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리포트는 카카오브레인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초거대언어모델 '코GPT'의 개발 주역인 김일두 대표의 퇴사와 관련된 최근 사건들을 다룹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김일두 대표의 경력과 역할, 퇴사 이유, 그리고 카카오브레인의 조직 변화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코GPT' 프로젝트의 현황과 도전, 카카오의 AI 전략 재정비 과정이 자세히 다뤄져 있어 카카오브레인의 현재 상태와 미래 방향성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카나나라는 새로운 AI 전담 조직의 신설과 AI 서비스 재정비 과정이 중요한 부분으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2024년 6월 19일 자진 퇴사했습니다. 김 대표는 개인적인 사유로 퇴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카카오브레인 측은 이에 대해 추가적인 언급을 자제하고 있습니다. 김 대표는 이후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리서치'를 창업할 예정입니다.
김일두 대표는 2012년 카카오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입사하여 다양한 AI 서비스 연구 및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2018년부터는 카카오브레인에서 딥러닝 알고리즘 연구팀장을 역임하였으며, 2021년 카카오브레인 대표로 선임되었습니다. 김 대표는 '코(Ko)GPT'라는 초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주도하였으며, 오픈AI의 '챗GPT' 한국판으로 주목받기도 했습니다.
김일두 대표의 퇴사 배경에는 카카오브레인의 사업 일부가 양수도된 영향이 있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카카오는 AI 전담 조직 '카나나'를 신설하며 AI 연구·개발 부문을 본사에 통합했습니다. 카카오브레인은 헬스케어 부문만 남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김 대표가 퇴사를 결정하게 된 것 아니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카카오브레인 측은 김 대표의 퇴사 이유에 대해 '개인상의 사유'라는 공식 입장만을 밝히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AI 전략 재정비의 일환으로 새로운 AI 전담 조직인 '카나나'를 신설했습니다. 카나나는 사용자 중심의 AI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카카오는 AI 서비스 공개에 속도를 내고자 합니다. 이는 김일두 대표의 퇴사와 맞물려 조직 재편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카카오브레인의 AI 연구·개발 및 관련 사업 부문을 본사에 통합하는 과정을 밟았습니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브레인 인력 전원이 카카오로 이동 완료 되었으며, 헬스케어 사업부만 남아 있습니다. 카카오브레인의 기존 AI 서비스도 카카오의 새로운 AI 전략에 맞추어 재정비되고 있습니다.
카카오브레인의 헬스케어 부문은 통합 과정 이후에도 계속 남아 있습니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중 하나는 흉부 엑스레이 사진의 판독문을 작성하는 ‘카라-CXR’입니다. 이는 카카오브레인의 지속적인 헬스케어 관련 AI 개발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KoGPT 2.0의 출시가 반복적으로 지연되고 있습니다. 작년 하반기 출시를 예고했으나, 현재까지 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홍은택 전 카카오 대표는 2023년 8월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10월 이후 카카오브레인에서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균형적으로 갖춘 AI 파운데이션 모델, 대규모 언어 모델인 KoGPT 2.0을 공개할 예정'이라 말했습니다. 그러나 지연이 반복되자 프로젝트 실패 의혹도 제기되었습니다. (go-public-web-kor-2080034995821499382-0-0)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와 일부 개발자들이 카카오브레인을 떠났습니다. 김 대표는 2024년 6월 20일에 카카오브레인에서 자진 퇴사하였으며, 이는 카카오브레인의 AI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김 대표와 함께 일부 개발자들도 퇴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 카카오브레인은 김병학 각자 대표의 단독 체제로 전환되었습니다. (go-public-web-kor-716458258355789794-0-0 / go-public-web-kor-N6090974895969607764-0-0)
KoGPT는 한국어 특화 AI 초대규모언어모델(LLM)입니다. 김일두 대표는 카카오브레인에서 이 프로젝트를 이끌며 주도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러나 김 대표의 퇴사와 함께 개발팀 일부도 떠나면서 프로젝트의 미래가 불확실해졌습니다. 카카오는 충분한 기술력을 확보했으나, 내부 테스트가 진행 중이라며 출시 지연에 대해 설명해왔습니다. (go-public-web-kor-2080034995821499382-0-0 / go-public-web-kor-N6090974895969607764-0-0)
카카오는 기존의 AI 서비스 중 일부를 종료하고 재정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코GPT' 개발의 주역이었던 김일두 대표의 퇴사와 함께 '칼로' 서비스가 2024년 7월 31일부로 종료될 예정입니다. 이는 카카오의 새로운 AI 서비스 방향성에 맞추기 위한 재정비 과정의 일환입니다.
카카오는 '코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모델 개발 및 출시에 집중하기보다는, 카카오다운 차별성을 지닌 새로운 AI 서비스 개발에 집중한다는 계획입니다. 사용자 중심의 AI 서비스를 연내에 공개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를 위한 AI 전담 조직 '카나나'를 신설하였습니다.
카카오는 자체 AI 모델 부재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AI 서비스의 재정비와 새로운 AI 서비스 개발을 통해, 카카오만의 차별화된 AI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입니다. 이는 카카오가 AI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김일두 대표의 퇴사와 KoGPT 프로젝트의 지연은 카카오의 AI 전략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습니다. 김일두 대표는 카카오브레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초거대언어모델 'KoGPT' 개발을 주도해왔지만, 그의 퇴사로 인해 프로젝트가 일시적으로 제동이 걸렸습니다. 이에 카카오는 AI 재정비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시도 중이며, 새로운 AI 전담 조직인 카나나를 신설해 사용자 중심의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물론, KoGPT의 출시 지연과 개발팀의 이탈은 단기적인 한계를 드러냈지만, 카카오는 더 나은 AI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략을 재정비하며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미래에는 카카오다운 AI 서비스라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리포트에서 밝혀진 한계와 도전 과제를 바탕으로, 향후 카카오의 AI 전략과 KoGPT의 발전을 주의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김일두는 카카오브레인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초거대언어모델 '코(Ko)GPT' 개발을 주도한 인물로, 카카오에서 2012년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입사하여 2021년 대표로 선임되었습니다. 그의 퇴사는 카카오의 AI 전략 재정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KoGPT는 카카오브레인에서 개발한 한국어 특화 초거대언어모델(LLM)로, AI 기반의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 KoGPT 2.0의 출시 지연과 함께 팀 이탈로 인해 현재 개발 상황에 대한 여러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카나는 카카오가 신설한 AI 전담 조직으로, 사용자 중심의 AI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조직은 카카오의 새로운 AI 전략의 중심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