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리포트는 신한카드가 제시한 2023년과 2024년의 소비 트렌드 키워드인 ‘co-EXIST’와 ‘SPARK’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행동 변화를 분석합니다. 2023년에는 ‘소비 디톡스’, ‘밀도 있는 취향 탐구’, ‘하이브리드 라이프’, ‘건강 스펙 시대’, ‘컬러풀 소사이어티’라는 5가지 세부 키워드가 주요 소비 트렌드로 나타났습니다. 2024년에는 ‘시간 혁명’, ‘협업 가족’, ‘펀플레이션 시대’, ‘자극 양극화’, ‘테이스티 엔터테인먼트’가 새로운 소비 키워드로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리포트는 각 키워드와 연관된 주요 소비 현상과 데이터를 제시하며, 신한카드 고객의 2022년 및 2023년 소비 트렌드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주목할만한 변화와 패턴을 발견하였습니다.
소비 디톡스의 시대는 소비를 무작정 줄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해 보다 가성비 있고 현명하게 소비하려는 생활 모습을 의미합니다. 유통기한이 임박한 식품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의 이용이 증가하고, 필요한 쿠폰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하며 불필요한 쿠폰은 판매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모바일 쿠폰 거래 플랫폼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 고객의 2022년도 1~9월, 유통기한 임박 식품몰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이용 건수는 22%, 이용회원 수는 17%, 이용금액은 10% 증가했습니다. 모바일 쿠폰 거래 플랫폼 이용 건수는 2022년 3분기 누적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2022년 1~9월의 소셜데이터 언급량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소비 디톡스와 관련된 단어인 ‘반값’의 언급은 12%, ‘앱테크’는 46%, 무지출챌린지는 864% 증가했습니다.
밀도 있는 취향 탐구는 관심 분야를 전문적으로 파고드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일반인에게 어렵게 느껴졌던 전문 분야도 개인의 취향과 취미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전문 영역을 배울 수 있는 플랫폼의 이용도 늘어나고 있는 현상을 말합니다. 특별한 사람들의 고급 취향으로 여겨졌던 미술, 프리미엄 주류 등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신한카드 고객의 2022년 1~9월 미술관·화랑 이용액은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습니다. 특히 20·30세대는 55%, 그 이외 연령대는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일 기간에 주류 특화 플랫폼 이용액은 457% 증가했습니다.
하이브리드 라이프는 팬데믹의 영향으로 인한 디지털·로봇 기술의 발달로 인간과 기계가 조화를 이루는 일상 공간이 많아지는 현상을 지칭합니다. 키오스크와 서빙 로봇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무인으로 운영되는 매장이 간편식·문방구 등 다양한 업종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 고객의 2022년 1~9월 무인 매장 이용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으며, 동 기간 세탁소 무인 매장은 22%, 아이스크림은 31%, 간편식 86%, 카페 96%, 문방구 무인 매장은 623% 늘어났습니다. 워케이션 언급은 전년 동기 대비 319% 증가했으며, 긱노동과 관련된 단어의 언급량은 긱워커 49%, 프리랜서 29%, 플랫폼 노동 19% 증가했습니다.
건강 스펙 시대는 건강에 대한 높아진 관심으로 인해 이제 건강은 단순히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관리해서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스펙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설문 조사에서도 정신 건강을 위한 활동이나 진료의 필요성을 20·30세대 중심으로 크게 공감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가 정신건강의학과 이용을 분석한 결과, 2022년 3분기 이용회원 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1분기 대비 16% 증가했습니다. 또한 '필요할 때 정신과 진료 의향이 있다'는 문항에 대한 응답 비율은 20대 32.5%, 30대 42.1%, 40대 32.2%, 50대 33.3%, 60대 23.5%로 나타났습니다.
컬러풀 소사이어티는 소수 집단이 새로운 소비 계층으로 여겨지며, 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비즈니스가 주목받는 등 개개인의 특성을 다채로운 컬러로 이해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한 예로, ‘먹방’이 주류를 이루던 식문화에서 ‘소식좌’라는 이름으로 소식하는 이들을 조망하며, 이혼한 이들을 의미하는 ‘돌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과거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신한카드가 소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2년 1월 대비 2022년 9월 먹방 언급량은 34% 감소한 반면, 소식좌 언급량은 4,766% 증가했습니다. 돌싱 관련 단어 중 긍정 감성어 비중은 2019년 3분기 누적 45.9%에서 2022년 동 기간 62.3%로 1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한카드는 첫 번째 키워드로 '시간 혁명(Start the Time Revolution)'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시간 대비 효율을 의미하는 시성비를 느낄 수 있는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개인이 시간의 주권을 가지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가사 및 육아 외주화와 생성형 AI 활성화 등으로 고정된 노동 시간을 해방시켜주는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팬데믹을 경험하며 발달한 디지털 · 비대면 기술은 예약의 일상화 등을 통해 시간을 창조하고 보다 적극적인 삶의 변혁을 가능케 했습니다. 신한카드 고객의 2023년 1~3월 가사노동 플랫폼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9년 동기 대비 2030세대의 이용 비중은 77%에서 57%로 감소한 반면, 4060세대는 23%에서 43%로 20% 증가했습니다. 이는 노동 외주 플랫폼에 대한 관심이 전 연령대로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두 번째 키워드인 '협업 가족(Pivot Family Model)'은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로 다양한 가족 구성원이 육아와 살림을 함께 분담하는 새로운 협업 가족의 증가를 나타냅니다. 경제력을 갖춘 조부모 세대는 가정 내 양육 및 돌봄 주체로 떠오르고 있으며, 남성의 가정 및 육아에 대한 인식 변화로 남성의 자녀 육아 참여 또한 확대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 고객의 2023년 1~9월 육아 관련 업종 이용 현황 분석 결과, 2019년 동기 대비 60대 이상의 이용 건수 증가율이 어린이 박물관 35%, 키즈카페 80%, 소아과 59%, 학습지 115%로 크게 증가한 반면, 60대 이하의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작았습니다. 또한 동일 기간 산후 조리원 이용 건수는 45%, 건당 금액은 30% 증가했습니다. 남성의 평일 마트 이용 비중도 43%에서 45%로 증가했으며, 키즈카페 이용도 40% 증가했습니다.
세 번째 키워드 '펀플레이션 시대(Age of Funflation)'는 재미(Fu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로 장기화된 경제 불황 속에 즐거움을 찾고자 경험에 지출을 늘리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소비 공간은 체험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박물관, 미술관, 갤러리 등 예술 공간 방문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 고객의 2023년 1~6월 예술 공간 이용 유형별 경험 소비를 분석한 결과, 박물관 이용자의 경우 도서구매 19%, 영화관 16%, 해외여행 10%, 운동경기 14%를 소비했습니다. 미술관 이용자의 경우 각각 18%, 갤러리 이용자는 16%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예술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외부로부터 영감과 자극을 얻을 수 있는 소비 영역에 관심이 높음을 보여줍니다.
네 번째 키워드 '자극 양극화(Ripples of Stimulating Polarization)'는 극대화된 감각 및 경험 추구 현상이 심화되고, 중독된 '도파민' 해독 경향도 나타나는 등 양극단의 경험을 추구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자극적인 음식과 인스턴트 콘텐츠 소비와 더불어 저당 및 디톡싱 제품 소비가 동시에 증가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 고객의 2023년 1~9월 마라탕 전문점 이용자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2%, 25%, 33%, 25% 증가했습니다. 2023년 1~10월 샐러드 및 건강식 전문점 이용 건수는 51% 증가했으며, 청음실 이용 건수는 22%, 이용 금액은 18%, 이용자수는 20% 증가했습니다.
마지막 키워드 '테이스티 엔터테인먼트(Keep an eye on Tasty Entertainment)'는 불경기 속에서 명품보다 진입 장벽이 낮은 음식 영역이 새로운 사치재로 부상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고급 식자재나 한 가지 식재료만 판매하는 그로서리 마켓이 인기를 끌고, 브랜드와 푸드 컬레버레이션도 확장되고 있습니다. 신한카드 고객의 2023년 1~11월 그로서리스토어 이용 분석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이용 금액은 30.8%, 이용 건수는 11.4%, 건당 금액은 17.4% 증가했으며, 이 중 30대 비중이 46%로 증가세를 이끌었습니다.
리포트에 따르면 신한카드는 2023년과 2024년 소비 트렌드를 ‘co-EXIST’와 ‘SPARK’로 정의하였습니다. 2023년의 ‘co-EXIST’는 다양한 변화의 수용과 공존을 강조하며 소비자가 가성비 높은 소비, 전문 분야에 대한 관심 증가, 디지털·로봇 기술의 활용 등으로 생활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024년의 ‘SPARK’는 시간의 효율적 사용, 가사와 육아의 협업, 경제 불황 속에서의 경험 지출 증가 등을 통해 소비자가 새로운 일상과 삶의 만족을 추구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주요 발견 사항은 신한카드가 고객의 소비 패턴을 면밀히 분석해 미래의 소비 트렌드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의 니즈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전략적인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소비 트렌드의 변화는 기업들이 보다 개인화된 서비스와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것입니다. 향후에는 이러한 트렌드를 통해 신한카드가 더욱 발전하고,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한카드는 대한민국의 주요 신용카드 회사 중 하나로, 고객의 소비 패턴 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소비 트렌드를 예측하는 데 주력합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신한카드가 제시한 2023년과 2024년의 소비 트렌드 키워드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변화를 살펴봅니다.
소비 디톡스, 밀도있는 취향 탐구, 하이브리드 라이프, 건강 스펙 시대, 컬러풀 소사이어티 등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여 공존하는 2023년 소비 트렌드. 신한카드가 제시한 키워드로, 여러 연구와 이벤트에서 사용됨.
시간 혁명, 협업 가족, 펀플레이션 시대, 자극 양극화, 테이스티 엔터테인먼트 등을 포함하는 2024년 소비 트렌드 키워드. 신한카드가 다양한 소비자의 행동 변화를 분석하여 예측한 중요한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