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클라우드 보안 위협 탐지와 대응: CSPM의 주요 기능 분석

일일 보고서 2024년 07월 22일
goover

목차

  1. 요약
  2. 시각화 기능
  3. 컴플라이언스 평가
  4. 모니터링 기능
  5. 위험 식별
  6. 사고 대응
  7. 자산 관리
  8.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에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조치하기 위한 CSPM(Cloud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의 주요 기능을 분석합니다. 주요 기능에는 시각화, 컴플라이언스 평가, 모니터링, 위험 식별, 사고 대응 등이 포함되며, 이들 기능이 클라우드 보안 환경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대시보드를 통해 리소스 가시성을 높이고, 컴플라이언스 평가 기능을 통해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하며,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잠재적 위협을 실시간으로 감시합니다. 또한, 위험 식별과 사고 대응을 통해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CSPM이 클라우드 보안 이슈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시각화 기능

  • 2-1. 대시보드 및 세부 View

  • CSPM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 중 하나는 대시보드 및 세부 View를 통해 주요 형상 및 위협의 시각화 수단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리소스 현황과 보안 설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각 정보 항목은 관련된 메뉴 및 페이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네이버클라우드뿐만 아니라 2024년 4월 기준 Azure/AWS의 대한 지표도 확인할 수 있어, 리소스에 대한 가시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 2-2. 리소스 가시성 확보

  • 대시보드 및 세부 View를 통해 리소스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모든 리소스와 보안 설정을 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상 행위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와 호스트별 자산 정보와 설정한 애플리케이션 감시 정책에 의해 발생한 로그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클라우드 리소스와 보안 상태를 감시할 수 있습니다.

  • 2-3. 기간별 통계 확인

  • 대시보드는 클라우드 리소스와 보안 설정의 현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기간별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기간 동안 클라우드 리소스의 변경 사항이나 보안 위협의 추이를 파악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인 보안 관리가 가능합니다.

3. 컴플라이언스 평가

  • 3-1. 보안 프레임워크 기준 평가

  • 공유된 문서에 따르면 CSPM에서는 클라우드 상의 각 상품별 설정을 주요 보안 프레임워크 기준으로 규정 준수 여부를 평가합니다. 이는 리소스의 설정이 국내외 보안 규제를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컴플라이언스 평가 기능을 활용하여 보안 프레임워크에 맞췄는지 판별하는 과정을 통해 기업의 보안 강화를 도모할 수 있습니다.

  • 3-2. 상품별 설정 규정 준수 여부

  • CSPM에서는 각 상품별 설정이 보안 프레임워크의 규정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환경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설정이 주요 보안 프레임워크를 준수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규정을 위반하는 설정에 대해서는 알림을 제공하여 즉각적인 조치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사전에 식별하고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모니터링 기능

  • 4-1. 잠재적 위협 지속 모니터링

  • CSPM의 모니터링 기능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다양한 설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잠재적 위협을 식별합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리소스의 보안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탐지할 수 있습니다. Metanet의 Cloud Security Watcher는 호스트 감시와 애플리케이션 감시를 통해 클라우드 자산에 대한 상태와 로그를 지속적으로 추적합니다. 자산 현황, VM의 생성/삭제/변경, 오토스케일, 애플리케이션 설치/삭제/업데이트 등 중요한 변화를 감시하여 보안 위협을 사전에 감지합니다.

  • 4-2. 이상 행위 알림 발생

  • Metanet의 Cloud Security Watcher는 잠재적 위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이상 행위가 발생할 경우 즉시 알림을 발생시킵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잠재적 보안 위협이 실제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사전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해당 알림 기능은 클라우드 리소스의 가시성을 높이고 보안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각 클라우드 상품별 설정을 주요 보안 프레임워크 기준으로 평가하고,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항목을 식별하여 위험을 우선순위별로 정의합니다.

5. 위험 식별

  • 5-1. 위험 식별 및 우선순위 정의

  • CSPM(Cloud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보안 위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요 기능 중 하나는 '위험 식별 및 우선순위 정의'입니다. Cloud Security Watcher는 모니터링 및 평가 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위협을 식별합니다. 클라우드 인프라의 설정 및 리소스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면서 이상 행위를 감시하고, 발견된 위협을 우선순위에 따라 분류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로그는 자산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어 클라우드와 호스트별 자산 정보와 연계됩니다. 참고 문서: Metanet, "CSPM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 docId: go-public-web-kor-7354535235779640868-0-0, docId: go-public-web-kor-N8417662707808959641-0-0, docId: go-public-web-kor-4400292156342402233-0-0

6. 사고 대응

  • 6-1. 교정 및 위협 완화

  • Cloud Security Watcher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조치하는 데 도움을 주는 주요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교정 및 위협 완화 기능은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되어 이상 행위 또는 문제 발생 시 이를 식별하고 신속하게 대응하여 위협을 완화합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성이 강화되며, 잠재적 위협으로부터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6-2. 이슈 발생 시 조치

  • Cloud Security Watcher는 다양한 보안 이슈가 발생할 때 이를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슈 발생 시 조치 기능을 통해 클라우드 리소스의 현황과 보안 설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관련된 메뉴 및 페이지와 연결하여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를 통해 기간별 통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교정 작업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네이버클라우드뿐만 아니라 Azure/AWS와 같은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의 지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자산 관리

  • 7-1. 클라우드 및 호스트별 자산 정보

  • 자산 관리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 위협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조치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클라우드와 호스트별 자산 정보는 CSPM 시스템의 중추적인 기능으로, 각 자산의 상태 및 변동 사항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기록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클라우드 리소스의 가시성을 높이며, 자산의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VM(가상 머신)의 생성, 삭제, 변경, 그리고 오토스케일링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보안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 7-2. 애플리케이션 감시 정책

  • 애플리케이션 감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입니다. CSPM 시스템은 OS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업데이트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이를 통해 비정상적인 활동이나 잠재적 위협을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합니다. 또한 설정한 애플리케이션 감시 정책에 의해 발생한 로그를 통해 자세한 활동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로그는 잠재적 보안 위험을 선제적으로 식별하고 대응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됩니다.

8. 결론

  • 이 리포트에서 분석한 CSPM의 주요 기능들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보안 위협을 효과적으로 탐지하고 대응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시각화 기능은 네이버클라우드, Azure, AWS와 같은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의 리소스 가시성을 확보합니다. 컴플라이언스 평가는 규정 준수를 보장하며,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지속적으로 잠재적 위협을 감시합니다. 위험 식별과 우선순위 정의를 통해 발견된 위협을 우선적으로 조치하며, 사고 대응 기능은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CSPM의 모든 기능이 완전무결한 것은 아니며, 특히 복잡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모든 잠재적 위협을 완벽히 탐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향후 클라우드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CSPM의 기능 향상과 더불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더불어, Cloud Security Watcher와 같은 제품들은 이러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클라우드 보안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9. 용어집

  • 9-1. CSPM [기술]

  • CSPM(Cloud Security Posture Management)은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고 잠재적 위협을 식별하는 기술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시각화, 컴플라이언스 평가, 모니터링, 사고 대응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9-2. Cloud Security Watcher [제품]

  • Cloud Security Watcher는 CSPM 솔루션 중 하나로, 클라우드 리소스와 보안 설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제공하며, 다양한 보안 기능을 통해 클라우브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합니다.

  • 9-3. 네이버클라우드 [회사]

  • 네이버클라우드는 대한민국의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로, CSPM 솔루션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위협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9-4. Azure [회사]

  • Azure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CSPM 솔루션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잠재적 위협을 탐지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9-5. AWS [회사]

  • AWS(Amazon Web Services)는 아마존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입니다. CSPM 솔루션을 통해 클라우드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