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r browser does not support JavaScript!

빅카인즈 서비스의 확장 및 활용 방안 분석

일일 보고서 2024년 06월 26일
goover

목차

  1. 요약
  2. 빅카인즈 서비스 소개
  3. 빅카인즈의 확장 배경 및 목적
  4. 빅카인즈의 활용 사례 및 기대 효과
  5. 빅카인즈 AI 서비스 소개
  6. 결론

1. 요약

  • 본 리포트는 빅카인즈 뉴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의 확장 현황과 그로 인한 활용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빅카인즈는 104개의 언론사와 협약을 맺고 8200만 건 이상의 뉴스 데이터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원문 검색, 분석자료 다운로드, AI 기반 응답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빅카인즈의 확장을 통해 공공기관, 연구단체, 미디어 스타트업 등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빅카인즈 AI는 뉴스 기사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사용자의 질문에 신속하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합니다.

2. 빅카인즈 서비스 소개

  • 2-1. 빅카인즈 개요

  • 빅카인즈(Big KINDS)는 국내 최대 규모의 뉴스 빅 데이터 분석 서비스입니다. 104개의 언론사와 협약을 맺고 있으며, 종합일간지, 경제지, 지역일간지, 방송사 등 다양한 출처의 뉴스데이터베이스 약 8200만 건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빅카인즈는 이러한 뉴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원문 검색, 분석자료 다운로드, 관심 뉴스 전자우편 서비스 등을 제공합니다.

  • 2-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빅카인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종합일간지, 경제지, 지역일간지, 방송사 등의 뉴스를 포함한 8200만여 건의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빅 데이터 분석기술을 접목하여 다양한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 방문자는 누구나 회원가입을 통해 뉴스 원문 검색뿐만 아니라 분석자료 다운로드, 관심 뉴스 전자우편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3. 서비스 제공 범위

  • 빅카인즈 서비스는 창업, 공공서비스 개선, 취재 보도, 연구 및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API 형태로 제공되는 빅카인즈 분석 기능은 공공기관과 연구단체 등 48곳의 업무와 연구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새로운 미디어와 디지털 서비스, 사업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 미디어 스타트업 공모와 뉴스미디어 서비스 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빅카인즈 기능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빅카인즈는 최근 '빅카인즈에이아이(AI)' 서비스도 선보여 뉴스 기사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 기능을 통해 사용자 질문에 대한 신속하고 정제된 답변을 제공합니다. 이는 기존 포털 뉴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지역일간지와 환경, 스포츠, 어린이 등 다양한 전문콘텐츠 매체를 포함하여 데이터의 다양성을 강화하고 지역 연구 및 정책개발 등에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3. 빅카인즈의 확장 배경 및 목적

  • 3-1. 협약 언론사 확대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빅카인즈에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를 기존 54곳에서 104곳으로 확대하였습니다. 이는 종합일간지, 경제지, 지역일간지, 방송사 등을 포함하며 뉴스데이터베이스 약 8200만 건을 빅 데이터 분석기술과 접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특히, 신규 제휴 매체에는 포털 뉴스에서 쉽게 찾기 어려운 지역일간지와 환경, 스포츠, 어린이 등 다양한 전문콘텐츠 매체가 포함되어 데이터의 다양성과 분석 품질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3-2. 뉴스 콘텐츠 다양성 증가

  • 빅카인즈의 협약 언론사 확대는 뉴스 콘텐츠의 다양성을 크게 증가시켰습니다. 기존에는 접근하기 어려웠던 지역일간지, 환경, 스포츠, 어린이 등 분야의 전문 매체들이 포함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창업, 공공서비스 개선, 취재 보도, 연구 및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3-3. 분석 품질 향상

  • 협약 언론사 확대는 기본 데이터의 양을 늘려 분석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빅카인즈는 API 형태로 제공되어 다양한 공공기관 및 연구단체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신규 제휴 매체로 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뉴스 콘텐츠는 더욱 풍부하고 정교한 분석자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문체부와 언론재단은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4. 빅카인즈의 활용 사례 및 기대 효과

  • 4-1. 공공기관 및 연구단체 활용

  • 빅카인즈의 분석기능은 공공기관과 연구단체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빅카인즈의 API는 마흔여덟 곳의 공공기관과 연구단체에서 업무와 연구를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공서비스의 개선, 취재 보도, 연구 및 교육 등에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4-2. 미디어 스타트업 지원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빅카인즈의 분석기능을 미디어 스타트업 공모와 뉴스미디어 서비스 개발 지원 등에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미디어 및 디지털 서비스와 사업 모델의 창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4-3. 지역 정책 개발 활용

  • 빅카인즈는 제휴 언론사 확대를 통해 지역일간지와 환경, 스포츠, 어린이 등 분야의 전문 콘텐츠를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인구와 지역 정책개발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협약 언론사 확대로 기본 데이터가 늘어나 분석 품질 수준이 높아지고 분석자료가 풍성해지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5. 빅카인즈 AI 서비스 소개

  • 5-1. 빅카인즈 AI 개요

  • 빅카인즈는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접목한 뉴스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8200만여 건의 뉴스 데이터베이스(DB)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기준으로 704만명이 빅카인즈를 방문해 창업, 공공서비스 개선, 취재 보도, 연구·교육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5-2. AI 기반 응답 서비스

  • 빅카인즈는 2024년 2월에 '빅카인즈 AI'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였습니다. 이는 '뉴스 기사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협약사가 제공하는 기사 속 정보를 근거로 이용자 질문에 대한 답변을 도출합니다. 매일 정보가 갱신되며, 생성형 인공지능의 문제점으로 알려진 환각(hallucination) 현상 발생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5-3. 교육 및 공공 홍보 전략

  • 문체부와 언론재단은 빅카인즈 AI 서비스 사용법을 국민들이 더 쉽게 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영상을 제작하여 활용법을 안내하고 홍보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이로써 사용자의 뉴스 데이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6. 결론

  • 리포트는 빅카인즈 서비스의 확장과 그 활용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빅카인즈는 104개의 언론사와의 협약을 통해 제공되는 뉴스 데이터베이스의 폭을 넓혔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 품질과 다양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 확장은 공공기관, 연구단체, 미디어 스타트업 등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공공서비스 개선, 연구 및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빅카인즈 AI 서비스는 뉴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교육 및 공공 홍보 전략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한계점으로는 데이터의 양이 늘어남에 따른 관리 및 유지 비용 증가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 지원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빅카인즈는 더 많은 전문 콘텐츠와 다양한 매체와의 협약을 통해 더욱 풍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7. 용어집

  • 7-1. 빅카인즈 [뉴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 빅카인즈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제공하는 뉴스 빅 데이터 분석 서비스로, 104개 언론사와 협약을 통해 82백만 건 이상의 뉴스 기사를 제공하여 분석 품질과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연구단체, 미디어 스타트업 등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8. 출처 문서