300곳이 넘는 교육기관, 금융사, 기업 등이 선택한 제품입니다. 구버 역시 이러한 공공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사용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구버는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호환되며, 최근 더욱 많은 공공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 5-2. 사용자 경험 및 피드백

  • 구버 사용자들은 구버의 성능과 호환성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공공 시장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구버는 HTML5를 지원하여 다양한 웹 브라우저에서 문서 읽기와 편집이 가능하고,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합니다.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높였습니다.

  • 5-3. 매출 및 영업 성과 분석

  • 솔트룩스는 2021년 38억7000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매출은 전년 대비 23.57% 증가했습니다. 이는 공공 및 금융기관에서 구버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솔트룩스는 구버와 같은 AI 기반 서비스의 적극적인 도입을 통해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고 주가를 제고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자회사 플루닛과의 협력으로 인공지능과 전문 리서치 산업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6. 구버의 미래 전망

  • 6-1. 향후 업데이트 및 기능 강화 예정

  • 솔트룩스는 구버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기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AI 기반 검색 엔진의 고도화, 더 다양한 언어 지원, 맞춤형 정보 추구 기능의 개선 등이 포함될 예정입니다. 특히, 구버의 AI 뇌 '커넥톰(Connectome)'은 웹에서 맞춤형 정보를 검색하고 심층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사용자에게 더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 6-2. 추가 시장 진출 가능성 및 타겟

  • 현재 구버는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출시되었습니다. 앞으로의 추가 시장 진출 가능성으로는 유럽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특히, AI 기반의 검색 엔진이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 많은 시장에서의 도입이 기대됩니다.

  • 6-3. 기술적 발전 방향

  • 구버는 솔트룩스의 AI 에이전트 '루시아(Luxia)'를 기반으로 거대언어모델(LLM)과 그래프 검색 증강 생성(Graph RAG) 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다양한 언어로 산재된 웹 정보를 탐색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유료 구독 서비스까지 포함하여 매우 최적화된 답변과 출처를 제공합니다. 구버는 지속적으로 AI 모델을 고도화하고 더 정확하고 빠른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7. 결론

  • 본 리포트는 솔트룩스의 AI 검색 플랫폼 '구버'의 개발 배경과 핵심 기능, 글로벌 시장에서의 도전 및 성과를 상세히 분석하였습니다. '구버'는 루시아(Luxia)와 커넥톰(Connectome) 등 혁신적인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정보 제공과 심층 리포트 생성 기능을 통해 정보 과잉 시대에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공공 및 금융기관의 도입 사례는 '구버'의 실질적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며, 사용자의 긍정적인 피드백은 제품의 만족도를 높였습니다. 다만 한계점으로는 특정 시장에 제한된 도입 사례와 초기 단계의 기술적 문제를 들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솔트룩스는 구버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AI 검색 엔진의 고도화와 더 다양한 언어 지원 등을 통해 앞으로의 발전 방향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과가 기대됩니다.

8. 용어집

  • 8-1. 솔트룩스 [회사]

  • 솔트룩스는 AI 및 빅데이터 분야의 선두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AI 검색 플랫폼 '구버'와 다양한 AI 솔루션이 있습니다. 2000년 창립 이후 자연어처리(NLP), 빅데이터 분석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8-2. 구버(Goover) [제품]

  • 구버는 솔트룩스의 AI 검색 플랫폼으로, AI 기반의 맞춤형 정보 제공 및 심층 리포트 생성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 출시되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8-3. 루시아(Luxia) [기술]

  • 루시아는 솔트룩스의 자체 AI 모델로, 구버의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로서, 그래프 검색증강생성 기술이 적용되어 최적화된 답변을 제공합니다.

  • 8-4. 커넥톰(Connectome) [기술]

  • 커넥톰은 구버의 AI 뇌로, 전 세계 웹에서 맞춤형 정보를 분석하고 자동으로 리포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9.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