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폭스바겐의 투자와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리비안의 부상

일일 보고서 2024년 07월 18일
goover

목차

  1. 요약
  2. 폭스바겐의 대규모 투자와 리비안의 협력
  3. 리비안의 시장 반응과 실적 개선
  4. 미국 전기차 시장 동향
  5. 한국 배터리 기업의 전략적 파트너십
  6.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는 폭스바겐의 대규모 투자가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의 급성장에 미친 영향을 다룹니다. 주요 내용으로 폭스바겐의 50억 달러 투자와 합작 회사 설립 계획, 첨단 소프트웨어 및 배터리 기술 협력, 리비안의 시장 반응 및 실적 개선이 포함됩니다. 또한,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 변화 및 한국 배터리 기업들인 SK온과 현대차의 전략적 파트너십, K-배터리 기업들의 실적 동향에 대해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미국 전기차 시장의 현재 상황과 경쟁 관계, 향후 전망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폭스바겐의 대규모 투자와 리비안의 협력

  • 2-1. 폭스바겐의 투자 배경과 금액

  • 폭스바겐은 리비안에 7조원(약 50억 달러)을 투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투자 발표는 미국 뉴욕 증시가 마감한 후 이루어졌고, 이 소식에 리비안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49.41% 급등했습니다. 먼저 10억 달러(약 1조 3,895억원)를 투자해 리비안의 지분을 확보하고, 이후 4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입해 합작 회사를 설립할 계획입니다. 리비안은 한때 테슬라의 대항마로 주목받았으나 최근 적자와 생산 증대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 2-2. 합작 회사 설립 계획

  • 폭스바겐과 리비안은 합작 회사를 설립하여 첨단 소프트웨어를 갖춘 차세대 배터리 차량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합작 회사는 양사가 동등하게 통제하고 소유하게 됩니다. 이 합작 회사는 최소 2030년 이전에 차세대 차량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투자 계획이 완료될 예정입니다. 양사의 협력을 통해 보다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차량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2-3. 리비안의 기술 협력 및 소프트웨어 접근

  • 폭스바겐은 이번 투자를 통해 리비안의 소프트웨어와 전기차 기술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폭스바겐이 효율성과 기능 면에서 테슬라와 경쟁할 수 있는 차량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됩니다. 리비안은 2026년 출시 예정인 R2 SUV 개발을 위해 이번 투자금을 활용할 계획이며, 이로 인해 리비안의 기술력과 재무 상황이 크게 개선될 전망입니다.

3. 리비안의 시장 반응과 실적 개선

  • 3-1. 리비안 주가 급등

  • 독일 자동차 회사 폴크스바겐이 리비안에 2026년까지 50억 달러(약 7조 원)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하자, 리비안의 주가가 급등하였습니다. 25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 마감 후 리비안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49.41% 상승하여 17달러대로 올라섰습니다. 이는 리비안의 주가가 올해 들어 약 49% 하락한 상황에서 나온 큰 상승세입니다. 뿐만 아니라, 폭스바겐의 투자는 리비안 주주들에게 큰 기대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3-2. 생산 및 인도 계획

  • 폭스바겐과 리비안은 향후 첨단 소프트웨어를 갖춘 차세대 배터리로 구동되는 차량을 개발할 합작회사를 설립할 계획입니다. 양사는 2030년 이전에 합작회사가 개발한 기술이 적용된 차량을 출시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리비안은 일리노이주 노멀에 위치한 공장을 재정비하면서 RT1 픽업과 R1S SUV 전기차의 업데이트 버전을 출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리비안은 전기 픽업 및 SUV 차량의 생산과 인도를 확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3-3. 리비안의 손실 및 직원 구조조정 현황

  • 리비안은 올해 1분기 14억 50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하는 등 여전히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금 보유고도 작년 12월 말 기준 79억 달러로, 1년 전(116억 달러)보다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서 리비안은 지난 2월 직원 10%를 감원하였고, 4월에는 지원 부서를 중심으로 인력의 1%를 추가로 감원했습니다. 그러나 폭스바겐의 이번 투자로 인해 리비안은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여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4. 미국 전기차 시장 동향

  • 4-1.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 변화

  • 테슬라는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의 신차 등록 점유율이 50% 이하로 감소했습니다. 2024년 4월 기준, 미국 전기차 신차 등록 대수 10만2317대 중 테슬라는 46.3%인 4만7350대를 차지하며, 이는 지난해 같은 달 63.8% 대비 17.5% 감소한 수치입니다. 또한, 비테슬라 브랜드의 점유율은 지난해 36.2%에서 53.7%로 증가했습니다. 테슬라의 전체 점유율은 50.1%로 포드가 2위, 현대차와 기아가 각각 3위와 4위를 차지하면서 테슬라의 점유율은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 4-2. 기아와 현대차의 전기차 시장 성과

  •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눈에 띄는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 1월부터 4월까지 현대차는 2만9대, 기아는 1만6579대의 신차 등록을 기록하여 두 회사의 합산 등록 대수는 3만6588대로 포드를 제쳤습니다. 현대차의 아이오닉 5는 지난해 대비 거의 두 배 증가한 4078대를 기록하였으며, 기아의 EV6는 93.8% 증가한 2178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특히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가 2024년 4분기에 완공되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4-3. NACS 충전 표준 도입

  • 테슬라는 북미 충전 표준(NACS)을 개발하여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로부터 인증을 받았으며, 이 표준은 많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에 의해 채택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메르세데스 벤츠가 테슬라의 슈퍼차저 지원 네트워크에 추가되었고, 이 외에도 제너럴 모터스(GM), 볼보, 폴스타가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리비안과 포드의 전기차도 NACS 표준을 적용해 테슬라의 슈퍼차저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NACS 표준은 북미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5. 한국 배터리 기업의 전략적 파트너십

  • 5-1. SK온의 전략적 투자

  • SK온은 포드 F-150 라이트닝과 현대차 아이오닉5에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으며, 현대차와의 매출 비중도 5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고객사입니다. 특히, SK온은 현대차와 미국 조지아주에 연 35GWh 규모의 배터리 합작공장을 건설 중에 있으며, 포드와는 미국 켄터키·테네시주에 연 127GWh 규모의 배터리 합작법인 '블루오벌SK'를 설립 중입니다. 가동이 본격화되는 2025년부터는 또 다른 도약이 기대됩니다. 또한 SK온은 국내외 배터리 공장 수율을 90% 중반까지 높이는 동시에, 원소재 구매 가격을 연동하여 메탈가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수익성 개선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5조원, 2023년에는 6조 8000억원을 시설투자에 집행하였으며, 2023년에는 7조 5000억원을 투자금으로 책정하였습니다. 투자금 마련은 미국 에너지부의 지원과 신종자본증권 발행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 5-2. 포드와 현대차의 파트너십

  • 포드는 '머스탱 마하-E'와 'F-150 라이트닝'의 판매를 통해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큰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머스탱 마하-E'는 전년 동월 대비 287.1% 증가하여 5358대가 판매되었고, 'F-150 라이트닝'은 95.7% 증가하여 2509대가 팔렸습니다. 현대차의 아이오닉5 또한 큰 성장을 보였으며, 지난달 미국에서 4449대가 팔리며 월 최다 판매량을 기록하였습니다. SK온은 이 두 모델에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어 포드와 현대차의 성장이 SK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현대차는 오는 10월부터 미국 조지아주에서 아이오닉5의 현지 생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SK온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5-3. K-배터리 기업들의 실적 동향

  • 2023년 상반기 동안 K-배터리 기업들의 실적은 다소 저조했으나, 하반기부터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SK온은 소형 배터리 사업보다는 전기차용 중대형 배터리에 집중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물량 증가와 함께 실적 반등이 예상됩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역시 하반기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2분기를 저점으로 3분기부터 신차 효과 및 판가 안정화에 따라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전반적으로 K-배터리 업계는 전기차 시장에서의 성장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으며, SK온은 수주잔고가 400조원으로 증가하고 있어 미래 성장이 기대됩니다.

6. 결론

  • 이 리포트는 폭스바겐의 대규모 투자가 리비안의 재도약과 시장 확장에 큰 기여를 했음을 보여줍니다. 폭스바겐과 리비안의 협력은 첨단 소프트웨어와 배터리 기술 개발을 촉진하며, 리비안의 기술력과 재무 상황을 크게 개선시켰습니다.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 감소와 현대차 및 기아의 성장, 그리고 SK온의 전략적 투자와 파트너십은 미국 전기차 시장의 다변화와 성장을 반영합니다. 리포트는 이러한 변화가 앞으로 어떻게 미국과 글로벌 전기차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리비안의 지속적인 실적 개선과 생산 확대를 위해서는 폭스바겐과의 협력 강화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기술 개발과 효율성 증대가 필요합니다. 미래에는 폭스바겐과 리비안의 협력이 더 많은 혁신적 전기차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시장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7. 용어집

  • 7-1. 폴크스바겐 [회사]

  •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로, 리비안에 50억 달러를 투자하여 합작회사 설립 및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이번 투자로 폴크스바겐은 리비안의 소프트웨어와 전기차 기술에 접근하게 되었습니다.

  • 7-2. 리비안 [회사]

  •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으로, 폴크스바겐의 대규모 투자로 생산 및 인도 계획을 늘리고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7-3. 테슬라 [회사]

  • 미국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최근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였으며, 슈퍼차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통해 다양한 전기차 브랜드에 접근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7-4. SK온 [회사]

  • 한국의 배터리 제조업체로,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포드와 현대차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 7-5. 현대차 [회사]

  • 한국 자동차 제조업체로,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높은 판매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조지아주에 새로운 공장을 설립 중입니다.

  • 7-6. 엔비디아 [회사]

  • 인공지능 기술 회사로 최근 AI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주주총회에서 새로운 AI 시장 창출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하였습니다.

8.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