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중국 로봇 산업 현황과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전망

일일 보고서 2024년 07월 03일
goover

목차

  1. 요약
  2. 중국 로봇 산업의 성장 배경 및 현황
  3. 중국의 기술 혁신 및 글로벌 경쟁력
  4.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분석
  5. 성공적인 사례: 유비테크(Ubtech)의 혁신
  6. 중국 로봇 산업의 해외 시장 진출 전략
  7.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는 중국 로봇 산업의 현재 상태와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발전 및 전망에 대해 다룹니다. 주요 목적은 중국의 로봇 기술 성장 배경, 시장 규모, 지역별 클러스터, 기술 혁신, 글로벌 경쟁력 및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동향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중국은 서비스 로봇의 생산량이 2022년에 950만 대를 넘었고, 산업용 로봇 판매량은 39만 대로 글로벌 시장의 52.5%를 차지했습니다.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연평균 50.2% 성장률로 2035년까지 38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유비테크 같은 기업은 혁신적인 제품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통해 로봇 기술에서의 글로벌 리더십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2. 중국 로봇 산업의 성장 배경 및 현황

  • 2-1. 중국 로봇 산업 성장의 주요 원인

  • 중국 로봇 산업의 성장은 주로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서비스 로봇의 생산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950만 1500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중국의 로봇 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용 로봇 판매량 또한 세계 최대 수준입니다. 2022년 중국 산업용 로봇 판매량은 39만 258대로, 글로벌 시장의 52.5%를 차지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기술 혁신, 연구개발 투자, 정책적 지원 등 여러 요인에 기여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응용 분야의 확대가 큰 역할을 했습니다.

  • 2-2.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

  • 2023년 중국의 로봇 산업 전체 영업 매출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며 1700억 위안(약 32조 4326억원)을 넘었습니다. 중국 전자학회에 따르면, 2024년 중국 로봇 산업 시장 규모는 174억 달러(약 23조 3508억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이 중 산업용 로봇 시장이 87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할 것이며, 서비스 로봇과 특수용 로봇은 각각 37%, 13%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의 서비스 로봇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 및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확대가 이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 2-3. 중국 로봇 클러스터와 지역별 특화

  • 중국은 베이징, 선전, 상하이, 둥관, 항저우 등 여러 지역에 로봇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특화된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베이징은 지능형 로봇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선전은 주로 서비스 로봇 산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상하이와 둥관은 다양한 로봇 기술을 통합하고 있으며, 항저우는 애플리케이션 통합 발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들 클러스터는 기술 혁신과 협력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3. 중국의 기술 혁신 및 글로벌 경쟁력

  • 3-1. 핵심 기술에서의 돌파구

  • 중국은 로봇 핵심 산업 기술인 컨트롤러, 서보 드라이버, 감속기 분야에서 현저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이로 인해 중국은 로봇 기술 핵심 분야에서 글로벌 선두에 서게 되었습니다. 또한 중국은 인공지능 기술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글로벌 특허 출원 수량에서도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3-2.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

  • 중국은 이미 9년 연속 글로벌 산업용 로봇 설치 비중의 50%를 차지하며, 산업용 로봇 최대 시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22년 중국의 로봇산업 전체 매출액은 32조 6천억 원에 달하며,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의 생산 규모가 각각 44만 3천 대, 645만 8천 대에 이릅니다. 특히 중국의 로봇 기술 수준은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적 위치에 있으며, 2023년에는 로봇산업 전체 영업 매출이 약 1700억 위안 (약 32조 4326억원)으로 두 자릿수 성장을 거두었습니다. 중국의 산업용 로봇 시장 점유율은 2012년에 14%에서 2022년에는 52.5%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 3-3. 특허 출원 및 기술 발전 현황

  • 중국은 로봇 기술 분야에서 높은 특허 출원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 기술 혁신에 있어서도 글로벌 선두 수준에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술 혁신을 통해 중국은 로봇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은 컨트롤러, 서보 드라이버, 감속기 등 로봇 핵심 기술에서 현저한 진전을 이루었으며, 협동 로봇 분야에서도 발전이 있었습니다. 또한 중국은 베이징, 선전, 상하이, 둥관, 항저우 등지에 대표적 로봇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각 지역별로 특화된 로봇 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4.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분석

  • 4-1.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와 전망

  • 중국 로봇 시장의 성장은 몇 가지 주요 요인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The Stock'에 따르면,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연평균 50.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35년에는 380억 달러(약 52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중국 화촹증권은 2030년 휴머노이드 로봇 평균 판매 가격이 현재 45만 9000위안(약 8470만 원)에서 16만 2000위안(약 2990만 원)으로 65% 이상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로봇 산업에 대한 막대한 투자에 기인합니다.

  • 4-2. 주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기업들

  • 중국의 주요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기업으로는 '유비테크'와 '부스터로보틱스' 등이 있습니다. 'The Stock'에 따르면, 부스터로보틱스는 최근 수십억 원 규모의 프리A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 회사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BR002'은 뛰어난 운동 성능을 자랑합니다. 미국의 보스턴 다이나믹스, 테슬라의 옵티머스2, 피규어AI의 피규어 01, 앱트로닉의 아폴로, 어질리티 로보틱스의 디짓 등도 중국과 글로벌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 4-3. 휴머노이드 로봇의 응용 분야

  • 휴머노이드 로봇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인간을 보조하는 단순 노동 역할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생성형 AI 두뇌를 장착하여 제조업, 서비스, 의료, 교육, 재난 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The Stock'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로봇은 특히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간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5. 성공적인 사례: 유비테크(Ubtech)의 혁신

  • 5-1. 유비테크의 주요 성과

  • 유비테크(Ubtech)는 글로벌 1위 전기차 제조사인 비야디(BYD)의 중국 내 물류창고에 자동화 로봇을 공급하고 있으며, 2022년 말 기준 전 세계에 설치된 55만3052대의 산업용 로봇 중 52%에 달하는 29만258대가 중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비테크는 홍콩 증시에 상장된 후 주가가 두 배 가까이 상승하며 176.1홍콩달러에 거래를 마쳤고, 시가총액은 약 13조원에 이릅니다. 이러한 성과는 유비테크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습니다.

  • 5-2. 워커 S 로봇의 역할과 기능

  • 유비테크의 워커 S(Walker S) 로봇은 중국 둥펑자동차의 자동차 조립라인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이 로봇은 안전벨트 검사, 도어록 테스트, 차체 품질 검사, 오일 충전 및 라벨 부착 등 복잡한 제조 작업을 수행합니다. 워커 S는 1.7미터의 키를 가지고 있으며, 공장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융합 제어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41개의 고성능 서보 조인트를 통해 작동하며 환경을 인식하고 물체 및 사람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고급 감각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5-3. 글로벌 시장에서 유비테크의 위치

  • 유비테크는 글로벌 휴머노이드 기업 '톱10'에 속하며 샤오미, 푸리에인텔리전스 등과 함께 경쟁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현재 글로벌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5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60%까지 오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중국 내 로봇 자급률도 50%를 넘어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유비테크의 이러한 성과는 중국이 자동화 로봇으로 '세계의 공장' 타이틀을 다시 찾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6. 중국 로봇 산업의 해외 시장 진출 전략

  • 6-1. 기술과 브랜드 업그레이드

  • 중국 로봇 산업은 기술과 브랜드 업그레이드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중국 산업용 로봇 판매량은 39만 258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52.5%를 차지했으며, 지속적인 고속 성장률을 유지해 왔습니다. 중국은 로봇 기술의 핵심인 컨트롤러, 서보 드라이버, 감속기 등에서 현저한 진전을 이루었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로봇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 6-2. 해외 협력과 글로벌 시장 개척

  • 중국 로봇 산업은 해외 협력과 글로벌 시장 개척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중국은 글로벌 시장에서 2012년 14%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었으나, 2022년에는 52.5%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국 로봇 기업들은 해외 협력과 국제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였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로보스타는 중국 시장 뿐만 아니라 베트남 시장에도 진출하여 자동화 설비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2003년도에 중국 상해에 법인을 설립한 로보스타는 현재 북경, 허페이, 심천, 충칭, 우한 등 주요 전략 거점에 사무실을 운영하며 중국 자동화 시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 6-3.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인센티브

  • 중국 로봇 산업은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과 인센티브를 통해 성장해 왔습니다. 중국 정부는 로봇 산업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의 서비스 로봇 시장은 정책적 지원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로보스타는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로봇 및 로봇시스템 사업을 국내외 업체와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가전제품 조립용 로봇이나 스크류체결 로봇시스템, 스마트폰 조립 로봇 등의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7. 결론

  • 중국 로봇 산업은 강력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 시장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유비테크의 워커 S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은 이를 상징하는 사례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술 경쟁과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과 투자가 필요합니다. 또한, 국제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마트제조 14.5 발전규획’ 같은 정부 정책은 이러한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중국 로봇 산업의 미래는 낙관적이며, 앞으로 글로벌 로봇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8. 용어집

  • 8-1. 유비테크(Ubtech) [회사]

  • 중국의 선도적인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기업. 워커 S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도입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8-2. 워크 S(Walker S) [제품]

  • 유비테크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AI 기반의 실시간 상호작용 및 복잡한 제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자동차 제조 라인 등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8-3. 스마트제조 14.5 발전규획 [정부 정책]

  • 중국 정부가 추진 중인 전략적인 제조업 발전 계획으로, 로봇 및 인공지능 기술을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9.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