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리포트는 한국의 스마트폰 보유율 및 선호도를 다룹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스마트폰 보유율을 자랑하며, 이는 기술수용모델, 젊은 층의 트렌드, 브랜드 락인 효과, 경제적 발전과 인프라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합니다. 특히, 10대와 20대에서는 애플의 아이폰 선호도가 높아 또래 문화와 사회적 영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면, 전체 성인의 대다수는 삼성 갤럭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브랜드 락인 효과가 크게 작용합니다. 본 리포트는 이러한 트렌드와 그 이유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2007년 0.7%에서 2008년 0.9%, 2009년 2.0%에서 2010년 14.0%를 기록한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67.6%로 처음으로 전 세계 1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세계 평균 보급률인 14.8%보다 4.6배 높은 수치입니다. 현재 전체 스마트폰 사용자는 3,600만 명으로 국민 100명 중 76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경제활동 인구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스마트폰 보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기술수용모델, 젊은 층의 트렌드, 브랜드 락인 효과, 경제적 발전과 인프라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합니다. 기술수용모델의 개념 간 인과관계는 인지된 유용성과 행위의도 간의 관계,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행위의도 간의 관계, 그리고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간의 관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로,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세계 평균인 14.8%를 크게 상회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10대와 20대 사이에서 애플의 아이폰 선호도가 매우 높습니다. 한국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18~29세 구간에서 아이폰의 점유율은 65%로 삼성 갤럭시의 32%를 두 배 이상 상회하고 있습니다. 특히 남성의 60%, 여성의 71%가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또래 문화와 사회적 영향력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아이폰을 사용하지 않으면 친구들과의 대화나 소셜 활동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해, 많은 젊은층이 아이폰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젊은층 사이에서는 아이폰 사용이 또래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아이폰을 사용하면 친구들과의 소통이 더 원활하고, 소셜 미디어와 같은 외산 애플리케이션 사용도 더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한 학부모는 '삼성폰을 쓰면 친구들 대화에 낄 수가 없다고 아이폰을 사 달라고 하더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아이폰을 사용하면 또래 그룹과의 연결성이 강화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국내 10·20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네이버보다 인스타그램과 구글을 더 오랜 시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4년 6월 기준, 국내 iOS 이용자들은 유튜브, 카카오톡 다음으로 인스타그램을 가장 오랜 시간 사용했습니다. 또한, 구글 크롬의 월간 이용 시간이 네이버를 넘어섰으며, 구글 검색 역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iOS 이용자의 경우 상위 10개 앱 중 절반이 외산 앱으로, 엑스(옛 트위터), 틱톡, 넷플릭스 등이 상위에 랭크되고 있습니다. 반면, 국산 앱의 자존심은 웹툰으로, 네이버웹툰과 카카오페이지가 해당 층에서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기존 브랜드를 계속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다양한 스마트폰 기반 플랫폼 서비스 사용 경험과 데이터가 누적되어 다른 운영체계로 쉽게 이전하지 못하는 현상인 '락인 효과'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 갤럭과 아이폰 사용자는 2014년 재구매 의향률이 60% 내외였으나, 2021년부터는 이 비율이 90%에 육박할 정도로 높아졌습니다.
한국 성인의 69%는 삼성 갤럭시를, 23%는 애플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LG전자 스마트폰 사용자는 6%로 나타났습니다. 삼성 갤럭시와 애플 아이폰 사용자는 기존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는 경향이 높습니다. 특히, 저연령층에서는 애플 아이폰의 선호도가 높아 미래 점유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재구매 의향률은 매우 높은 편입니다. 한국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2014년에는 갤럭시와 아이폰의 재구매 의향률이 60% 내외였으나, 2021년부터는 90%에 육박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해당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계속 사용하려는 의향이 매우 강함을 나타냅니다.
기술수용모델(TAM)은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수용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모형으로, 주된 개념으로는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 행위의도 등이 있습니다. 이 모델은 신념(belief)이 태도(attitude)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가 행위의도(behavior intention)에 영향을 주며, 행위의도가 실제 시스템 사용에 관한 행위(behavior)에 영향을 준다는 인과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지된 유용성은 특정 시스템을 사용했을 때 자신에게 이익이 발생할 것이라는 믿음을 의미하며, 인지된 사용 용이성은 특정 시스템의 사용 방법이 쉽고 편리할 것이라는 기대를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행위의도는 시스템 사용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유용성에 의해 결정되고, 시스템 사용은 행위의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빠르게 증가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2007년 0.7%에서 2009년 2.0%, 2010년 14.0%로 급격히 상승하였고, 2020년에는 67.6%로 세계 1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세계 평균 보급률인 14.8%보다 4.6배 높은 수치입니다. 현재 한국의 전체 스마트폰 사용자는 3,600만 명으로, 국민 100명 중 76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높은 보급률은 경제활동 인구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기술수용모델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수용행위를 연구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구체적으로, 많은 연구들이 스마트폰의 채택과 수용의도, 사용의도, 구매의도를 주요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행위의도와 채택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술수용모델이 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다룹니다. 이는 스마트폰 채택과 수용의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본 리포트는 한국의 스마트폰 보유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이유를 다각도로 분석하였습니다. 기술수용모델을 통해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진 이유를 설명하였고, 10대와 20대의 아이폰 선호도가 또래 문화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또한, 전체 성인의 대다수가 삼성 갤럭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브랜드 락인 효과도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스마트폰 시장의 변화와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리포트의 한계로는 스마트폰 선호도의 세분화된 데이터를 충분히 다루지 못한 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세부적인 사용자 경험과 만족도를 추가로 조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미래에는 10대와 20대의 아이폰 선호도가 계속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가 삼성 갤럭시의 성인 사용자 층과 어떻게 상호작용할지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기술수용모델은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기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는 모델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사용 용이성, 태도, 행위의도 등의 개념으로 구성됩니다. 한국의 스마트폰 보유율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애플이 제조하는 스마트폰으로, 한국의 10대와 20대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입니다. 또래 문화와 사회적 영향력이 아이폰의 인기에 크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제조하는 스마트폰으로, 한국의 전체 성인 사용자 중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락인 효과로 인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갤럭시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