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대체당 산업 분석 및 글로벌 시장 동향

일일 보고서 2024년 06월 28일
goover

목차

  1. 요약
  2. 대체당 시장 개요
  3. 주요 대체당 기업 및 제품
  4. 대체당 시장의 글로벌 동향
  5. 건강한 라이프스타일과 대체당 소비 증가
  6. 전시회 및 세미나를 통한 대체당 홍보 전략
  7. 결론

1. 요약

  • 본 리포트는 대체당 산업의 현황과 성장 추세를 분석하고, 주요 기업들의 전략과 글로벌 시장 동향을 조사합니다. 주요 대체당 제품으로는 알룰로스,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프락토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삼양사, CJ제일제당, 대상그룹 등 기업들이 해당 제품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에 따라 대체당의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각국에서의 시장 반응과 소비자들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대체당 제품은 지역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확산되고 있습니다.

2. 대체당 시장 개요

  • 2-1. 대체당의 정의 및 종류

  • 대체당은 설탕 대신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감미료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대체당의 종류로는 알룰로스,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프락토올리고당 등이 있습니다. 삼양사는 알룰로스(Nexweet®)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Fiberest®)을 주요 제품으로 내세우며, 이들을 음료, 과자, 유제품, 소스 등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알룰로스는 0칼로리 감미료로 설탕 대비 약 70%의 단맛을 가지며, 미국 FDA로부터 GRAS 인증을 받았습니다. 반면,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식이섬유 함량이 85% 이상인 수용성 식이섬유로, 배변활동 원활,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입니다.

  • 2-2. 대체당의 장점과 필요성

  • 대체당은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자 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설탕 소비가 줄어드는 반면, 대체당의 소비는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예를 들어, 삼양사는 칠성사이다 제로 제품에 Nexweet® 알룰로스를 적용하여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었으며, 이는 한국 시장에서 '제로 붐'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알룰로스가 설탕 대비 단맛이 뛰어나고, 칼로리가 없으며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클린라벨 제품으로 신뢰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과 같은 대체당은 혈당 조절, 중성지방 개선 등 건강 기능성을 제공하며, 특히 일본과 같은 시장에서 기능성 표시 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3. 주요 대체당 기업 및 제품

  • 3-1. 삼양사 - Nexweet, Fiberest

  • 삼양사는 식품바이오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식품 소재를 통해 헬시플레저 문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삼양사의 주요 대체당 제품으로는 차세대 제로 칼로리 당류 저감 소재인 알룰로스(Nexweet®)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Fiberest®)이 있습니다. 알룰로스(Nexweet®)는 설탕 대비 약 70%의 단맛을 가지며 0kcal인 대체 감미료로, 음료, 과자, 유제품, 소스 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Fiberest®)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배변활동 원활,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입니다. 삼양사는 이 두 제품을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SEOUL FOOD 2024)에서 소개하며, 젤리 형태의 비타민 제품 샘플을 통해 방문객들에게 제품의 효과를 체험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삼양사는 글로벌 시장에서도 이러한 제품들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롯데칠성음료, 동아오츠카, 오뚜기 등 국내 굴지의 식음료 제조업체들과 협업하여 제로 칼로리 및 당류 저감 제품을 성공적으로 론칭하였습니다.

  • 3-2. 다른 주요 기업 (CJ제일제당, 대상그룹 등)

  • CJ제일제당과 대상그룹은 대체당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상그룹은 '스위베로(Sweevero)'라는 알룰로스 통합 브랜드를 론칭하였으며, 군산 전분당 공장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알룰로스 생산 기반을 구축하였습니다. 대상그룹은 롯데칠성, 동아오츠카, 하이트진로음료 등 국내 주요 음료 제조사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대체당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은 '백설 베러스위트'와 '백설 제로스위트'라는 상표를 출원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체당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업계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건강한 식문화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대체당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4. 대체당 시장의 글로벌 동향

  • 4-1. 아시아 시장 동향

  • 삼양사는 차세대 제로 칼로리 당류 저감 소재인 알룰로스(Nexweet®)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Fiberest®), 프락토올리고당 등을 국내외 식품 제조업체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룰로스는 미국 FDA GRAS 승인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로 칼로리 감미료로 인정받아 음료, 과자, 유제품, 소스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2024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SEOUL FOOD 2024)에서 알룰로스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적용한 제품을 선보였으며, 이는 방문객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 4-2. 북미 시장 동향

  • 건강한 식문화와 관련된 제로슈거 및 저당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북미 지역에서 대체당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미국 FDA의 안전원료인증(GRAS) 승인을 받은 이후, 미국 시장에서 Nexweet® 알룰로스를 본격적으로 론칭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Natural Products Expo West 등 다양한 국제 식품 전시회에 참가하여 부스를 운영하며 알룰로스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체당 수입량이 증가하는 추세로, 예를 들어 에리스톨의 수입량은 전년 대비 20.8% 증가한 5291톤을 기록했습니다.

  • 4-3. 유럽 시장 동향

  • 삼양사는 알룰로스와 고감미료, 향료 등을 조합한 최적의 감미 시너지를 연구하며 유럽 시장 진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일본 기능성 표시 식품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유럽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다양한 세계적 식품소재 전시회에 참가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유럽 노벨푸드 등록을 통해 유럽 시장 개척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출시할 대체당을 아우르는 통합 브랜드 Sweevero를 통해 유럽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일 계획입니다.

5. 건강한 라이프스타일과 대체당 소비 증가

  • 5-1.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습관 트렌드

  • 지금은 ‘맛있으면 0칼로리’라는 말은 통용되지 않고, 대신 ‘맛있는 제로 칼로리’가 대세가 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신제품 음료는 설탕이 없거나 칼로리가 반드시 제로여야만 주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사는 이온 함유 수분보충음료인 토레타를 제로 슈거와 제로 칼로리로 만들어 출시했습니다. 롯데칠성음료는 스포츠 음료인 게토레이의 칼로리를 낮춘 게토레이 제로, 마운틴듀 제로슈거 블루, 탐스제로 멜론향 등의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탄산음료부터 주스, 심지어 주류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점점 더 칼로리와 당류에 민감해지고 있습니다.

  • 5-2. 제로칼로리, 저당 제품의 인식 변화

  • 대체당 제품이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제로 칼로리 숙취해소음료인 상쾌환 부스터 제로를 출시하며, 설탕 대신 알룰로스를 사용하여 열량 부담을 줄였습니다. 또, 삼양사는 알룰로스 ‘넥스위트(NexWeet)’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화이버리스트(Fiberest)’ 등을 앞세워 저당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52개국 1605개사가 참가한 서울푸드 2024에서도 이러한 대체당 제품들이 주목받았습니다. 삼양사는 지속적으로 고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혁신적인 제품들이 시장에서 큰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6. 전시회 및 세미나를 통한 대체당 홍보 전략

  • 6-1. 국내 및 국제 전시회 참석

  • 삼양사는 2024년 3월 27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기능성 식품소재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세미나에는 고객사 연구원 등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알룰로스, 특화 올리고당, 식이섬유 등 다양한 프리미엄 감미료 제품과 최신 시장 트렌드를 소개했습니다. 특히 삼양사는 케스토스와 말토올리고당G4, 올리고당 분말 등 특화된 올리고당을 선보여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동시에 삼양사는 미국 및 중국의 글로벌 식품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알룰로스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6월에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국제식품기술 박람회(IFT 2019)에도 규모를 확대해 참가할 예정입니다. '서울푸드 2024'에서도 삼양사는 알룰로스 ‘넥스위트(NexWeet)’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화이버리스트(Fiberest)’ 등 고기능성 소재를 소개하며 저당 트렌드를 제안했습니다. 이 전시회에는 52개국 1605개사가 참가하였으며, 대체당, 대체식품, 비건 및 할랄 인증 제품 등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 6-2. 세미나 및 프로모션 전략

  • 삼양사는 기능성 식품소재 세미나를 통해 알룰로스와 같은 차세대 감미료를 홍보하며, 고객사와의 관계를 강화하고자 하였습니다. 2024년 3월 27일 열린 이 세미나에서는 삼양사가 자체 개발한 효소 기술로 생산한 알룰로스를 소개하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였습니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삼양사는 프리미엄 감미료 제품의 우수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입지를 다지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삼양사의 알룰로스 브랜드인 트루스위트(Trusweet)와 넥스위트(Nexweet)를 적극 홍보하며, 코카콜라도 알룰로스를 적용한 제품을 북미 시장에 출시할 계획임을 알렸습니다. '서울푸드 2024'에서도 삼양사는 넥스위트와 화이버리스트를 활용한 저당 제품 솔루션을 제시하며, 전시회를 방문한 다양한 참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7. 결론

  • 본 리포트는 대체당 산업이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와 맞물려 급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삼양사와 CJ제일제당 등의 주요 기업들이 혁신적인 제품을 출시하며 시장 선도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지역별 전략을 통해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양사는 Nexweet와 Fiberest 등 다양한 제품을 미국과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시키고 있습니다. 북미에서는 제로슈거와 저당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건강기능성 식품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당 제품의 기술적 한계와 시장 포화도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혁신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대체당 산업은 장기적으로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8. 용어집

  • 8-1. 대체당 [전문용어]

  • 대체당은 설탕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식품 첨가물로,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려는 소비자들과 식품 제조업체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8-2. 삼양사 [회사]

  • 삼양사는 저칼로리 및 무칼로리 당류 제품을 제공하는 기술력 있는 기업으로, Nexweet와 Fiberest 등의 제품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습니다.

  • 8-3. CJ제일제당 [회사]

  • CJ제일제당은 대체당 시장에 Bacchusweet와 ZeroSweet 등의 제품을 선보이며 건강한 음식물을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9. 출처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